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서성 기질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3초

정신분열증의 음성증상소견을 보인 양측 전두엽 위축환자 1례 (A Case of Atrophy of Bilateral Frontal lobe Which Showed Negative Symptoms of Schizophrenia)

  • 노태용;김진성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544-549
    • /
    • 1993
  • 기질적 정신장애라 함은 뇌세포 기능의 장애로 인한 지남력 장애, 기억력 장애, 인격 기능 및 판단력의 장애와 정서의 천박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증상군으로 알려져왔다. 이에 본 저자들은 환자가 사회적 고립, 무의욕, 무감동, 사고의 빈약 등의 특징적인 정신분열증 음성증상소견을 주소로 입원하였으나 정밀한 검사를 한 결과 양측 전두엽의 위축으로 인한 기질성 정신장애로 밝혀진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그의 임상증상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유아의 외현적 공격성 및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유아의 성, 기질, 정서조절능력,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의 영향 (Effects of Preschool Children's Gender, Temperament,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Overt Aggress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 한준아;조윤주;김지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99-611
    • /
    • 201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plore the gender differences in children's overt aggress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and (2)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school children's gender, temperament,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overt aggress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173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three day care center and two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preschool children's overt aggression, but there wa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preschool children's relational aggression. Boys displayed more overt aggression than girls. (2)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activity explained children's overt aggress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When preschool children expressed more emotional regulation, they showed less overt aggress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Preschool children, who perceived having more activity from mothers, diaplayed more overt aggress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Gender was found to affect preschool children's overt aggression.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정서성 기질과 정서조절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on on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Dual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motional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 임지영;이윤정
    • 아동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51-66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motional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otional expression and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167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from Daegu city and Gyeonsang province. The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own emotional expression, children's temperament, emotion regulation, and behavior problems. Results: The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maternal emotional expression, preschoolers' emotional temperament, emotion 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s. Seco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through preschoolers' emotional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need to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to explain the level of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More specifically, the results highlight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청소년 ADHD 고위험군의 하위유형별 기질, 기질 적합성 및 문제행동의 차이 비교 (THE DIFFERENCE OF TEMPERAMENT, GOODNESS OF FIT AND BEHAVIORAL PROBLEMS IN ADHD SUBTYPES OF ADOLESCENT HIGH RISK GROUP)

  • 박해송;최은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1호
    • /
    • pp.106-116
    • /
    • 2005
  • 연구목적 : 초기 청소년 ADHD 고위험군을 과잉행동-충동성을 동반하지 않는 부주의성 유형(ADHD-I)과 과잉행동-충동성을 동반한 유형(ADHD-HI/C)으로 분류한 후, 이들 간에 기질 및 기질 적합성과 문제행동에서의 차이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서울 모 남자 중학교 1, 2학년생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ADHD 고위험군을 선정하기 위해 ADHD 행동증상을 평정하는 세 척도 '((1)' 한국어판 ADHD 평가척도, (2) 부모용 단축형 코너스 평가척도, (3) 청소년용 단축형 코너스-웰스 자가평정척도)를 사용하여 2개 척도 이상에서 상위 $20\%$에 해당하는 경우를 고위험군으로 선정하였고, 이 중 ADHD평정척도의 부주의성 차원과 과잉행동/충동성 차원을 활용하여 각각 상위 $20\%$의 조합으로 하위유형을 분류하였다. 최종 연구대상은 ADHD-I 고위험군이 25명, ADHD-HI/C 고위험군이 70명, 정상군이 70명 이었다. 기질 및 기질 적합도를 측정하기 위해 학생들에게는 '개정판 기질차원척도' (DOTS-R)를, 부모에게는 '개정판 기질차원척도 : 맥락' (DOTS-R : Ethnotheory)을 사용하였으며, 문제행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판 청소년 문제행동 자가평정 척도' (K-YSR)를 이용하였다. 결과 : 기질 면에서는 ADHD-HI/C 고위험군이 다른 집단에 비해 '일반적인 활동수준' (general activity)이 두드러지게 높았다. 부모의 기대 맥락에서는 '일반적인 활동수준'에서 ADHD-HI/C 고위험군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높아 자녀의 활동성에 대한 기대가 컸으며, '새로운 자극에 대한 융통/경직성' (flexibility/rigidity) 및 '기분' (mood) 면에서 세 집단 간에 차이가 유의미했는데 특히 자녀의 긍정적 기분을 기대하는 수준에서 ADHD-I 고위험군의 부모와 ADHD-HI/C 고위험군의 부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기질 적합도에서는 '기분'과 관련하여 세 집단 간에 차이가 유의미했는데, 특히 ADHD 고위험군의 두 하위유형은 정상군보다 '기분'과 관련된 적합도과 낮아 정서적인 차원에서 부모-자녀 간 부적합성이 ADHD의 행동증상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하였다. 문제행동 영역에서는 ADHD-HI/C 고위험군이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 모두에서 뚜렷하게 문제행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DHD 하위유형별로 비교할 때 외현화 문제에서는 ADHD-HI/C 고위험군이 ADHD-I 고위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심각했지만 내면화 문제에서는 두 유형 간에 심각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초기 청소년 ADHD 고위험군의 기질 및 기질 적합성 특성이 하위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청소년 ADHD 행동증상 및 하위유형의 발현이 기질 뿐 아니라 환경과의 상호작용과 중요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청소년 ADHD 행동증상과 하위유형은 기질 특성에서는 활동성 차원이, 기질 적합성 특성에서는 기분 차원이 연관이 있었다. 문제행동 특성에서는 하위유형별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 PDF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과 스마트폰 과다사용 간의 관계: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ity on Their Smartphone Overuse: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ticipation in Play)

  • 김은혜;장경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35-51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ity on their smartphone overuse an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mothers' play particip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ity and their smartphone overuse. Methods: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 274 mothers and their children aged 2 to 4 years old. The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ediation analysis using SPSS 23.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ity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ir smartphone overuse. Second, Their emotionalit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mothers' play participation. Finally, the mothers' play participat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ity and smartphone overuse.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parent education for supporting mothers' play participation to prevent children from developing smartphone overuse.

감성 발현체로서의 시조의 역동성 (Dynamics of Sijo as a manifestation of Gamsung)

  • 조태성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42권
    • /
    • pp.93-115
    • /
    • 2015
  • 시조의 역동성은 한때 그것이 '닫힌 성격'의 장르였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오늘날 바로 그 '닫힌 성격' 덕분에 여러 분야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문학이라는 본래 영역은 물론이거니와 때로는 글쓰기 학습에도 원용되는 사례들도 있었다. 더욱 두드러지는 사례는 시조가 문학치료, 나아가 감성치유의 영역에서 곧잘 언급된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런 재조명 과정의 하나로 감성 발현체로서의 시조의 역동성을 논의하였다. 문학 장르로서의 시조가 가지고 있는 서정성을 넘어 서정이라는 그릇으로서의 시 안에서도 감정이나 정서뿐만 아니라 이성적인 것들 또한 얼마든지 상호 공유될 수 있다는 점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서였다. 물론 서정성이라는 개념이 시조의 역동성을 스스로 제한해버리는 한계를 노출시킬 수 있다는 점도 분명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 주로 언급하는 '감성'이라는 키워드 역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시조가 가진 역동성을 최대한 드러내 보이려는 시도에서 사용되었다. 즉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감정 혹은 정서에 치중한 면이 강하다고 평가되었던 시조의 감성적 기질에 더해 그것이 가지고 있던 이성적 면모까지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시조라는 장르가 인간의 감성을 가장 역동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던 것이다. 물론 이런 감성적 기질과 이성적 면모는 시조의 구조를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1) 맞서게 하기, (2) 역동적으로 느끼기, (3) 느낌으로 호명하기, (4) 느낌으로 느끼기' 등으로 구조화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해보기도 하였다.

  • PDF

영아기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행동이 3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 연구 (The Effects of Negative Emotionality and Mother's Social Parenting during Infancy on Peer Interaction at Age 3 : A Longitudinal Study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 최인숙
    • 아동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147-164
    • /
    • 2015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trajectories of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mother's social parenting over a 3-year period (for children at ages 1-3) and to then analyze the bidirectional effects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longitudinal casual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mother's social parenting and peer interaction at age 3 was also examined. The data, taken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negative emotionality was seen to have increased by 2 years of age, whereas the level of mother's social parenting decreased by this point. Second, higher initial negative emotionality predicted decreases in mother's social parenting, However, higher initial mother's social parenting predicted increases i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The initial level and slope of mothers' positive parenting predicted peer interaction at age 3, while only the slope of negative emotionality predicted peer inter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mperament and parenting predict changes in each other and peer interaction.

학령전환기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n the Transitional)

  • 송진영;송진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85-102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의 학령전환기에 있는 만 5세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유아, 교사 및 부모의 관련 변인과 유아의 문제행동에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은 학령전환기에 있는 만 5세 유아와 그들의 부모, 그리고 만 5세 유아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와 백분율,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문제행동은 어머니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둘째, 유아의 기질, 유아의 자아탄력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인성특성, 교사-유아관계, 교사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문제행동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교사-유아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을 가장 잘 예언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변인과 부모변인, 교사변인이 각각 그리고 상호적으로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어느 정도 설명력을 갖는지를 살펴봄으로서 문제행동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실천에서의 통합모델을 제시하였다고 본다.

개인기질과 치과치료와 관련된 공포감간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Dental Fear)

  • 차정단;김지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39-54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울산시내 일부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이 갖는 치과치료와 관련된 공포감과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질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4개 고등학교 남 학생들을 대상으로 DFS와 EAS의 정도를 측정하여, 최종 1,841명의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DFS(0.957), EAS(0.630)의 Cronbach 신뢰도 계수가 모두 0.6이상으로 양호하게 나타나 설문도구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2.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고, 개인기질 유형 중 기질 III(양가적인 정서조절 군)이 다른 유형에 비해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이 낮았다.

  • PDF

외상후 기질성 정신장애 환자의 뇌손상 부위에 따른 다면적 인성검사, 한국판 웩슬러 지능검사 결과비교 (Comparison of Sites of Intracranial Injury and the Results of MMPI & K-WAIS in the Patients with Post-Traumatic Organic Mental Disorder)

  • 김태호;나철
    • 정신신체의학
    • /
    • 제9권1호
    • /
    • pp.37-48
    • /
    • 2001
  • 연구목적 : 외상후 정신장애 환자들을 두부손상의 부위에 따라 국소화시켜 구분하여 감정장애와 인지기능 장애가 어떻게 관련되는지 심리검사를 분석하여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두부외상 후 기질성 정신장애 환자를 MRI 판독에 따른 부위에 따라 4 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다면적 인성검사와 한국판 펙슬러 지능검사 척도에 따라 차이를 평가하였다. 결과 : 다면적 인성검사의 우울증 척도는 좌반구 손상환자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고 한국판 웩슬러 지능검사의 토막짜기 척도는 우반구 손상환자 군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 두부외상후 발생하는 정서장애와 인지장애는 병변의 위치에 따라 특정반구의 특정 부위가 상대 우위적인 역할을 하고 병변의 위치에 따른 심리검사 결과 분석이 임상경과와 치료 예후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