• Title/Summary/Keyword: 정착성

검색결과 1,404건 처리시간 0.033초

Sericin 정착에 관하여 (Fixation of Silk Sericin)

  • 남중희;김신덕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5-49
    • /
    • 1978
  • Sericin 정착은 친수성 단백질인 세리신을 화학처리에 의하여 소수성으로 변화시켜 fibroin 에 밀착, 응고시켜 생사를 양모와 유사한 섬유로 변화시켜 제품의 다양화를 기할 목적으로 많이 행하여졌으며 이에 따른 증량효과도 크게 기대되어진다. 종래의 세리신 정착방법들은 생사의 제리신 정착외에 공업적으로 그 가치가 크게 인정되었던 견사, 생사 층 등에도 광범위하게 응용되어 많은 특허가 있는데 이들 정착방법을 대별하면 (1) Aldehyde 처리에 의한 세리신 정착 (2) Cr 감류처리에 의한 세리신 정착 (3) Epoxy 화합물의 처리에 의한 세리신 정착 (4) 합성수지 처리에 의한 세리신 정착등을 들 수 있겠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Aldehyde 에 의한 정착 (주로 formaldehyde 사용) 과 Cr 감류에 의한 정착이 가장 많이 행해진 경향을 보인다. (중략)

  • PDF

Earth Anchor 설치구조의 안전성 해석

  • 최경집;안세희;고상훈;김두환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57-162
    • /
    • 1999
  • 본 연구는 현장의 굴착공사에 따른 토류 구조물 설치공사의 수행에 있어서 토류 벽체의 지지 구조체률 형성하는 Earth Anchor에 대한 시공의 적정성 여부 및 설계목적에의 부합 여부를 판정하여 토류 벽체의 안정성 판단 및 Earth Anchor의 설계 목적에의 부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며 실험의 기준은 SIA. Standard Edition 1977 규정에 따르며, Earth Anchor의 설계, 정착장 및 자유장의 길이를 적절히 산출하고 정착력에 대한 신뢰도, 즉 인발력을 실험하여 정착장의 소요 안전율을 추정하며 더불어 지반에 대한 비교, 판단도 행하는 것이 목적이다. (중략)

  • PDF

콘크리트포장 확장부 타이바 설치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Tie-Bar Installation Method for Concrete Pavement Widening)

  • 황인규;양성철;정진훈;유태석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33-43
    • /
    • 2006
  • 신설포장에 시공되는 타이바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타이바가 슬래브 안에 묻히기 때문에 타이바의 정착강도가 문제되지 않으나, 확장시에는 기존 포장을 천공한 후 충전재를 주입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타이바가 충분한 정착강도를 확보 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만일 삽입된 타이바가 충분한 정착강도를 확보하지 못한다면, 슬래브 간에 하중 전달에 문제가 생길 뿐만 아니라 줄눈 간격이 과도하게 벌어져서 사용성 및 내구성에도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현장에서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의해 타이바의 정착강도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실험결과 현장 시공방법으로 설치된 타이바의 정착강도는 소요 정착강도의 42.7%에 불과하였다. 첫 번째 대안으로서 주입기를 이용하여 충전재를 주입하고 마개를 사용하여 충전재가 흘러 나오지 못하게 막는 방법의 경우에는 소요 정착강도를 충분히 만족 하였으나, 현장에서의 품질관리가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 대안으로 제시된 SL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타이바를 설치하는 방법은 충분한 정착강도를 확보 할 수 있으며 품질관리 및 시공성이 용이 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형광성 Pseudomonas屬 균주의 오이 종자처리 후 근권에서의 밀도와 정착양상 (Colonizing Pattern of Fluorescent Pseudomonads on the Cucumber Seed and Rhizoplane)

  • 강지효;박창석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60-166
    • /
    • 1997
  • 전국에서 채집한 균주들 중 근권정착능력이 있는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대부분의 균주들은 형광성 Pseudomonas속에 속하는 균주들이어고 이들 중 근권정착능력이 아주 우수한 B16과 V13을, 정착능력이 낮은 MC07과 X01을 시험에 공시하였다. 근권정착능력이 우수한 균주 B16과 V13은 종자 발아 초기단계에서의 증식 능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종자가 발아를 시작하여 유근이 나오는 시기에 이들의 정착밀도가 높았으며, 96시간이 지난 후에도 뿌리의 근단 부위에서 V13과 B16 균주들의 정착밀도가 높았다.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하여 이들의 근권에서의 정착양상을 관찰한 결과, 정착능력이 우수한 균주들은 뿌리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증식하고 근단 부위로 이동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정착능력이 낮은 균주들은 유근의 표면에 산발적으로 흩어져 증식한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해외건설의 현지화 정착 방안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53호
    • /
    • pp.68-83
    • /
    • 1994
  • 해외건설업의 경영은 지리적$\cdot$문화적 차이, 환경의 다양성, 통제불가능 변수의 존재 등 여러 가지의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국내에서의 건설업 경영보다 어려우며 그마만큼 현지화의 정착이 어렵다고 하겠다. 따라서 당해지역에 기진출 또는 진출하고자 하는 투자기업이 현지에서 국내 기업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기업으로 정착하여 현지에서의 경제적$\cdot$사회적$\cdot$정치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현지 사회와의 조화로운 성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현지화가 바라는 궁극적인 목적이 되겠다. 이에따라 우리 기업이 해외시장에 현지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현지의 관습, 문화 등을 충분히 숙지하고 거기에 알맞는 제반 경영관리 기법을 개발하는 등 국제 경영능력을 배양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이 바로 현지화와 직결되는 과제라고 할수 있겠다. 이에 해외건설협회와 경제연구소에서는 해외건설진흥기금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건설업 개별기업이 해외 현지화를 정착시키는데 일조가 되고자 $\ulcorner$해외건설의 현지화 정착 방안$\lrcorner$을 마련하였다. 이 내용을 본지에서는 발췌$\cdot$정리, 게재하여 해외 진출에 뜻이 있는 우리 설비업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비선형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한 PSC 구조물의 정착부 설계 (Design of Anchorage Zone in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Using Nonlinear Strut-and-Tie Model)

  • 배한욱;송하원;변근주;변윤주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01-107
    • /
    • 1998
  • 본 논문은 비선형 스트럿-타이 모델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정착부의 거동해석 및 설계에 관한 연구이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착부는 긴장재의 인장력 도입으로 인해 비교적 작은 단면에 큰 집중하중으로 발생하는 매우 중요한 구조부위이며, 기존의설계가 비교적 다른 구조부위의설계에 비하여 경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 만 아니라 해석에도 많은 시간과 계산량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비선형 스트럿-타이 모델을 대상 정착부의 비선형 재료거동을 따르도록 비선형 해석을 실시하여 설계를 수행하고 구조물의 극한하중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긴장력이 정착부의 중앙에 도입되는 경우, 편심으로 도입되는 경우, 다중 정착구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선형과 비선형 스트럿-타이 모델을 구성하여 정착부의 역학적 거동을 고찰하였고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비교로부터 비선형 모델을 사용한 경우 선형 모델을 사용한 경우보다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고 추정극학강도도 실험결과에 더욱 근접함을 알았다.

원형 정착판을 사용한 포스트텐션 특수정착구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Special Circular Plate Anchorage for Post-tension)

  • 최규형;노병철;임정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73-83
    • /
    • 2016
  • 포스트텐션 공법을 적용한 콘크리트 부재의 정착구역에서 정착판 근처의 지압응력은 일반적으로 높은 프리스트레스 하중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단면의 효율적인 활용과 콘크리트 부재의 파괴로 이어질 수 있는 균열제어를 위해 적절한 정착판의 크기가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교설계기준 및 PTI 등에 의해 사각형 정착판과 원형 정착판의 유효면적에 대한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정착판의 형상에 따라 형상계수를 제안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CCD방법을 기초로 한 headed reinforcement bar의 거동 연구

  • 임원석;김용곤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1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209-212
    • /
    • 2001
  • 현재 설계법에서는 최대인장력이 작용되는 지점에서부터의 정착길이(development length)나 갈고리(hook)를 통해 철근과 콘크리트의 거동을 확보하지만, 갈고리나 정착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주근의 갈고리 정착으로 인하여 과밀 배근으로 콘크리트의 충진성을 저하시킨다.(중략)

  • PDF

CFRP판 긴장재를 위한 부착형 정착장치의 정착성능 (Anchorage efficiency of mold-type anchorage for CFRP plates)

  • 박종섭;박영환;정우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169-172
    • /
    • 2008
  • FPR(Fiber Reinforced Polymer)는 중량에 비해 높은 강도, 높은 내부식성 등 우수한 역학적 특성으로 인해 최근 건설분야에 적용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에 가장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FRP를 이용한 전통적인 보강방법은 인장면에 FRP를 부착하는 부착공법이었으나, 부착공법은 FRP의 박리 또는 부착파괴와 같은 조기파괴 문제점과 고정하중과 분담과 사용성 개선이 어려운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FRP 부착공법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최근에는 CFRP 판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공법에 대한 연구들이 시작되었다. 판형태의 CFRP를 이용하여 구조물에 긴장력을 도입하면 주인장철근의 응력을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균열폭과 휨변형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추가되는 활하중뿐만 아니라 고정하중도 일부 분담할 수 있게 되어 고가의 CFRP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CFRP 판 긴장공법을 위해 최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하는 것은 CFRP 긴장재를 정착하기 위한 적절한 정착장치의 개발이다. 본 연구에서는 CFRP 판 긴장재를 위한 정착장치를 개발하고자 CFRP 판의 정착단부 상세를 변수로 한 정착장치 인장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기존 상용 정착구와 비교하여 저비용으로 제작 가능한 CFRP 판 긴장재용 몰드형 정착구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몰드형 정착장치에 대한 성능실험 결과 CFRP 판 긴장재의 표면이 거칠게 처리된 시편이 가장 정착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착단부의 형상변화는 정착성능에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철근 기계적 정착장치의 설계 고려사항과 인발특성 (Design Considerations and Pull-Out Behavior of Mechanical Anchor of Reinforcement)

  • 천성철;김대영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593-601
    • /
    • 2001
  •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철근의 인장력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정착길이 또는 갈고리가 필요하다. 그런데, 접합부와 같이 배근이 집중되는 곳이나 대구경 고강도철근이 필요한 경우 정착을 위한 정착길이나 갈고리의 제작 및 배근작업이 어려우며 콘크리트의 충진성도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갈고리부분의 과도한 응력집중으로 국부적인 지압파괴나 slip이 발생될 우려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정착판을 철근 단부에 부착한 기계적 정착공법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계적 정착공법의 기초가 되는 정착장치의 요구성능과 정착설계법을 고찰하고 인발실험를 통해 정착장치의 앵커기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인발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설계된 정착장치는 앵커로써의 기능을 적절히 발휘하여 기존 CCD 이론식과 매우 근접한 내력을 발휘하였다 철근항복내력 이상의 정착내력을 지니는 경우, 항복하중까지 콘크리트에 아무런 손상이 발생되지 않았으며, 정착판 후미에서 콘크리트와의 상대변위는 0.2mm이하로 콘크리트에 손상을 유발시키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설계과정으로 제작된 기계적 정착장치를 통해 콘크리트에 유해한 손상 없이 필요한 정착내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철근간 간격이 좁아 파괴면이 중첩되는 경우에는 정착내력이 크게 저하되어, 순수한 콘크리트 내력만으로 기계적 정착설계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당한 매립깊이가 요구된다. 따라서, 실제 구조물의 정착설계를 위해서는 인접부재와의 골조거동(frame action)에 따른 구속효과와 전단보강근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