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stability of Marital Relationship in Korea : Marital Conflict and the Type of Marital Relationships

우리나라 부부갈등과 부부관계 유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최선희 (한국 성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전명희 (건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Published : 1999.09.30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nationwide research concerning the degree and trends of marital conflict and instability. The research samples are 1,217 married.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most conflict able issues in Korean couples are on the husband-wife relations, such as habitual differences, sharing in houseworks, conflicts in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communication problems. In this study, We devide the marital relationships into 4 types (A, B, C, and D) in the view of the satisfaction & instability of marriage. First, the marriage with unsatisfaction and instability (A) was portioned 8.3%, and the satisfactory & stable type (D) was portioned 68.4%. It seems the marital relationships in Korea are relatively stable. However, the portion of type B-unsatisfactory, but stable couples-is 17.1% and the type C-satisfactory, but unstable marriage 6.2%. The result implies that the indication of marital instability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divorce rate, but also the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the intervention for the conflict couples yet not divorce is needed. The differences of conflict areas among the relational types is not so much, but the degrees on conflicts are very serious. Especially, in the areas of marital conflict, love issues and personal value system affect the division of relational types of marriage most. It means the interaction factors a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about maintaining the marital relations with stable and satisfaction.

이 연구는 우리나라 부부의 갈등영역과 부부관계 유형에 따른 부부관계에서의 불안정성 정도와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국의 기혼 남녀 1,217명을 대상으로 전국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우리나라 부부들이 가장 많은 갈등을 겪고 있는 영역으로는 습관의 차이, 가사일 분담, 여가 혹은 취미활동 등으로 정서적인 것보다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것들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부부관계의 유형을 부부간의 만족도와 불안정성을 두 축으로 하여 네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있는데, 부부관계가 불만족스럽고 불안정한 유형 (A) 이 8.3%, 반면에 부부관계의 만족도도 높고 안정성도 있는 유형 (D)은 68.4%로서 전체적으로 볼 때 비교적 안정적 결혼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부부관계가 만족도와 안정성에서 불일치를 보이는 집단인 불만족/안정의 유형 (B)은 전체의 17.1%, 그리고 만족/불안정 유형 (C)도 6.2%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안정되고 만족한 결혼생활을 위해 개입이 요되는 부부가 30%가 넘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불만족스럽고 불안정한 유형은 우리나라의 이혼율을 볼 때 해체가능성이 매우 커서 이들에 대한 개입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이들 부부관계 유형과 부부갈등은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 전체적인 갈등정도(p<.000)와 갈등영역들(p<.05)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갈등영역 중 부부관계의 유형에 따라 특히 차이가 많은 영역은 애정/사랑의 문제와 가치관/인생관의 문제 및 역할기대 문제로써 이들에 대한 갈등관리가 만족하고 안정된 결혼생활을 위해 필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