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서적 불안정성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특수교사의 정서적 불안정성 축약판 척도의 타당화 연구 (The Study on Validation of a Short Form of the Affective Lability Sca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 최성규;최선아
    • 특수아동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207-232
    • /
    • 2018
  •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정서적 불안정성 축약판 척도의 타당화 연구이다. 연구방법: 전국의 특수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 496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Look 등(2010)이 제안한 정서적 불안정성 척도 18개 축약판 문항을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적용한 결과, 선행연구와 불안/우울과 동일하게 18개 문항에 대한 타당도가 검증되었으나, 선행연구의 3개 요인이 아닌, 들뜸/분노와 같이 2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성별, 학력, 교직경력은 불안/우울 척도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제공하는 변인이었다. 그러나 들뜸/분노 척도는 배경변인별에 관계없이 모두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18개 문항 중에서 4개의 문항이 삭제되었다. 불안/우울과 들뜸/분노 척도는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두 요인에 대한 모든 문항은 높은 설명력을 확보하고 있었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사의 정서적 불안정성 축약판 척도는 14개 문항으로 구성되며 타당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드라마 시리즈물 몰아보기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및 구조적 요인에 관한 고찰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Structural Determinants that Affect Binge-Watching of Drama Series)

  • 이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05-418
    • /
    • 2018
  • 본 연구는 미디어 환경 변화 속에서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드라마 시리즈물 몰아보기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실증적으로 이들 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기존 연구 문헌 고찰을 통해 영향 가능 요소로서 인구 통계학적 요인들, 시간적 가용성, 인지된 인터페이스 효율성, 인지된 콘텐츠 다양성, 정서적 불안정성, 드라마 몰아보기 동기들 등이 드라마 시리즈물 몰아보기 행위에 어떤 영향이 있는 지를 확인해 보았다. 또한 드라마 관여도의 조절 효과 또한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정서적 불안정성, 드라마 몰아보기 동기로서 즐거움과 스트레스 해소 동기, 프로그램 평판 동기 등이 드라마 시리즈물 몰아보기 행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라마 관여도의 조절 효과 또한 발견되었다. 연구의 결과가 지닌 의미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청소년의 감정조절전략이 정서적 불안정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dolescents' Emotional Control Strategy on Emotional Instability and Stress)

  • 전지영;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507-51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감정 조절 전략이 정서적 불안정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울산시 청소년 1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한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인과 관계에 대한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의 감정 조절 전략이 직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감정 조절 전략의 하위요인인 감정 중심 전략 요인은 정서적 불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지 중심 전략 요인은 정서적 불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감정 조절 전략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감정 조절 전략의 하위요인인 감정 중심 전략 요인은 스트레스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지 중심 전략 요인은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정 중심 전략 요인이 높을수록 정서적 불안정성과 스트레스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청소년의 정서적 불안정과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ntecedents Affecting th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in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of OTT

  • Yujin Kim;Hyung-Seok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161-175
    • /
    • 2024
  • 본 연구는 OTT 개인화된 추천서비스에 대한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 의도에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OTT 개인화 추천시스템의 특성을 정확성, 다양성, 신기성으로 하였고, 성격 5요인 모형인 친화성, 정서적 불안정성, 성실성,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을 활용하였다. 또한 지각된 투명성을 추출하여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개인정보 제공 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서비스 혜택과 개인정보 제공 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 후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 의도에 있어 조절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개인화 추천시스템 특성들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격 5요인 중 정서적 불안정성,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투명성 역시 프라이버시 염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라이버시 염려와 서비스 혜택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 간에 서비스 혜택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OTT 기업들이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외식기업 서비스종사원의 성격요인이 조직시민행동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rvice Employee's Personality on OCB and Customer Orientation in Foodservice Business)

  • 김영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84-99
    • /
    • 2012
  •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서비스기업 종사자의 성격특성요인이 조직시민행동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실증분석을 위해 207명의 외식기업 서비스종사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진행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기업 종사원의 성격요인은 5가지 요인; 정서적 불안정성,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지적 개방성 등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서비스기업 종사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종사원의 성격특성요인은 지적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 외향성 등의 4가지 성격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서비스기업 종사원의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종사원의 성격특성요인은 5가지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정서적 불안정성요인은 고객지향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비스기업 종사원의 조직시민행동은 고객 지향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천안지역 공단 근로자를 중심으로- (Effects of the Personality Traits of Baby Boomers on the Preparation Behaviors for the Old Age -Focused on the Cheon-An Industrial Complex's Workers-)

  • 유인순;최수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45-262
    • /
    • 2012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성격특성 및 노후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성격5요인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로 천안시 공단지역 근로자 3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및 t-test, ANOVA,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성격특성과 노후준비행동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 중 외향성과 개방성, 그리고 성실성은 신체적 노후준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정서적 불안정성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호감성은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사회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실성과 개방성, 외향성이 정(+)의 영향을 미쳤고, 정서적 불안정성과 호감성은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서적 불안정성, 외향성, 개방성, 성실성이 영향을 미치고 호감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OTT 개인화 추천 서비스에서의 개인 정보제공 의도에 미치는 선행요인 연구: 5요인 성격모형의 적용 (Precedents Affecting the Intention to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in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of OTT: Application of Big-Five Personality Model)

  • 김유진;이형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209-21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OTT 개인화 추천 서비스에서 5요인 성격이론을 적용하여 사용자들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가설을 도출하였다. OTT 개인화 추천 서비스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격이론인 친화성, 정서적 불안정성, 성실성,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다섯 가지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OTT 추천 서비스의 특성인 추천서비스의 정확성, 추천서비스의 다양성, 추천 서비스의 신기성 세 가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5요인 성격이론을 OTT 개인화 추천서비스 연구에 적용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OTT 기업들이 사용자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행동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어머니의 양육행동 내적 귀인과 정서적 불안정성이 부모역할에 대한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al Internal Attributions and Neuroticism on Self-Perception of the Parental Role)

  • 이은경;한세영
    • 아동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9-62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mothers' parental internal attributions and neuroticism on self-perception of the parental role. Methods: A total of 138 mothers with toddlers in Seoul and other big cities in Korea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who attributed their successful parenting to ability showed lower satisfaction, and mothers who attributed their successful parenting to ability and effort showed higher feelings of equilibrium. Mothers with higher levels of neuroticism showed higher competence, parental investment, and satisfaction in their self-perception of the parental rol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bility attribution and neuroticism on feelings of equilibrium, between effort attribution and neuroticism on feelings of equilibrium, between ability attribution and neuroticism on competence, and between effort attribution and neuroticism on parenting investment.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neuroticism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elf-perception of the parental role because neuroticism indicates sensitivity in parenting. Further, the effects of neuroticism on self-perception of the parental role differed by mothers internal attribution.

어머니와 아동의 정서적 불안정성이 아동의 귀인양식에 미치는 영향: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애정·합리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Mothers'and Children's Emotional Instability on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Perceived Mediating Effect of Affectionate-Rational Parenting)

  • 한아름;한세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21-41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mothers' and children's emotional instability and maternal affectionate-rational parenting on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53 4th,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in Seoul and Incheon. Data were analyzed by path analysis using AMOS 21.0.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for negative and positive event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emotional instability and maternal affectionate-rational parenting. Also, mothers' and children's emotional instabil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ffectionate-rational parenting. Second, mothers' emotional instability had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for negative and positive events through maternal affectionate-rational parenting. Finally, children's emotional instability had not only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for positive achievement events, but also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for negative and positive events through maternal affectionate-rational parenting.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oth environmental and individual factors, including mothers'and children's emotional instability and maternal affectionate-rational parenting, need to be considered to explain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Also,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and parental education.

우리나라 부부갈등과 부부관계 유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ability of Marital Relationship in Korea : Marital Conflict and the Type of Marital Relationships)

  • 최선희;전명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8권
    • /
    • pp.284-308
    • /
    • 1999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부부의 갈등영역과 부부관계 유형에 따른 부부관계에서의 불안정성 정도와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국의 기혼 남녀 1,217명을 대상으로 전국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우리나라 부부들이 가장 많은 갈등을 겪고 있는 영역으로는 습관의 차이, 가사일 분담, 여가 혹은 취미활동 등으로 정서적인 것보다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것들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부부관계의 유형을 부부간의 만족도와 불안정성을 두 축으로 하여 네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있는데, 부부관계가 불만족스럽고 불안정한 유형 (A) 이 8.3%, 반면에 부부관계의 만족도도 높고 안정성도 있는 유형 (D)은 68.4%로서 전체적으로 볼 때 비교적 안정적 결혼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부부관계가 만족도와 안정성에서 불일치를 보이는 집단인 불만족/안정의 유형 (B)은 전체의 17.1%, 그리고 만족/불안정 유형 (C)도 6.2%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안정되고 만족한 결혼생활을 위해 개입이 요되는 부부가 30%가 넘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불만족스럽고 불안정한 유형은 우리나라의 이혼율을 볼 때 해체가능성이 매우 커서 이들에 대한 개입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이들 부부관계 유형과 부부갈등은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 전체적인 갈등정도(p<.000)와 갈등영역들(p<.05)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갈등영역 중 부부관계의 유형에 따라 특히 차이가 많은 영역은 애정/사랑의 문제와 가치관/인생관의 문제 및 역할기대 문제로써 이들에 대한 갈등관리가 만족하고 안정된 결혼생활을 위해 필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