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절골술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2초

역 갈매기형 내과 절골술을 이용한 거골 원개 내측 병변에의 접근 -수술 방법- (Reverse Chevron Transmalleolar Osteotomy for Exposure of the Medial Talar Dome Lesions - Operative Technique -)

  • 조성범;이근배;최진;김병수;최민선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55-258
    • /
    • 2006
  • For the adequate intraarticular exposure in medial talar dome lesions, medial malleolar osteotomy is necessary in some cases. Many operative techniques including transverse, oblique, inverted V-shape, crescentic and step-cut osteotomies of the medial malleolus have been described previously. But their techniques have several problems such as nonunion, rotation and limited access to lesions. So we introduce the new reverse chevron medial malleolar osteotomy which provides excellent access to lesions, good stability and a broad cancellous surface for rapid healing.

  • PDF

무지외반증에서의 절골술 (Corrective Osteotomies in Hallux Valgus)

  • 고경래;성기선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3-49
    • /
    • 2017
  • Hallux valgus is a deformity characterized by lateral deviation of the great toe and medial deviation of the first metatarsal. When planning an operative treatment, it is important to realize that the deformity is tridimensional and diverse. Operative techniques include medial eminence resection, distal soft tissue procedure, first metatarsal osteotomy (distal, diaphyseal, proximal, or multiple), proximal phalanx osteotomy, arthrodesis (first metatarsophalangeal or metatarsocuneiform joint), and so on. Among these techniques, osteotomy is the main procedure for correcting the hallux valgus.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and recent advancements made for corrective osteotomies in the hallux valgus. The pathophysiology of the hallux valgus is also described.

저위 경골 절골술 (Low Tibial Osteotomy)

  • 최준영;서진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41-146
    • /
    • 2014
  • Low tibial osteotomy is an extra-articular procedure that realigns the mechanical axis, restoring ankle function. It is also an alternative surgical procedure to manage early osteoarthritis of the ankle joint. This can mainly address ankle varus/valgus, as well as procurvatum/ recurvatum, internal/external rotation, equinus, calcaneus, and limb length discrepancy. The authors describe the history, mechanism, indications, and limitations of low tibial osteotomy focused on osteoarthritis of the ankle with varus malalignment reviewing several articles published thus far.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 방사형 파열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Results of the Radial Tear of Posterior Root of Medial Meniscus)

  • 나경욱;조진호;이동봉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8-133
    • /
    • 2007
  • 목적: 내측 반월상 연골 방사형 파열의 관절경적 연골판 절제술 후 임상 결과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측 반월상 연골 방사형 파열을 가진 2년 이상($2{\sim}7$년)의 추적이 가능하였던 4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관절경 수술은 체중 부하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Kellgren과 Lawrence분류상 정상이나 초기 퇴행성 관절염(0-2군)으로 분류된 환자에 한하여 시행하였다. 연골 손상의 정도는 수술 중에 Outerbridge 분류를 사용하였으며, 임상적 결론은 Modified Lysholm score를 사용하였다. 결과: 술 전 평균 Lysholm점수는 위의 순서대로 79.1, 71.2, 68.5, 67.9, 67.2, 61.5 이였으며, 술 후 점수는 86.3, 75.1, 73.0, 73.1, 73.2, 66.2이였다. 술 후 통증 호전은 각각 61.5%, 62.5%, 60.0%, 50.0%, 50.0%, 25.0%이었고, 술 후 만족도는 69.2%, 75.5%, 70.0%, 66.6%, 75.0%, 75.0%이었으며, 30.7%, 25.0%, 20.0%, 50.0%, 25.0%, 50.0%에서 다시 수술을 해야 할 것으로 대답하였다. 추시 단순방사선 사진은 7례(15.5%)에서 Kellgren과 Lawrence분류상 3군의 퇴행성 관절염으로 전환되었다. 결론: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정상 이나 초기 퇴행성 관절염을 가진 군(Grade 0-2)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 방사형 파열은 다른 형태의 파열과는 달리 관절경적 절제술 후 불량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우수한 결과를 위해서는 관절경적 절제술 보다는 긴장 장력을 복원하는 술식이나 퇴행성 관절염을 방지 할 수 있는 근위 경골 절골술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 PDF

국소적 섬유연골성 이형성증(FFCD)에 의한 경골 내반 - 증례 보고 - (Tibia Vara Caused by Focal Fibrocartilaginous Dysplasia(FFCD) - Case Report -)

  • 이상수;황호연;이동희;남일현;백애란;손경락;이상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6-111
    • /
    • 2000
  • 국소적 섬유연골성 이형성증(FFCD)은 소아에서 일측성 경골 내반 소견을 보이는 드문 양성 질환이다. FFCD는 근위 경골 내측 골간단과 골간의 이행부에 오목한 방사선 투과 음영 소견을 보이는 전형적인 방사선 소견을 지니고 있다. 경골 내반이 병변 부위에서 발생한다. 내반의 교정과 골결손의 치유가 흔히 자발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골교정술을 요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절제 조직 생검술로 진단하고 절골술 및 골이식술을 시행함으로써 치유한 FFCD에 의한 일측성 경골 내반 1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무지외반증 치료에서 근위 중족골 절골술과 원위 갈매기형 절골술의 비교 (Comparison of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and Distal Chevron Osteotomy for Correction of Hallux Valgus)

  • 조덕연;이동훈;이승용;이인성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0-25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son of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between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and distal chevron osteotomy for the correction of hallux valgus.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included subjects who underwent the correction of hallux valgus in our institution between March 2001 and August 2006, with a minimum follow-up of 12 months. The group of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was 23 patients (34 feet); the group of distal chevron osteotomy was 20 patients (26 feet). The group of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was composed of 26 severe cases (76.5%) and 8 moderate cases (23.5%); the group of distal chevron osteotomy was composed of 13 severe cases (50.0%) and 13 moderate cases (50.0%). Results: Compared to preoperative values, the hallux valgus angle, the first-second intermetatarsal angle and the distance of first-fifth metatarsal hea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wo groups (p<0.05). In each parameter, the hallux valgus angle was decreased 66.3%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versus 49.6% (distal chevron osteotomy), which were significant (p=0.037). The first-second intermetatarsal angle and the distance of first-fifth metatarsal head were not significant. Mayo clinic forefoot scoring system (FFSS) scor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wo groups (p<0.05). The ratio of improvement was not significant (p=0.762). In severe group, hallux valgus angle and the first-second intermetatarsal angl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group compared to distal chevron osteotomy group (p<0.05), but the difference of the distance of first-fifth metatarsal head and FFSS score was not significant in both groups. In moderate group, the difference of all parameters was not significant in both groups. Conclusion: Although both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and distal chevron osteotomy showed satisfactory result in FFSS,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was more proper operative technique than distal chevron osteotomy in severe group, because of superiority of correction in radiological parameters.

  • PDF

중증 무지외반증에서 원위 중족골 갈매기 절골술과 근위 중족골 갈매기 절골술의 결과 비교 (A Comparison of Proximal and Distal Chevron Osteotomy for the Correction of Severe Hallux Valgus Deformity)

  • 박형석;이준영;고강열;류제홍;임재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29-134
    • /
    • 2020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results of proximal and distal chevron osteotomy in patients with severe hallux valgus. Several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the indications for distal metatarsal osteotomy with a distal soft-tissue procedure could be extended to include severe hallux valgu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analyzed 127 severe hallux valgus surgeries. Of these, 76 patients (76 feet) were excluded for lack of adequate follow-up and additional procedures (Akin procedure), leaving 51 patients (51 feet) in the study.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8 years (21~83 years), and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18 months (12~32 month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underwent distal chevron osteotomy, and group 2 underwent proximal chevron osteotomy performed sequentially by a single surgeon. The patients were interviewed for th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before and one year after surgery. The anteroposterior weight-bearing radiography of the foot was taken before and one year after surgery.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and function after one year in either group. Both groups experienced significant pain reduction and an increase in the AOFAS score.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hallux valgus and intermetatarsal angle corrections was observed in both groups, and the sesamoid position was similar in each group. More improvement in radiographic correction of intermetatarsal angle was noted in group 2. Both procedures gave similar good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 distal chevron osteotomy with a distal soft-tissue procedure is as effective and reliable a means of correcting severe hallux valgus as a proximal chevron osteotomy with a distal soft-tissue procedure.

슬개골 탈구의 수술적 치료 결과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of Patella Dislocation)

  • 김휘택;조윤재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34-141
    • /
    • 2021
  • 목적: 슬개골 탈구는 다양한 원인을 가지고 있다. 슬개골 주위 연부조직 균형을 일차 목표로 한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8명의 환자(여자 21명, 남자 7명)에서 발생한 32예의 슬개골 탈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군의 평균 연령은 11.5세였으며 수술 후 평균 4.6년을 추시하였다. 탈구의 종류는 만성 19예, 습관성 6예, 선천성 6예, 급성이 1예였다. 연부조직 균형 수술은 관절 외측 유리술, 내측 주름술, 내측 대퇴광근의 외측하부 이전술을 기본으로 하였고, 슬개건 전체 혹은 슬개건과 대퇴직건의 내측 일부의 내측 이동술, 원위 대퇴 교정 절골술 등을 선별적으로 시행하였다. 수술 전 Q각과, 대퇴 전염각, 경골 외회전각, TT-TG 거리(tibial tubercle-trochlear groove distance), 기계적 대퇴-경골각, Dejour 분류에 따른 대퇴 과간 절흔 이형성 등을 측정하였고 수술 전후 Lysholm-Tegner 점수를 이용하여 임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평균 Q각은 9.3°±5.8°, TT-TG 거리는 15.5±6.2 mm, 대퇴 전염각은 25.6°±12.3°, 경골 외회전각은 30.4°±9.6°, 기계적 대퇴-경골각은 3.0°±6.4°, Lysholm-Tegner 점수는 75.8±9.6점이었다. Beighton score 5점 이상의 전신인대 이완성을 보인 환아는 11명이었다. 대퇴 과간 절흔의 이형성을 가진 환자는 22명이었고, Dejour 등의 분류에 따라 A형이 3명(4예), B형이 15명(16예), C형이 1명(1예), D형이 3명(4예)였다. 32예 중 28예에서 1차 수술로 정복을 얻었고, 아탈구를 보인 4예 중 3예에서 2차 수술, 그 중 1예에서 3차 수술 이후 정복을 얻었고, 1예는 경과 관찰 중이다. Lysholm-Tegner 점수는 수술 후 최종 85.6±11.6점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슬개골 탈구의 다양한 원인을 동시에 모두 교정하기는 어렵다. 연부조직 균형 수술과 함께 대퇴골-경골 기계적 축과 염전 이상 교정 절골술 등 적절한 술식을 조합해야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근위경골절골술(HTO)용 X-밴드 플레이트에 적용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의 변형률속도에 따른 점탄성거동 (Viscoelastic Behavior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Using High Tibial Osteotomy with Respect to the Strain Rate)

  • 황정훈;김철웅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4호
    • /
    • pp.431-438
    • /
    • 2012
  •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같은 고분자재료의 기계적 거동은 시간과 온도에 의존적이다. 따라서 근위경골절골술(HTO)용 X-밴드 플레이트에 적용되는 HDPE의 각기 다른 변형률속도에 따른 인장거동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엔지니어링 응력-변형률곡선에 기반을 둔 폴리메트릭 물질의 변형거동은 입자넥킹의 소성변형을 동반한 높은 비균질성을 나타내므로 매우 복잡한 거동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1~500%/min의 9가지 변형률속도를 적용하여 그에 따른 점탄성 거동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저속 변형률속도에서는 최대인장응력이 증가하고 변형률은 감소하였으나 고속 변형률속도에서는 점탄성거동이 급변하는 교차점(Ts)이 발생하였다. 또한 전이점($P_{st}$)에 의해 구해진 전이응력(${\sigma}_{ts}$)은 고속 변형률속도에서 최대인장응력(${\sigma}_{ult}$)보다 저하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초기 모듈러스와 전이점에서의 시컨트 모듈러스의 비인 ${\beta}$를 이용하여 저속과 고속 변형률속도에서의 점탄성 거동을 평가한 결과 고속 변형률속도에서 급격한 ${\beta}$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개에서 만성외이염과 중이염에 대한 전이도 적출술과 외측 고포절골술: 수술 후 회복과정과 장기간 예후 (Total Ear Canal Ablation and Lateral Bulla Osteotomy for Chronic Otitis Externa and Media in Dogs: Postoperative Recovery and Long-Term Follow-up)

  • Kim, Joon-Young;Jeong, Soon-Wuk;Jeong, Man-Bok;Han, Hyun-Jung;Kim, Je-S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6-32
    • /
    • 2003
  • 전이도적출술 및 외측고포절골술 (total ear canal ablation combined with lateral bulla osteotomy, TECA-LBO)을 행한 10개의 (6마리의 개) 임상결과를 수술 후 회목과정과 장기간 예후를 통해서 평가하였다. 모든 개들은 아래의 다섯가지 소견을 보일 때 TECA-LBO를 실시하였다. 첫째, 적어도 2개월 이상 약물적인 치료가 더 이상 임상증상을 호전시키지 못하는 경우, 둘째, 고막이 완전히 사라진 경우, 셋째, 고포의 방사선밀도가 증가된 경우, 넷째, petrous temporal bone에 경화가 일어난 경우, 다섯째, 이도의 석회화가 진행된 경우. 수술 후 회복경과는 입원 14일 동안, 퇴원 후 7.5개월에 평가하였다. 수술 후 14일째 만성외이염 및 중이염의 증상인 귀를 긁는 것, 통증, 그리고 귀의 경화는 사라졌다. 그리고 이때 수술부위의 종창, 발적, 머리를 기울이는 증상 그리고 Penrose에 의한 삼출물은 모두 사라졌다. 눈을 깜박이지 못하는 것은 4예에서 발생하였고, 이것은 수술 후 14일째 사라졌다. 하지만 한 경우에는 3개월 뒤에 사라졌다. 모든 개들은 수술 후 14일째 퇴원하였다. 퇴원 후 3.5개월에서 6.5개월 사이에 para-aural abscessation이 모든 코커 스파니엘 종에서 발생하여 VBO을 통해 완치시켰다. TECA-LBO를 행하고 para-aural abscessation이 생기지 않은 개들에서는 수술 후 7.5개월 후 귀를 긁는 것, 통증, 귀의 경화가 더 이상 발견되지 않았고, 듣는 능력도 향상되었다. 또한 TECA-LBO를 행하고 para-aural abscessation이 생긴 개들에서는 VBO를 행하고 7.5개월 후 귀를 긁는 것, 통증, 귀의 경화가 더 이상 발견되지 않았고, 듣는 능력도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전이도적출술 및 외측고포절골술은 적용한 후 약 2주 정도의 치료 경과를 보였고 치료 후 코커 스파니엘종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합병증 없이 좋은 회복을 보였다. 그리고 수술 후 눈을 깜박이지 못하는 것은 수술 후 약 2주안에 자연적으로 사라졌다. 그리고, para-aural abscessation은 수술 후 4개월에서 7개월 사이에 발생하므로 follow-up 은 8개월까지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