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신건강지식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Patine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in Korea (일 종합병원의 간호행위에 대한 입원환자의 지각도와 만족도의 관계연구)

  • Eom, Ae-Yong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 /
    • v.13 no.4
    • /
    • pp.581-590
    • /
    • 2001
  • 목적: 의료수준의 발전과 더불어 대중들의 건강요구와 건강증진에 대한 기대 수준도 점점 높아지므로 간호사는 대상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환자가 인지한 간호에 대한 경험과 대상자가 경험한 간호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환자 간호의 질향상과 간호 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의 127명의 입원 환자가 간호 경험정도와 제공받은 간호에 대한 환자 만족도 정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결과: 첫째, 입원환자의 간호 행위에 대한 간호 지각도의 정도는 각 항목별 비교 분석한 결과 신체적 간호행위에 대한 지각도가 평균평점은 2.74로 가장 높았으며, 또한 환자가 지각한 간호행위에 대한 만족도는 기술-전문적 간호행위(M= 3.55)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일반적 제특성과 전체 간호행위의 지각도와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p< 0.1)에 따라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간호행위에 대한 지각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간호행위에 대 한 지각도의 하부영역 분류중 신체적간호행위에 대한 지각도는 입원과(p< 0.05)에 따라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일반적 제특성과 전체 간호행위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입원과(p< 0.05)에 따라 유의한 차가 있었다. 일반외과 환자가 내과 환자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입원환자의 간호 행위에 대한 환자의 지각도와 만족도간의 관계(r= 0.39, p= 0.00)는 서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대상은 1개 종합병원에 국한된 것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할 때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연구결과에서 보여주듯이 정신적 간호행위가 가장낮은 지각도로 나타났듯이 간호사는 환자들의 정신적 지지의 간호가 잘 이루어 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또한 교육적 간호행위의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므로 보다 더 환자와 간호사간의 정보교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전 진료과 병동으로 확대 반복 연구를 제언하며, 환자의 간호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전문적 지식 및 긍정적 의사표현등을 포괄하여 간호사의 적극적 간호행위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Health Care Practices of Korean Immigrants in Transition (재미 한인들의 건강관리 실천에 관한 연구)

  • Im Eun-Ok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 /
    • v.10 no.1
    • /
    • pp.39-57
    • /
    • 1996
  • 미국은 이제까지 서구 백인문화 중심적으로 간호학을 발전시켜왔다. 그러나 국제적인 세계화 흐름과 함께 이제까지 경시되어 왔던 소수 민족들에게 차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간호학의 추세와 함께 재미 한인들의 증가는 간호학 내의 한인들에 대한 문화적 지식의 확대를 필요로 하게 하였다. 이민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이민자들은 새로운 가치관. 태도. 사회적 규범을 획득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이민 적응과정에서 오는 어려움 들은 이민자 들이 건강관리를 효과적으로 하지 못하게 하는 주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재미 한인들의 건강관리실천을 그들의 초기 이민 과정에서 겪게 되는 여러 경험에 초점을 맞추면서 면담조사와 사례 연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임의 표본 추출된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 있는 한 한인 교회의 20명의 교민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초기 이민경험과 건강관리 실천에 관한 면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대상자 중 3인을 대상으로 하여 사례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재미 한인들은 타이민자들에 비해 소규모 사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고 높은 취업 율에 비해 낮은 수인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들은 타이민자들에 비해 좀 더 보수적이며 그들의 문화와 관습을 가능한 한 고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인들은 사회 참여와 대인 관계에 있어서 한인 사회에만 한정되게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 한인들은 한인 사회 내에서 강력한 사회적 유대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의 영향력이 타민족들에 비하여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 장벽이 가장 큰 문제로 보고되고 있으며 비록 성공적으로 미국 사회에 적응을 하더라도 계속적인 경제적인 생존 노력과 사회적으로 소외된 그들의 위치는 그들의 삶을 계속해서 어렵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초기 이민 적응과정에서 오는 어려움 들은 그들의 건강을 비효과적으로 관리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적절한 통역자를 사전에 선정, 이용함으로써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겠다. 둘째. 한인을 대하는 간호 제공자들은 한인에 대한 문화적 지식을 겸비하고 그 지식에 근거를 둔 문화적으로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간호 제공자들은 한인들의 치료법 혼용을 이해하고 동시에 여러 치료법을 사용하는 경우. 잘 살펴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넷째, 가족관계를 사정하고 적절히 가족 구성원을 간소 목적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이들 내의 위험 집단을 우선적으로 파악. 접근하여야 할 것이다. 위험 집단으로는 경제적 문제로 적절한 의료 이용을 할 수 없는 저소득층, 문화적으로 열등한 위치에 있는 여성층과 초기 이민 적응에 가장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는 노년층을 들 수 있겠다. 이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연구 대상자 선정이 어려워서 자원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행해졌다. 둘째. 적은 수의 연구 대상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행해졌다. 셋째. 연구기간이 짧았던 까닭에 좀더 상세한 사례 연구가 이루어질 수 없었다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표본 추출 방법을 통하여 선정된, 많은 연구 대상자를 가지고, 심도 있는 연구가 추후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Education Need of the Visit ing Health Service Work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Public Health Facilities (일부 공공보건기관 방문보건요원의 교육요구도 조사)

  • Kim, Young-Lak;Kim, Shin-Woel;Chung, Eun-Kyung;Choi, Jin-Su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7 no.1
    • /
    • pp.51-64
    • /
    • 2002
  •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visiting health service workers. The subjects were 144 visiting health service work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rea who responded the mail questionnai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July, 2001 using questionnaire composed of the education need, knowledge by subjective appraisal, and experience of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received at least one education within recent three years were 43(29.9%) at the central level, 57(39.6%) at the provincial level and 53(36.8%) at the district level. The satisfaction with education was higher at the central level than at the provincial and district level. 2. Knowledges by subjective appraisal on the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was relatively high. while that of 'rehabilitation' was low. 3. The knowledge by subjective appraisal of visiting health service was related with experience of education and license status. The knowledge was higher in registered nurses than in nurse aids. The curricula related to increased level of knowledge of visting health service workers were 'elderly health care', 'rehabilitation' and 'psychiatric-mental health nursing' educations at the central level 'continuing education for the community health practioners' and 'psychiatric-mental health education' at the provincial level and 'elderly health care', 'rehabilitation' 'psychiatric-mental health' and 'acute diseases control' educations at the district level. 4. The respondents preferred elderly health management as the contents of education, officer group education as the method of education, province(30.4%) as the main body of education, exercise and practice as the form of education, 2-3 times per year as the frequency of education, and 3-5days as the period of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suggest that future education program should be planned to increae the knowledge level of visiting health service workers by reflecting their educational need.

  • PDF

Factors Affecting Post-operative Uncertainty of the Patients Undergone Lumbar Spinal Surgery (허리 척추수술환자의 수술 후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 Jun, Myunghee;Jung, Jiyoung;Kim, Minsuk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 /
    • v.19 no.3
    • /
    • pp.294-307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ain factors affecting patients' uncertainty following lumbar spinal surgery.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f a sample 155 post -operative patients in April to June 2010. Uncertainty and knowledge about self-care after spinal surgery and the back pain evaluation wer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The mean score of uncertainty level was $27.66{\pm}6.32$. Levels of uncertainty were different by age, gender, educational level, pain duration, and number of types of pain. Uncertain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knowledge of post-op self-care, back pain, and mental health.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indicated that knowledge of post-op self-care and mental health were significant predictors with 35.1% of the variance in uncertainty. Conclusion: A program including post-operative self-care education and mental health promotion is required to reduce uncertainty of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urgery.

Survey of Knowledge on Insomnia for Sleep Clinic Clients (수면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들의 불면증에 대한 인식조사)

  • Soh, Minah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26 no.1
    • /
    • pp.23-32
    • /
    • 2019
  • Objectives: Insomnia is not only the most common sleep-related disorder, but als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Knowledge of the comorbidities of insomnia is essential for proper treatment including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methods to prevent disease chronification.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sleep clinic patients' knowledge of insomnia.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44 patients (24 males and 20 females; mean age $54.11{\pm}16.30years$) from the sleep clinic at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All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report questionnaire about their reasons for visiting a sleep clinic and about their knowledge of treatment and comorbidities of insomnia. Results: The reasons for visiting the sleep clinic were insomnia symptoms of daytime sleepiness, irregular sleeping time, nightmares, snoring, and sleep apnea, in that order. Of the responders, 72.7% had a comorbidity of insomnia, and 22.7% showed high-risk alcohol use. In addition, 70.5% of responders chos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insomnia as the first option and reported collection of information about treatment of insomnia mainly from the internet and medical staff. More than half (52.3%)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never heard about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of insomnia such as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CBT-I) or light therapy. The response rate about comorbidities of varied, with 75% of responders reporting knowledge of the relation between insomnia and depression, but only 38.6% stating awareness of the relation between insomnia and alcohol use disorder. Of the total responders, 68.2% were worried about hypnotics for insomnia treatment, and 70% were concerned about drug dependence.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atients at a sleep clinic had limited knowledge about insomnia.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ized insomnia treatment guidelines and educational handbooks for those suffering from insomnia. In addition, evaluation of alcohol use disorders is essential in the initial assessment of sleep disorders.

The Effect of Motivational Counseling Program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Smoking Cessation and Smoking Cessation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금연지식, 금연태도 및 금연행위에 미치는 효과)

  • Shin, Eun-Sun;Kim, Soo-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1
    • /
    • pp.444-45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otivational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knowledge and attitude of smoking cessation and smoking cessation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42 third grade students of M and D middle school in G city (experiment group 21, control group 21). The treatment of this study, motivational counseling program was modified by author based on Lim(2010), developed by Valasquez(2001). The effects of this study were evaluated with the scales for smoking knowledge, smoking attitude, daily cigarette consumption, and the scales of stage of chang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rcentage and t-test using SPSS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motivation counseling program had higher scores in knowledge(t=8.99, p=.000) and attitude(t=2.77, p=.008) of smoking cessation and stage of change(t=3.85, p=.000), and lesser daily cigarette consumption(t=-3.68, p=.001)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the motivational counseling program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smoking cess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is recommended that the motivational counseling program will be used as useful psychiatric nursing intervention for smoking prevention, smoking cessation, and mental health promo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Factors Influencing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in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Health Belief Model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예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건강 신념 모델에 집중)

  • Eun Young Yang;Bong Hee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3
    • /
    • pp.739-747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COVID-19-related knowledge, perception of infection risk, and health beliefs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COVID-19 prevention behaviors, and to provide the necessary basic data for the preparation of measures to improve the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161 nursing students 4th in G city. Data analysis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a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Preventive Behavior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VID-19 Risk Perception(r=.217, p=.006), Health Belief Model of Perceived benefit(r=.206, p=.009)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Perceived barriers(r=-.219, p=.005).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he Preventive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were the Perceived benefit (β=.17, p<.001), mental health status after COVID-19(β=.188, p=.014), and these factors explained 58% in Preventive Behaviors(F=9.686, p=.000).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nursing students' health belief promotion programs, infection-related curriculum, and emotional support programs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to improve the degree of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Determinants of the Socio-economic and Emo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Korea (한국노령인구의 사회.경제적 상황의 결정요인)

  • 노공균;조소영;신동숙;이태훈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4 no.2
    • /
    • pp.45-70
    • /
    • 1991
  • 1. 문제점(Setting of Problems) 산업의 급진적인 진보는 고도의 기술사회(high-tech societies)를 창출해 내었고, 이로 인해 생산양식뿐만 아니라, 가치체계 및 생활양식이 급진적으로 변화하였다. 동시에, 산업화 및 생활수준의 향상은 인구통계학적 변천(demographic transition)을 가져와, 인구의 노령화가 이루어졌다. 산업화에 의해 발생된 이러한 현상들, 즉 가치체계의 변화와 인구의 노령화가 바로 문제의 핵심인 것이다. 산업화는 효율(efficiency)에 높은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정신적인 인간관계측면의 중요성을 무시하고, 노령화란 다차원적(multi-dimensional) 문제를 일으켰다.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책으로서 서구적인 가치개념은 노인들의 생활의 질(quality of life)를 향상시키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물질적인 면 이외에 정신적인 면의 접근법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 2. 연구의 목적(Objective of the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있어서의 인구의 노령화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에 의해 노령화라는 다차원적 문제에 대한 지식을 얻으므로써, 사회, 공동체 및 가족 수준에서의 노령화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 비서구적 접근법 및 정책적 전략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게 되기를 희망한다. 3. 방법론(Methodology) 1) 자료 수집(Data Collection) 자료는 다음 세가지 원천으로 부터 얻어졌다. 첫째, 출판된 자료 및 회의서류 둘째,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의 협조로 행해진 설문지 조사 셋째, 자체 연구팀에 의해 행해진 면담 2) 자료분석(Data Analysis) 인과분석(cause-effect types of analysis)은 probit, logit, path analyses에 의해 행해졌다. 이 연구논문에는 trend analysis의 결과는 제시되지 않았는데, 이는 다양한 정부기관에 의해 출간된 분석들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4. 연구분석의 결과 첫째, 경제적 요인은 노인들의 생활상태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노인의 사회적인 통합이 강할수록 보다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sex), 교육정도, 주거지역 등이 노인의 고용상태 및 소득수준과 큰 관계가 있다. 넷째, 교육정도, 사회적 결합(social integration) 등이 건강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다섯째, 사회적 통합, 건강상태, 독립심 등이 노인의 정서적 상태에 큰 영향을 미친다.

  • PDF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net-base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with a Trauma Focus (트라우마 초점의 인터넷 기반 인지행동치료 개발을 위한 제언)

  • Choi, Yun-Kye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2
    • /
    • pp.261-274
    • /
    • 2020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internet-base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with a trauma focus (iCBT-T)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Western societies, but these studies have just begun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practical considerations to developing and managing the iCBT-T program.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iCBT-T, this author suggested a model of convergence and collaboration between mental health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to develop the iCBT-T program. This article outlines practical considerations, including focus and target groups of iCBT-T, intervention types of iCBT-T (open access vs. guided), number of sessions, ethical issues, professional support, and degree of user involvement. Methods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internet as a medium are also proposed in the iCBT-T program. The convergence model of CBT-T and ICT is expect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users who experience traumatic events.

Usability Evaluation of a Mobile App for Sexual Violence Survivors (성폭력 피해 경험자를 위한 모바일 앱 사용성 평가)

  • Lee, Jieha;Park, Young;Jung, Jai E.;Kim, Kihyun;Park, Joo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9
    • /
    • pp.700-71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mobile app 'Allive' to improve accessibility to resources and mental health services among sexual violence survivors. Participants include survivors of sexual violence as well as service providers at sexual violence crisis intervention centers. The usability test was conducted as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after study participants used the app in a real-life environment. The results of usability testing highlighted the positive and beneficial impact on mental health function as well as accessibility to essential resources for those who have experienced sexual viol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