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착강도시험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1초

친수성 프라이머를 이용한 교정용 브라켓 접착시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 with hydrophilic primer)

  • 박철완;차경석;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3-300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부식된 법랑질에 수분이나 타액이 오염되어도 적절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다고 소개된 교정용 친수성 프라이머를 이용한 교정용 브라켓 접착시 타액 오염 정도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와 접착 파절 양상을 기존의 소수성 프라이머와 비교함으로써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사람의 소구치를 강철 원통에 교정용 레진으로 포매하여 만든 시편에 기존의 소수성인 Transbond XT primer와 친수성인 Transbond MIP primer각각에 대하여 광중합형 접착 레진으로 브라켓을 접착시, 인공 타액을 이용한 오염정도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만능시험기로 측정하고, 접착 파절 양상을 stereomicroscope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건조 상태에서 Transbond XT primer와 Transbond MIP primer의 전단결합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타액 오염시 그 정도에 상관없이 Transbond MIP primer는 Transbond XT primer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전단결합 강도를 나타냈다(p<0.001). 3. Transbond MIP primer는 한 겹의 타액 오염시 건조 상태와 전단결합강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두 겹의 타액 오염시에는 유의하게 낮은 결합강도를 나타냈다(p<0.01). 4. 접착 파절 형태는 타액 오염의 정도에 따라 평균 접착제 잔류 지수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Transbond MIP primer는 타액 오염시에도 반 이상이 브라켓-레진 계면에서의 파절을 보였으나, Transbond XT primer는 타액 오염시 대부분의 경우 레진-법랑질 계면에서의 파절을 나타냈다. 이상의 실험 결과, 교정용 친수성인 Transbond MIP primer는 수분 조절이 어려운 임상 상황에서 적절한 결합강도를 얻을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생각된다.

섬유강화 복합레진 포스트의 결합강도에 대한 포스트 공간 적합도 및 접착 시멘트의 영향 (The influence of fitness and type of luting agents on bonding strength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resin posts)

  • 배꽃별;정혜윤;황윤찬;오원만;황인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4호
    • /
    • pp.187-194
    • /
    • 2023
  • 목적: 포스트와 포스트 공간의 크기 불일치는 포스트 수복 중 흔히 발생하는 문제이며, 이러한 불일치는 섬유강화 복합레진 포스트의 결합강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보상할 수 있는 적절한 접착 시멘트가 필요하다. 연구의 목적은 섬유강화 복합레진 포스트의 결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포스트 공간의 적합도와 접착 시멘트 종류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발거된 30개의 하악소구치를 근관 치료한 뒤, 준비된 포스트 공간에 따라 Fitting (F)과 Mismatching (M)의 두 그룹으로 분류했다. 이들 그룹은 접착 시멘트 종류에 따라 다시 RelyX Unicem (ReX), Luxacore dual (Lux) 및 Duolink (Duo)의 세 가지 하위 그룹으로 추가로 분류했다. 이후 시편을 만들어 만능 물성 시험기 상에서 결합 강도를 측정했고 각 시편의 파절 양상을 관찰하여 분류했다. 결과: 실험의 결과로 ReX 및 Duo 하위 그룹에서는 F 그룹의 평균 결합 강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Lux 하위 그룹은 F 그룹과 M 그룹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파절 양상 분석에서 ReX 하위 그룹은 시멘트와 상아질 사이의 접착 실패만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섬유강화 복합레진 포스트의 결합강도는 접착 시멘트의 종류, 포스트 공간과 포스트 직경의 불일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Rex는 다른 접착 시멘트와 비교 시 유의하게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다. 포스트 직경은 모든 그룹에서 F그룹이 M그룹보다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며, 이 값은 ReX와 Duo 두 그룹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Stainless steel crown을 위한 수종 시멘트의 접착력 비교 (A COMPARISON OF THE BOND STRENGTHS BETWEEN SOME CEMENTS AND STAINLESS STEEL MATERIAL)

  • 김홍렬;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28-537
    • /
    • 1999
  • Stainless steel crown은 소아치과 영역에서 가장 효과적이면서 신뢰할 수 있는 수복방법으로 그 사용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선학들의 연구에 의하면, stainless steel crown의 장착에 있어서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가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8배 이상의 유지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stainless steel crown 시술에 있어서 시멘트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tainless steel crown의 접착을 위하여 임상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인산아연 시멘트,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 접착용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접착력을 비교분석 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인산아연 시멘트로 FLECK'S,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로는 HY-Bond, 접착용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로는 Vitremer, stainless steel로는 Sun-Platinum plate를 사용하였다. Bovine teeth,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Fuji II LC), 아말감(Valiant)상에 3종의 시멘트로 형성된 기둥을 세워 양자간의 접착력을 측정하였고, 한편으로는 stainless steel plate 상에 3종의 시멘트 기둥을 세워 또한 양자간의 인장접착 강도를 만능시험기로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ANOVA와 Student t-test로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tainless steel crown에 대해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가 인산아연 시멘트보다 높은 인장결합강도를 보였고,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2. Bovine teeth와 수복용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에 대해서는, 접착용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가 가장 높은 인장결합강도를 보였고, 다음으로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와 인산아연 시멘트의 순이었다. 3. 아말감 수복재에 대해서는,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와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가 인산아연 시멘트보다 높은 인장결합강도를 보였고,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와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목재 보존용 액상 접착제의 제조 및 물성 연구 - 젤라틴과 카라기난 합성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nufa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Liquid Adhesive for Wood Preservation - Focusing on the Synthesis of Gelatin and Carrageenan -)

  • 오승준;한원식;위광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01-806
    • /
    • 2021
  • 전통 접착 소재인 아교의 사용성과 해초 추출물 카라기난의 겔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두 재료를 혼합하여 목재 보존용 액상형 접착제를 제조하였으며, 9종의 천연 및 합성 접착제와의 물성 비교를 통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제조한 목재 접착제는 15 wt% 아교 수용액과 λ-carrageenan, 항균제, 소포제 등을 혼합하였으며, 1.80 Mpa의 최대 접착 강도를 확인하였다. 비교 결과 5종의 전통 천연 접착 성분(수용액)과 Polyvinyl acetate 기반 접착제 1종보다 우수한 접착 강도가 나타났으며, 총호기성생성균수와 유해성(TVOC, HCHO, 중금속) 시험 결과 불검출로 항균성과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젖음성 시험과 전기-미세역학 시험법과 통한 단 카본섬유/산처리된 CNT-에폭시 나노복합재료의 분산과 자체-감지능 (Single Carbon Fiber/Acid-Treated CNT-Epoxy Composites by Electro-Micromechanical Technique and Wettability Test for Dispersion and Self-Sensing)

  • 장정훈;왕작가;공조엘;구가영;박종만;이우일;박종규
    • 접착 및 계면
    • /
    • 제10권2호
    • /
    • pp.90-97
    • /
    • 2009
  • 세 가지의 다른 산처리를 한 단일 탄소섬유로 함침된 CNT-에폭시 나노복합재료는 전기-미세역학적 기술과 젖음성 시험법을 사용하여 분산과 자체-감지능을 조사하였다. 자체-감지능은 접촉저항의 노이즈가 산 처리되지 않은 CNT보다, 산 처리된 단일 탄소섬유 CNT-에폭시 나노복합재료가 다소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에, 겉보기 강성도는 산 처리를 한 경우가 응력전달이 더 잘되어, 산처리 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컸다. 탄소섬유와 CNT-에폭시간의 계면전단강도는 CNT 첨가로 인하여 점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탄소섬유와 순수 에폭시간의 경우보다 낮게 나타났다. CNT-에폭시 나노복합재료는 순수 에폭시보다 더 큰 소수성을 보여 주었다. 열역학적인 접착일은 계면전단강도와 대략 비례적인 관계를 보여주지만, 겉보기 강성도는 접착일과는 반비례를 나타내었다.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서, 최대조건 대신에 최적의 산처리 조건이 필요로 할 것이다.

  • PDF

Capillary 특성을 활용한 섬유 조건에 따른 유리섬유강화 복합재료의 함침성 및 계면강도 평가 (Evaluation of Wettability and Interfacial Property of Glass Fiber Reinforced Composite with Different Glass Fiber Conditions via Capillary Effect)

  • 김종현;권동준;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4권5호
    • /
    • pp.305-310
    • /
    • 2021
  • 섬유강화복합재료의 기계적물성은 섬유의 체적분율 및 사이징제 조건에 의한 계면강도에 영향을 받는다. 최적의 계면은 기지층에서 강화재로의 기계적 응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응력 집중을 완화하고 결과적으로 복합재료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징제 조건 및 섬유체적분율에 따른 에폭시 수지와 유리섬유 간의 젖음성 및 계면강도를 평가하였다. 정적 및 동적접촉각을 이용하여 사이징제가 다른 유리섬유와 에폭시 수지의 표면에너지를 계산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접착일을 계산하였다. 유리섬유 토우 캐필러리 시험법을 이용하여 젖음성을 평가하였고, 마이크로드롭렛 인발시험을 통해 계산된 계면전단강도를 이용하여 계면강도를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젖음성과 계면강도를 활용하여 최적의 유리섬유강화 복합재료 제작 조건을 확인하였다.

요소·멜라민 접착제의 수지 조성에 따른 마루판의 천연무늬단판 접착성 및 포름알데히드 방출에 대한 연구 (Studies on Adhesion of Fancy Veneer and Formaldehyde Emission of Wood-Based Floorings by Mole Ratios of Urea and Melamine)

  • 강은창;박종영;박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165-171
    • /
    • 2002
  • 본 연구는 마루판의 천연무늬단판 접착에 이용되고 있는 요소-멜라민 접착제의 수지조성에 따른 접착성능 및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요소에 멜라민에 대한 포름알데히드의 몰비 1.0, 1.1, 1.2, 1.4를 기준으로 제조된 접착제로 마루판용 합판과 섬유판에 천연무늬단판을 접착한 목질마루판에 의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화학양론적으로 멜라민-요소와 포름알데히드간의 비율이 적정한 조건에서 반응이 충분히 일어난 경우에 상태접착력, 준내수접착력,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등이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다. 복합마루판의 평면인장강도는 각 몰비에서 14 kgf/cm2를 상회하였으며,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은 1.0몰비에서 9.53 mg/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합판마루판의 평면인장 접착력 시험에서는 1.4몰비에서 14.02 kgf/cm2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합판마루판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조사에서도 1.0목비에서 0.26 mg/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 판재(板材)의 접착조건(接着條件)이 집성재(集成材)의 접착성능(接着性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dhesion Conditions on Bonding Strength of Pitch Pine Woods for Glued-Laminated Wood)

  • 박상범;공영토;조재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48-53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리기다소나무판재(板材)를 이용(利用)하여 집성재(集成材)를 제조(製造)할 경우(境遇), 압체시간(壓締時間) 및 접착제도포량(接着劑塗布量), 목재(木材)의 함수율(含水率), Butt-joint의 틈새간격(間隔) 및 접착제(接着劑)의 종류(種類) 등(等)이 접착강도(接着强度)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遂行)되었다. 1. 리기다소나무집성재(集成材)의 제조(製造)에 수성(水性)비닐우레탄접착제(接着劑)를 사용(使用)한 결과(結果), 접착제도포량(接着劑塗布量) 200g/$m^2$, 압체압력(壓締壓力) 10kg/$cm^2$에서 12시간(時間) 압체(壓締)하면 기준강도(基準强度)(50kg/$cm^2$)이상(以上)에 달(達)하였다. 2. 판재(板材)의 함수율(含水率)의 접착력(接着力)을 크게 감소(減少)시켰으나, 고함수시(高含水時) 접착(接着)한 후(後) 기건(氣乾)하여 접착력(接着力)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100kg/$cm^2$)이상(以上)의 블록전단강도(剪斷强度)를 나타내었다. 3. 판재(板材)의 Butt joint 부분(部分)의 틈새간격(間隔)이 0.5mm이하(以下)인 경우(境遇), 강도(强度)값은 영향(影響)하지 않았고, 하중방향(荷重方向)이 접착력(接着力)과 수치(垂値)일 때가 수평(水平)일 때보다 강도성태(强度性能)이 양호(良好)하였다. 4. 시험(試驗)에 사용(使用)된 5종(種)의 접착제(接着劑) 중(中) 수성(水性)비닐우레탄수지접착제(樹脂接着劑)가 상태(常態) 및 내수접착력면(耐水接着力面)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 PDF

계면확산에 의한 Poly(hydroxy ether) 코팅된 탄소섬유의 계면접착력 변화 연구 (Effect of Diffusion on the Interfacial Adhesion of Poly(hydroxy ether) Coated Caron Fibers)

  • 강현민;윤태호
    • Composites Research
    • /
    • 제12권6호
    • /
    • pp.15-21
    • /
    • 1999
  • 비닐에스테르 수지와 탄소섬유의 계면접착력 향상을 위하여 탄소섬유에 물에 분산된 carboxy modified poly(hydroxy ether) (C-PHE)와 수용성 고분자인 poly(hydroxy ether ethanol amine) (PHEA) 및 비수용성인 poly(hydroxy ether) (PHE) 로 코팅하였다. 고분자로 코팅된 탄소섬유와 수지의 계면전단강도는 micro-droplet 시편을 제조하여 측정하였으며,각 시료마다 30개 이상의 시편을 사용하였다. 접착기구 규명을 위하여 코팅재로 사용된 고분자와 비닐에스테르 수지와 계면에서 확산현상을 고찰하였으며, 접착성 시험 후 탄소섬유의 표면을 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HE와 C-PHE코팅으로 탄소섬유의 계면전단강도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이들 고분자의 비닐에스테르에 대한 우수한 용해도(solubility)때문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용해도가 낮은 PHEA코팅은 접착력 향상에 효과가 없었다.

  • PDF

일방향 복합재료 Single Lap 접합 조인트의 파손 모드 및 파손 강도 II. 파손 예측 (Failure Mode and Strength of Unidirectional Composite Single Lap Bonded Joints II. Failure Prediction)

  • 이영무;김천곤;김광수
    • Composites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1-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복합재료 접합 조인트의 다양한 파손 모드를 고려하여 파손 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에서는 접착제의 탄성-완전 소성 재료 모델과 층간분리 파손 식을 이용해 접착제 파손 하중과 복합재료 부재의 층간분리 파손 하중을 동시에 계산하였다. 제시된 방법을 유한요소해석에 도입하여 복합재료 Single-Lap 접합조인트의 파손 예측을 수행하였으며 시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방법이 다양한 접합 방법에 따른 실제적인 파손모드 및 파손 하중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접착제의 유효강도(또는 접착 성능) 및 소성거동이 복합재료 접합 조인트의 파손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복합재료 접합조인트의 파손 강도는 접착제의 접착 성능과 항상 비례하지 않으며 층간분리 파손과 접착제 파손이 동시에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접합 조인트의 강도를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