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신유전학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2초

유전인자 조절기전과 신경발달의 분자 생물학적 특성 (GENETIC CONTROL MECHANISM AND MOLECULAR BASIS OF NEURODEVELOPMENT)

  • 정유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1호
    • /
    • pp.5-14
    • /
    • 2005
  • 이전까지는 많은 정신장애가 유전으로 대표되는 생물학적 소인과 환경적 소인에 의한 것이라는 논의는 많았지만 실제 유전적 소인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장애의 발병과 임상 경과에 관여하는 지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갖기 어려웠다. 그러나 최근 들어 분자 생물학, 분자 유전학, 신경과학 등의 학문의 발달로 인해 유전 인자가 정상 또는 비정상 발달에 어떻게 기여 하는가에 대한 객관적 증거들이 많아지면서 좀더 이런 영향에 대한 조망이 용이해진 상황이다. 향후 이 분야들의 발달은 더욱 다양한 정신 장애에서 유전 인자의 역할을 밝혀 줄 것이며 정신과 임상 영역에서 유전적 검사를 통해 정신 장애를 진단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게 해 줄 것이다.

  • PDF

정신의학에서의 약물유전학 현황 (Current Pharmacogenetics in Psychiatry)

  • 김일빈;이유상
    • 생물정신의학
    • /
    • 제28권1호
    • /
    • pp.1-6
    • /
    • 2021
  • Pharmacogenetics is opening a new era of precision medicine in psychiatry. Drug-metabolizing enzymes are characterized by genetic polymorphisms, which render a large portion of variability in individual drug metabolism. Dose adjustment based on pharmacogenetics knowledge is a first step to translate pharmacogenetics into clinical practice. However, diverse factors including cost-effectiveness should be addressed to provide clinical recommendation. To address current challenges in pharmacogenetics testing in psychiatry, this review provides an update regarding genotyping (SNP analysis, array, and next-generation sequencing),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and cost-effectiveness. The current updates on pharmacogenetics in psychiatry will provide guidance for both clinician and researchers to have a consensus in harmonizing efforts to advance the pharmacogenetics field in a part of precision medicine in psychiatry.

정신의학에서의 cDNA Microarray (cDNA Microarray in Psychiatry)

  • 양병환;김자윤
    • 생물정신의학
    • /
    • 제7권2호
    • /
    • pp.123-130
    • /
    • 2000
  • The development of inexpensive high throughput methods to identify individual DNA sequences is important to the future growth of medical genetics. This has become increasingly apparent as psychiatric geneticists focus more attention on the molecular basis of complex multifactorial diseases at which most of psychiatric disease is estimated. Furthermore, candidate gene approaches used in identifying disease associated genes necessitate screening large sequence blocks for changes tracking with the disease state. Even after such genes are isolated, large scale mutational analysis will often be needed for risk assessment studies to define the likely medical consequences of carrying a mutated gene. This review provide basic knowledge of up-to-date technology, cDNA microarray which enables above mentioned various research themes.

  • PDF

발달학적 정신약물학 - 발달학적 약동학, 약역학 및 약물유전학 - (DEVELOPMENTAL PSYCHOPHARMACOLOGY - DEVELOPMENTAL PHARMACOKINETICS, PHARMACODYNAMICS AND PHARMACOGENETICS -)

  • 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2호
    • /
    • pp.157-173
    • /
    • 2003
  • 성인기에 비하여 소아의 정신약물학은 역사도 짧고 아직 체계도 잡혀 있지 않은 상태이다. 약물의 안정성, 효능, 장기 투여에 따르는 부작용에 대한 연구도 아직 초보적인 수준이다. 임상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항우울제, 항정신병약물, 중추신경흥분제 등에 대한 반응이 성인기와는 일부 다른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연구분야에 있어서도 연구 윤리상 성인기에 비하여 많은 제한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발달학적 약역학에서는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특정 약물(항정신병약물, 항우울제, lithium, 중추신경흥분제, 항경련제 등)의 약역학에 대하여도 그 특성을 논하였다. 발달학적 약동학에서는 주요 수용체의 개체발생적인 과정과 그 과정이 갖는 임상적인 의미에 대하여 논하였다. 약물유전학적 측면에서는 약물유전학의 약역학적 측면, 약동학적 측면에 대하여 논하였다. Dopamine 관련 대립인자와 관련된 연관연구들에 있어서는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뚜렛증후군에 대한 연구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대립인자와 관련된 약물유전연구에 있어서는 dopamine 수용체의 다형성과 clozapine, bromocriptine, haloperidol, methylphenidate에 대한 반응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serotonin 관련 수용체의 다형성과 약물반응과의 연관성에 대하여도 함께 논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향후 소아 또는 청소년기의 약물투여에 있어서 발달학적인 특성과 함께 개인적인 특성이 고려된 투약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정신과 신체의 분화와 통합 (The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of Mind and Body)

  • 양병환;황혜순
    • 정신신체의학
    • /
    • 제8권1호
    • /
    • pp.110-121
    • /
    • 2000
  • 1960, 1970년대 이후 정신과 신체를 적절히 조화시키려는 경향이 나타났고, 최근에는 신경생물학과 유전학의 발달로 인해 더 이상 정신과 신체를 구분해서 생각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정신-선체의 개념 및 그 관계에 대한 역사를 살펴보고, 최근에 논란되고 있는 정신-신체 모형 세 가지 즉, 생물정신사회적모델, 정신-신체동일이론, 기질적단위이론에 대한 비교 및 분자유전학과 환경과의 관계, 스트레스-체질모델을 고찰하였다.

  • PDF

인간유전체 사업 (Human Genome Project)

  • 권오주
    • 생물정신의학
    • /
    • 제8권2호
    • /
    • pp.196-202
    • /
    • 2001
  • The completion of the rough draft of the human genome is a remarkable achievement. It provides the overall structures of huge DNA molecules that constitute the genome and an outline of the information needed to create a human being. This paper reviewed new ideas, projects, and scientific advances made by the Human Genome Project. We also discussed the future of medicine and biomedical research in postgenomic era.

  • PDF

분자유전학을 통한 정신분열증의 이해 (Understanding of Schizophrenia Based on the Study of Molecular Genetics)

  • 이민수;김표한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1호
    • /
    • pp.14-21
    • /
    • 1996
  • Molecular genetic approaches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genetic mechanism for schizophrenia. Currently genetic evidence rests on molecular genetic methods. However, the result are contradictory and somewhat confusing due to genetic heterogeneity, incomplete penetrance, misspecification of genetic model. It is expected that molecular genetics could provide key answers to the genetic cause of schizophreni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all attention of the readers to heterogeneity, linkage, association, basic molecular genetic methods and genetic markers and to the need far further research. It is the author's hope thai continuous research on the molecular genetics con provide clinicians with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chizophrenia.

  • PDF

정신과에서 분자유전학의 치료적 적용 (Therapeutic Appilication of Molecular Genetics in Psychiatry)

  • 이민수
    • 생물정신의학
    • /
    • 제5권1호
    • /
    • pp.17-33
    • /
    • 1998
  • Advances in molecular biology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genetic mechanism of psychiatric disorders. They have renewed hope for the discovery of disease relevant gene. However, the results somewhat confused. And we will wait for a long time for the application of gene therapy in schizophreniar. Fortunately we could classified the schizophrenia with genotypes of dopamine and serotonin receptors. It is expected that this genetic classification could provide key strategy for the therapeutic application in biological treatment for schizophreni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all attention of the institute participants to linkage, association, mRNA expression, genotypic classification and to the need for more systemic research. The author summarized the modified methods which were done in his laboratory in appendix.

  • PDF

마우스 모델에서 Gouda Cheese 섭취에 따른 만성 스트레스 개선 효과 (Ingestion of Gouda Cheese Ameliorates the Chronic Unpredictable Mild Stress in Mice)

  • 강민경;윤보현;오상남
    • 축산식품과학과 산업
    • /
    • 제9권2호
    • /
    • pp.58-65
    • /
    • 2020
  • 우울증은 동기, 의욕, 관심, 주의력, 정신기능 및 식욕의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기분 장애이다. 우울증은 유전적, 내분비 및 환경적 스트레스를 포함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가벼운 우울증은 식이요법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우울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기능성 및 영양 보충제를 포함한 다양한 식품 공급원이 필요하다. 치즈에는 숙주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생리 활성 펩타이드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저지(Jersey) 우유는 홀스타인(Holstein) 우유보다 고형분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연구는 저지(Jersey) 와 홀스타인(Holstein) 우유의 가우다 치즈(Gouda cheese)가 만성 스트레스(CUMS, chronic unpredictable mild stres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치즈를 먹인 만성 스트레스 마우스 모델의 개선적 변화는 젖소 종에 관계없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PCR을 통한 분변 미생물 균총 분석에서 저지 치즈를 섭취함으로써 Bacteroidetes가 증가하고 Firmicutes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치즈 섭취가 스트레스 개선 작용이 있음을 제시하며, 특히 장내 미생물 균총의 유익한 방향으로의 변화가 관찰되는데, 치즈의 생리활성물질 혹은 장내미생물 균총의 대사물질들이 이러한 행동·정신학적 개선 작용과의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비전형적 항정신병약물에 의한 체중증가의 기전 및 약리유전학 (The Mechanisms of Atypical Antipsychotics-Induced Weight Gain and Related Pharmacogenetics)

  • 이준노;양병환
    • 생물정신의학
    • /
    • 제10권1호
    • /
    • pp.3-19
    • /
    • 2003
  • The use of atypical antipsychotics is limited by occurrence of adverse reactions such as weight gain, despite of their benefits. This article provides a comprehensive review and discussion of the most significant findings regarding obesity-related pathways and integrates these with the known mechanism of atypical antipsychotic action.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primarily on the genetics of obesity related pathways that may be disrupted by atypical antipsychotics. This review also discussed weight gain, hyperglycemia or occurrence of diabetes while being treated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from the point of view of pharmacogenetics. Pharmacogenetic research seeks to uncover genetic factors that will help clinicians identify the best treatment strategies for their patients. It will aid clinically in the prediction of response and side effects, such as antipsychotic-induced weight gain, and minimize the current "trial and error" approach to prescribing in the near future. This article also presents the genetics of both central and peripheral pathways putatively involved in antipsychotic-induced weight gain while provid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obesity literature. This article also review obesity related candidate molecules which may be disrupted during atypical antipsychotic drug trea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