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근가능한 주택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6초

주요 접근가능한 주택디자인이 노년층의 이동장애와 주거만족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미국 사례 연구 - (The Role of Key Housing Access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ity Disability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eniors - A Case Study of the United States -)

  • 권현주;황은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98-105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housing accessibilit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disability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eniors. Also, it identified people who are at greatest risk of mobility disability and living in homes without housing accessibility. We analyzed the 2011 American Housing Survey data with a sample of 20,089 households aged 55 and over living in single-family homes. Results show that although residential satisfaction decreased as mobility became more disabled, the key housing accessibility features were significant buffers against the negative impact of mobility disability on residential satisfaction. Seniors who were Black, low-income, housing-costs burden and renters in older housing in an urban area were more likely to have mobility limitations but fewer housing accessibility features. The moderating effect of housing accessibility on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much greater for seniors with greater mobility disability. For vulnerable seniors living in an old single-family home, housing policymakers or local communities should consider home modification programs and services after evaluating housing accessibility.

주택문화관의 행동적 체험을 고려한 공간마케팅 전략 (Space Marketing Strategy Reflecting Behavioral Experience at the Cultural Housing Building)

  • 신슬기;이현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16
    • /
    • 2008
  • 주택문화관은 소비자와의 접점으로 주택상품을 전시하고 판매하는 실질적인 공간이다. 따라서 주택문화관은 다양한 디자인을 통한 경험을 제공하고, 소비로 이어질 수 있는 마케팅 요소로써의 공간이 되어야 한다. 특히 행동체험은 신체적 경험을 유도함으로써 기억과 추억을 남기는 핵심적 공간마케팅 전략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 체험요소와 호기심 자극 체험요소를 제안하여 소비자들에게 은유적이고 장기적인 인식을 지원하며, 이것이 공간 마케팅 관점에서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접근 가능한 소비환경이 되는 전략을 제시한다.

  • PDF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노약자를 위한 접근가능한 주택의 시장 세분화 연구 (A Study on the Market Segmentation of Accessible Housing for the Elderly Using Conjoint Analysis)

  • 이소영;김지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11-21
    • /
    • 2015
  • Due to the mass production of housing in Korea, homogeneous current housing may fail to represent residents' preferences, especially for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eferred properties of consumers for accessible housing and to examine whether cluster analysis can identify groups of residents with similar accessible housing preferences. Using a conjoint method, prospective users can jointly consider all accessible attributes, with cost attributes suggested by this study. Four categories (accessibility, safety, convenience, cost), 7 attributes (clear width, level difference, installation of grab bars, installation of elevators: only for single house type, non slippery floor materials, safety alarms, service control devices, cost) and 2 levels for each attribute were chosen. A total of 37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is study employed ratings-based Conjoint analysis and the respondents ranked each card, which consisted of a set of accessible housing attribut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6.0.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dentified 3-4 clusters for each housing sub market. Each cluster has a different combination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and showed the relative importance or preference values for each accessible attribute of the segmentation. For the single housing, one group of people strongly preferred installation of elevator. The results suggested that better customization of housing could be more appealing to the different clusters of residents, providing accessible housing with cost limitations.

차세대 주택자동화시스템 설계 방법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Methodology of the Advanced Home Automation System)

  • 고윤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857-1864
    • /
    • 2013
  • 21세기 테크노피아 시대에서 주택 자동화의 범위를 정의하기는 쉽지 않다. 최근, 주택자동화는 첨단화된 디지털 통신기술을 기반으로 기존의 주택자동화 개념을 넘어, 주택 에너지 관리, 주택 통합 검침 그리고 주택 헬스 케어 등 다양한 영역으로 그 범위를 넓히고 있다. 하지만 이들 방법론들은 통합된 표준 없이 독립적으로 제안되기 때문에, 효율성과 경제성을 저하시키고 콤팩트한 설계를 어렵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방향에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는 이들 방법론들을 조사, 분석하여, 경제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공간적으로 콤팩트한 설계를 가능케 하는 차세대 주택자동화시스템의 설계 및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택과 공공시설에서의 접근가능한 디자인 요소가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ccessible Design Features of Housing and Public Facilities on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이소영;유성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3-10
    • /
    • 2012
  • There is a growing awareness that physical barriers affect the level of independen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Many researchers insist that barrier free design could influence independence living and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ccessible design features of house and public facilities on quality of life of disabled people. A total of 189 questionnaires from the disabled who visited public welfare facilities was analyzed. In order to find out what variables among accessible features in housing and public spaces impact quality of lif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using SPSS 14. The results showed that accessible designs significantly influenc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 The main reason in which the disabled have difficulties when they move outside is a lack of accessible amenities and facilities. Particularly in house design, accessible main entrance route and accessible main entrance door, and removal of floor level significantly affects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For public spaces, accessible main entrance and installation of ramp or removal of floor levels of main entrance and corridor increase quality of life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paper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 in housing and public space, in which regulation or bylaws do not specify, should be made to increase accessibility for life quality of the disabled.

  • PDF

수도권 보금자리주택 대상계층의 지불가능성 분석: 공공분양, 10년임대, 분납임대주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Affordability of Bogeumzari Housing in Metropolitan Area: Focused on Public Sales Housing, 10-Year Rental Housing, and Shared-ownership Housing)

  • 최은희;김옥연;이종권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4호
    • /
    • pp.361-370
    • /
    • 2013
  • 본 논문의 목적은 대상계층을 설정하고 유형별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보금자리주택을 평가해 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수도권 보금자리지구가 지정되고 보금자리주택 공급이 발표되면서, 정책대상계층의 접근성에 대한 논의가 불거졌는데, 본 연구에서는 등장한 여러 논의 중에서 두 가지에 주목하였다. 하나는 주변시세애 비해 과도하게 낮게 책정된 분양가 혹은 임대료로 인해 청약에 당첨된 입주자에게 역시 과도한 개발이익 수혜가 돌아가는 것이 아니냐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렇게 낮게 책정된 분양가 혹은 임대료라고 하더라도 일부 지역의 경우 주변 시세가 워낙 높아, 저소득층이나 무주택 서민인 정책대상계층이 접근하는 것이 쉬울 것인가 하는 것이다. 두 가지 논의는 완전히 다른 것 같으면서도 다르지 않다. 상대적인 가격에서는 우위를 점하지만, 절대적인 가격에서는 여전히 낮지 않다고 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 두 가지 논의에 착안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보금자리주택은 저소득층을 위한 장기공공임대주택(국민임대주택, 영구임대주택 등) 뿐 아니라 공공분양주택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10년임대주택과 분납임대주택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 이 세 가지 유형에 대해 정책대상계층의 지불가능성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유형별, 지역별, 면적별 지불가능성의 차이를 비교해 봄으로써 기존의 논의에 대한 의문을 어느 정도 해결해 보려고 했으며, 향후 공공주택 공급 프로그램과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성역할, 접근성, 그리고 젠더화된 공간성 (Gender Roles, Accessibility, and Gendered Spatiality)

  • 김현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808-834
    • /
    • 2007
  • 본 연구는 젠더차별적인 접근성 경험의 다양한 측면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사회적으로 구축된 성역할이 어떻게 남성과 여성간의 접근성 경험을 다르게 만드는가를 특히 자녀를 가진 맞벌이부부의 비교를 통해 다루었다. 미국 Portland 지역의 개인통행데이터 및 시간지리학에 토대를 둔 시 공간 접근성의 GIS기반 지오컴퓨테이션 결과를 이용해 경험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성평등적인 사회로 변하고 있다는 일반적 기대와는 달리 가정 내 성별 분업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성역할이 여성과 남성의 접근성 경험을 차별적으로 구조화하는 방식과 그러한 접근성 경험이 다시 젠더화된 공간성의 형태를 띠게 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젠더화된 공간성, 특히, 집-중심적이고 공간적으로 제한적인 여성의 특징을 활동공간 및 접근성공간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 양자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남성 배우자보다 많은 가사 부담과, 더 중요하게는, 퇴근 후 탁아시설/학교에 가서 자녀를 데려오는 행위의 시간적 제약이 여성의 가능한 활동공간을 보다 집 근처로 제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접근성 공간의 시공간적 맥락 분석은 젠더화된 공간성을 잘 드러내주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행위결과는 개인이 직면하고 있는 제약들에 대한 명확한 인식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실현된 활동공간은 제약의 산물일 수도 있지만, 또한 선택의 결과물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행위결과를 제약수준의 직접적인 표현으로 취급해서는 안 된다. 행위결과가 제약수준을 그대로 반영한다는 기대나, 발현된 결과로부터 제약수준을 그대로 유추해낼 수 있다는 가정은 문제가 있다.공간의 생산 및 재생산을 조절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한국 정부는 주택시장 관리 체제 및 제도 하에서 '스케일 도약(jumping scales)' 구체적으로 '스케일 하강'을 통해 여러 지리적 스케일에서의 주택 공간 생산 및 재생산에 대한 헤게모니를 가지게 되었다. 한국 정부는 주택 개발에 대한 다스케일적(multiscalar) 정책을 사용함과 동시에 중앙 정부, 지방 자치단체, 정부 산하 주택 관련 기관, 그리고 한국 다국적 기업(재벌) 간의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제도적 네트워킹을 통해 '스케일 도약' 능력을 점점 더 획득하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지리적 스케일은 분석의 공간 단위 또는 범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지리적 스케일은 사회적 내포(social inclusion), 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 정당화(legitimation)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사회적으로 그리고 정치적으로 연대할 또는 배제할 기관 또는 조직을 선택하는 것 자체가 조직 네트워킹시의 공간적 스케일의 선택과 범위의 결정을 수반하며, 이는 '정치의 스케일 공간성(scale spatiality politics)'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다양한 형태의 '규제의 스케일'을 전개해 온 한국 정부는 정부의 주택 개발 논리의 정당화를 위해 재벌, 고소득층, 중산층을 의사결정 과정에 포함시켰으나, 국지적 스케일에서의 서민 조직들과 사회소외계층을 의사결정 과정으로부터 제외시켰다.위축 등, 전형적인 세포예정사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세포의 괴사도 일부 확인되었으나 그다지 현저하지 않았으며, apoptotic body와 함께 대식세포가 산재되어 있었다. 방사선(X-선)

부산지역 매입임대주택의 입지 및 주택 내·외부 특성에 따른 주거평가 분석 (The Evaluation of the Purchase Social Ho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tion and Housing in Busan)

  • 최열;박성호;하규양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307-1315
    • /
    • 2014
  • 본 연구는 매입임대주택 거주민의 주거환경 평가를 통해 매입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환경 만족도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매입임대 주택은 현재 거주하는 지역사회에 지속적으로 생활이 가능하여 저소득층의 사회적 격리 현상과 슬럼화 방지 등의 사회적 배제현상이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주택의 매입기준이 주거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어 매입임대주택 주거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우선, 매입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환경 평가를 위해 주거환경 특성, 주거비 특성, 가구주 특성 등으로 구성하여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매입임대주택 주거환경 만족도 결정요인을 주택입지 특성, 주택 내 외부 특성 등으로 각각 나누어 살펴보았다. 주거입지에 따른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공공시설, 교육시설, 복지시설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복지시설 접근성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매입임대 주택의 주택입지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택 내 외부 특성에 따른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창호상태, 균열, 난방설비, 주택규모 그리고 주택관리 등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U.S. Fair Housing Amendments Act와 접근 가능한 공동주택 디자인 - 법 시행 전·후 비교 - (U. S. Fair Housing Amendments Act (FHAA) and Home Accessibility - Comparison of before and after the FHAA -)

  • 권현주;황은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19-26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Fair Housing Amendments Act of 1988 (FHAA) in the US provides more home accessibility features and reduces the home accessibility problems of senior resi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The 2011 American Housing Survey data with a sample of 2,326 senior residents age 55 and over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living in multifamily housing built between 1970 and 2011 were analyzed. We compared senior residents living in multifamily before (1970-1990) and after (1991-2011) the FHAA. The results show that senior residents living in multifamily housing before the FHAA were at a greater disadvantage because they were more likely to live in older buildings located in urban areas, yet paid lower rent and received government subsidie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HAA enabled residents of multifamily housing to have more home accessibility featur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home accessibility problems between the two groups, indicating that senior residents in multifamily housing have experienced home accessibility problems both before and after the FHAA.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housing policy makers to consider home accessibility features for multifamily housing buildings before the FHAA, and to revisit if the FHAA sufficiently compensates physical disability of senior resident living in multifamily housing after the FHAA.

CHAID분석을 이용한 나들목 주변 지가의 공간분포 영향모형 개발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Selection Model of Interchange Influence Area in Seoul Belt Expressway Using Chi-square Automatic Interaction Detection (CHAID))

  • 김태호;박제진;김영일;노정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6D호
    • /
    • pp.711-717
    • /
    • 2009
  • 본 연구는 고속도로 나들목의 접근성이 주변 아파트 지가형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데이터마이닝(CHAID분석), 추세선 분석(Trend Analysis) 등을 활용하여 고속도로의 나들목(IC) 주변 아파트가격과 관련된 지가경사 모형을 개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속도로 나들목이 위치한 지역별(외측 : 경기도, 내측 : 서울시)로 아파트 가격에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인 주택가격과 교통결절점이 가지는 선형 관계가 아닌 비선형적 관계(2차 다항식)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HAID분석을 이용한 공간분포 검토 결과, 외측지역(경기도)의 경우 2.6km를 전후하여 2개의 상이한 공간분포를 가지며, 내측지역(서울시)의 경우 1.4km와 3.8km를 전후하여 3개의 상이한 공간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파트 가격이 도로결절점(고속도로 나들목)으로부터 첫 번째 임계점까지 는 점차 상승하다가 일정거리 이후부터 서서히 감소하는 복합적인 공간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교통접근성이 좋다고 하여 주택가격이 높지만은 않으며, 주거환경(고속도로 소음, 지역단절 등)과 교통접근성간의 상호 교환 작용(Trade Off Effect)에 의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의 고속도로 나들목 주택가격 영향모형을 이용하여 고속도로 주변에 지속적으로 건설되고 있는 신도시 주택가격 산정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