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절단시간

검색결과 496건 처리시간 0.021초

나팔나리와 자생 솔나리와의 종간 교잡 시 수정 전 불화합성 타파를 위한 수분방법 (Pollination Methods for Overcoming Pre-fertilization Incompatibility in Interspecific Crosses between Lilium longiflorum 'Gelria' and L. cernuum Native in Korea)

  • 김영진;박성민;김종화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3호
    • /
    • pp.373-377
    • /
    • 2001
  • 본 연구는 나팔나리(L. longiflorum) 'Gelria'(LG)와 자생 솔나리(L. cernuum, LC)와의 종간 교잡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여러 가지 수분방법을 이용하여 수정 전 불화합성의 타파방법을 조사하였다. L. longiflorum 'Gelria'${\times}$L. cernuum의 교잡 수분 시 수분방법에 관계없이 모든 교배조합에서 착과가 이루어졌으며, 주두수분법에 비해 모든 화주절단수분법 처리구에서 착과율과 종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들 중 화주를 2-3mm 남기고 자른 것과 화주를 모두 잘라버리고 자방기부에 수분시킨 처리구에서 각각 76.4%와 73.3%로 가장 높은 착과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LC{\times}LG$ 교잡에서는 전혀 착과되지 않았고 어떤 종자도 얻을 수 없었다. LG의 자가수분과 $LC{\times}LG$ 교잡에서는 속도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수분 후 약 90시간 정도가 되면 자방까지 화분관이 신장하였다. 그러나$LC{\times}LG$ 교잡에서는 수분 후 90시간까지 자방에 도달하지 못하였고, 화주 중간에 선단이 비대되고 callose가 이상 집적된 기형적인 화분관이 많이 관찰되었다. 개화 후 수분시기도 착과율과 종자 형성률에 영향을 주었으며, 개화 후 3일에 수분하였을 때 가장 높은 종자수를 획득하였다. 주두 분비물질은 자방비대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수정배주수는 증가하지 않았다.

  • PDF

엽조직에서 나출된 원형질체의 재생 가능 세포판별 (Identification of Regenerable Cells in MesophyII Protoplast Cultures)

  • 소인섭;유장걸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28
    • /
    • 1994
  • Nicotiana tabaccum 'Xanti', Petunia hybrida 'Blue Star' 그리고 Chrysanthemum morifolium 'Baeckwang'을 공시하여 엽조직 유래의 mesophyII protoplast(MP)와 paraveinal mesophyII protoplast (PVMP) 간의 세포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urea 투과성을 측정하였다. 아울러 엽육 조직에서 원형질체 나출을 위한 각종 효소제를 처리하고 경과 시간별로 관찰했으며, 나출 원형질체로부터 식물체 재생을 위한 NAA와 thidiazuron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Vibratome을 이용한 엽육조직 절단방법은 엽조직의 상해를 최소화하고 조직절편도 최소 50 $\mu\textrm{m}$까지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urea 투과성 검정과 원형질체 나출을 위한 필수적인 기술이다. 세포활성에 대한 urea투과성 측정은 공시한 3종 식물의 PVMP에서 모두 Ks=2.Ox$10^{-5}$cm/sec 정도가 MP보다 높았다. 효소혼합 용액(1.5% Cellulase R-10, l% Driselase, 0.5% Macerozyme R-10, 0.05% Pectolyase)을 4-8 시간 처리하는 것이 PVMP 나출에 유효하였다. 나출 원형체로부터의 캘러스 유기와 식물체 재생에는 2 mg/L NAA + 0.01 mg/L thidiazuron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조직별로는 PVMP에서 월등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엽조직을 대상으로한 원형질체 배양에 있어서 엽록소의 함량이 많은 MP보다는 재생력이나 세포 활성이 강한 paraveinal 엽육조직 유래의 세포를 집약적으로 나출시켜 실험재료로 이용한다면 더 높은 식물체 재생률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넓패 추출물이 HeLa 자궁암세포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Ishige sinicola Extracts Induce Apoptosis via Activation of a Caspase Cascade in Human HeLa Cells)

  • 조병옥;류형원;소양강;진창현;변명우;김왕근;정일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901-90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넓패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가 인체 자궁암 세포 HeLa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독성 측정, Hoechst 33258 staining, flow cytometry 분석을 통하여 세포사멸을 확인하였다. 넓패 메탄올 추출물 처리 시 HeLa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또한 넓패 메탄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핵을 응축하고 apoptotic bodies을 생성하였다. 유세포 분석을 통하여 apoptosis를 측정한 결과, 넓패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apoptotic 세포가 증가하였다. Western blot을 통해 PARP 단백질의 절단 현상을 분석한 결과, 넓패 메탄올 추출물의 처리 농도와 시간에 따라 PARP 단백질의 절단 현상이 증가하였다. 또한 넓패 메탄올 추출물은 caspase-8, caspase-9 및 caspase-3 활성을 농도와 시간에 따라 증가시켰으며, caspase 저해제인 z-VAD-fmk로 처리 시 넓패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세포사멸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어 넓패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HeLa 세포의 apoptosis 유도에 caspase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넓패 메탄올 추출물은 HeLa 자궁암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나 넓패의 항암효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파종당시의 종서취급방식이 추작 마령서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ndling methods of seed tuber pieces at planting on sprouting of fall grown potatoes)

  • 김봉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1-97
    • /
    • 1970
  • 안성지방에서 8월말경 마령서의 추작을 할때 남작을 2pm의 Gibberellin 용액에 10분간 침적해서 파종할 경우 종서의 취급방식이 파종후의 종서부패와 발아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실험한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절단종서의 절단면을 직사일광에 조사하면 파종후의 종서부패와 발아생육의 지연을 초래하였는데 조사시간이 3시간이상 되면 피해는 막심하다. (2) 토양수분이 넉넉하고 직사일광에 오래 쏘이지만 ?\ulcorner으면 직파를 해도 최아정식하는 것 보다 종서부패가 많지 않다. (3) 종서부패가 적으면 직파하는 것이 최아정식하는 것보다 본포에서의 호착기간이 필요없기 때문에 생육이 빠르다. (4) 종서절편을 파종전 3일간 독속에 넣고 대하여 절구의 유상조직형성을 촉진해보려는 시도는 실해하였는데 이는 독속의 고습도유지가 안되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5) 처리 및 파종작업이 단기간에 끝인다면 일기의 영향은 청천이나 담천이나 다름이 없다. (6) 포장수분이 부족하지 않으면 관수를 해도 부패경감이나 발아촉진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국내 딸기 재배품종의 잎절편 배양으로부터 고빈도 식물체 재생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Explant Cultures of Domestic Cultivated Strawberry (Fragaria x ananassa Duch))

  • 조미애;최규명;고석민;민성란;정화지;유장렬;최필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3호
    • /
    • pp.175-179
    • /
    • 2005
  • 딸기 기내배양으로부터 고빈도 식물체재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여봉딸기의 잎과 엽병절편을 0.5 mg/L IBA와 3.2 mg/L kinetin, BAP, zeatin을 각각 조합 첨가한 MS배지에서, 그리고 1주, 2주, 4주동안 암 전처리한 잎 절편을 0.5 mg/L IBA와 3.2 mg/L zeatin이 첨가된 배지에서 6주동안 16시간 광주기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신초 발생은 잎을 adaxial상태로 치상하였을때 절단부위로부터 안토시아닌 색소를 함유한 녹색 캘러스로부터 유도되었고 (57.0%), 엽병의 경우 절단부위로부터 직접 발생되었다(6.3%). 캘러스와 신초발생율은 잎 절편 크기가 클수록 ($1.0{\sim}1.5\;cm^2$) 높았으며, 암 전처리는 그 발생율을 점차 증가시켜 4주동안 암 전처리한 후 16시간 광조건으로 옮겼을 때 가장 높은 발생율 (87.0%)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shoot발생율 (87%)은 암 전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 (27%) 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된 것이다. 신초를 분리하여 1/2 MS기본배지에 옮겨20동안 배양하였을 때 뿌리가 발생되었으며, 이때 소식물체를 토양에 옮겨 순화시켰다.

수종 치아미백제가 구강내에서 법랑질의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ooth Bleaching Agents on Microhardness of Enamel in situ)

  • 박윤우;박세희;김진우;조경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6호
    • /
    • pp.470-476
    • /
    • 2006
  • 본 연구는 치아미백용 2.6% hydrogen peroxide 부착대와 통상 home bleaching용으로 안전하다고 알려진 10% carbamide peroxide 미백젤이 법랑질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미백을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 평가하기위하여 시행되었다. 최근에 발거한 사람의 상악 절치 20개를 사용하여 가로, 세로 2 mm의 정사각형 치아편을 각 치아에서 3개씩 절단, 채득한 후 교정용 bracket에 고정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자원자는 20명을 선정하였고, 각각의 자원자의 치아에 동일 치아에서 제작한 시편이 부착된 bracket을 순면 중앙에 부착하였으며 상악 우측 측절치에 젤을 이용한 군 (Opalescence tooth whitening gel, Ultradent Product Inc, South Jordan, USA), 상악 우측 중절치에 미백을 하지 않은 대조군, 상악 좌측 중절치에 부착대를 이용한 군 (Claren, LG Household & Health Care, Seoul, Korea)을 부착 시켰다. 젤을 이용한 군은 bracket이 부착된 치아에 맞게 상악 우측 측절치부터 우측 소구치까지를 덮는 mouthguard tray를 제작하여 매일 동일시간에 2시간씩 14일 동안 미백을 시행하였으며, 대조군은 부착 28일 동안 미백 치료 없이 구강 내에 위치시켰다. 부착대를 이용한 군은 bracket의 시편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상악용 Claren을 절단하여 오전, 오후 각각 30분씩 하루 두 번 부착하여 14일 동안 미백을 시행하였다. 각군 모두 bracket부착 전, 미백 14일 후, 재광화 14일 후의 미세경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미세경도 변화 양상과 변화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치아미백용 2.6% hydrogen peroxide 부착대와 젤 형태의 10% carbamide peroxide 미백제의 미백 전, 미백후, 재광화 후 미세경도 변화 양상이 미백을 하지 않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 > 0.05) 미백 전과 미백 후의 미세경도의 차이 미백후와 재광화 후의 미세경도의 차이도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p > 0.05). 따라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whitening strip과 미백 젤은 14일 동안의 통상적인 미백과정 동안 법랑질의 미세경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절임조건에 따른 돌산갓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lsan Leaf Mustard under Salting Conditions)

  • 배상옥;위성돌;임현수;최명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02-507
    • /
    • 2011
  • 돌산갓의 최적 절임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절임시간, 수세방법, 저장온도에 따른 돌산갓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최적조건에서 절임된 돌산갓을 50일 동안 저장하는 동안 유산균의 균수변화를 측정하였다. 절임돌산갓의 관능평가와 아삭거림의 결과로부터 장기간 보존을 위한 최적조건은 8시간 절임 후 염농도를 단계적으로 수세한 방법으로 나타났다. 절임돌산갓은 $4^{\circ}C$에서 저장되는 동안 유산균의 증가에 의해 pH가 감소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절단력은 천천히 증가하였으나, 염농도를 단계적으로 수세하였을 때는 절단력이 초기값과 비슷하게 유지되었다. 40일 저장된 절임돌산갓의 색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50일이 지나면서 갈변현상이 나타나 김치제조는 불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결과들은 김치제조를 위한 절임돌산갓의 최적 절임조건과 저장기간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Enterokinase에 의한 Glucagon.3-Interleukin-2 {G.3-IL-2} 의 단백질 분해 연구 (Study on Proteolysis of Glucagon .3-Interleukin-2 {G.3-IL-2} Using Enterokinase)

  • 이운영;이지원;김인호
    • KSBB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238-242
    • /
    • 2000
  • Enterokinase에 의한 G3-IL-2 가수분해 반응에 있어서의 urea 는 글루카곤과 IL-2를 분리하고자 하는 데에 펼요한 절단 부위 가 잘 노출되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데 1.0 M이상의 높 은 농도에서 오히려 원하는 단백질의 변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효소 반응 시에 효소의 활성에 도움을 주는 첨가제는 반응 후에 침전이 생기고, IL-2의 회수율에는 오히려 나쁜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반응시간에 따른 반응의 효과는 24 시간 이후에는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반응이 진행되지 않음이 관찰되었다. 가수분해 반응 후의 순수한 IL-2의 회수율은 약 1 5 5~35% 정도였고, 반응 조건에 따라 수융은 차이가 있었다. IL-2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자 상호 간의 응집에 의해 oligomer의 형태가 되어 본래의 크기보다 더 커져 RP-HPLC에서 더 빨리 용리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양파망을 이용한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재배기술 (Establishment of artifical cultivation technique of Pleurotus ostreatus using an onion net)

  • 유영진;서상영;정기태;류정;고복래;최정식;김명곤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01-105
    • /
    • 2006
  • 본 연구는 볏짚을 이용한 느타리버섯 균상재배를 할 때 볏짚을 결속하고 절단하는 과정에서 많은 노동시간이 소요되어 이를 개선하고자 수행되었다. 볏짚과 폐면의 이화학적 성분은 다소차이가 있으나 폐면에서 C/N율은 84~85로 볏짚과 유사하여 혼합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양파망 규격은 $35{\times}30cm$, 볏짚과 폐면의 배합비는 40:60(V/V)으로 하였을 때 6주기기간동안 평균수량이 양파망 1개당 1.450g 이였다. 배지재료를 준비하는 기간은 양파망재배가 볏짚 재재보다 3일정도 기간을 절감할 수 있었고 접종도 4시간정도 절략되어 전체적으로 3.5일정도 시간을 절략 5%의 경제적 이득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시간영역에서의 파형분석에 의한 무제한 어휘 합성 및 음절 유형별 규칙합성음 음질평가 (Speech Synthesis for the Korean large Vocabulary Through the Waveform Analysis in Time Domains and Evauation of Synthesized Speech Quality)

  • 강찬희;진용옥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1-83
    • /
    • 1994
  • 본 논문은 한국어 문어면환(TTS : Text-to-Speech) 시스템내에서의 음성합성시 음질 및 자연성 개선을 위한 연구 결과이다. 합성방법으로는 단음절단위의 파형을 시간영역에서 분석(표1)하여 규칙합성에 필요한 매개변수(표2)를 추출하여 규칙합성시켰다. 실험에 사용된 음절은 한국어 발음 대사전의 빈도순위에 따라 V형 19개, CV형 80개, VC형 30개, CVC형 100개등 총 229음절을 선정하여 규칙합성시켰다. 규칙합성음의 평가방법으로는 229개의 규칙합성음중 음절 유형별로 15개씩 무작위로 추출한 합성음을 사전지식이 없는 임의의 그룹을 선정하여 이해도, 명료도, 잡음감, 자연성등 4가지 항목에 대하여 주관적인 오피니온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합성음의 음질은 대단히 명료한 수준이었으며, 운율요소의 제어결과는 지속시간(장단)과 악센트(강약)의 제어(그림 9, 그림 10)가 가능하였으며, 피치주기(억양)의 제어도 Lagrange 보간법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였다(그림 11, 그림 1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