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통 색채 조화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dentification of Korea Traditional Color Harmony (한국의 전통 색채 식별)

  • Baek, Jeong-Uk;Shin, Seong-Yoon;Rhee, Y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202-203
    • /
    • 2009
  • In this paper, system divide into the edge extraction, labeling, clustering, and South Korea's traditional color combination and identifying to identify Korea's traditional colors. Edge is extracted using Canny operator. And given the label, and clustering to ensure the quality of the cluster. Finally, we identify color harmony by organizing and comparing primary color with secondary color configuration table Korea traditional color.

  • PDF

회화에 표현된 한국전통 복색(服色)의 배색특성에 관한 연구

  • 이미경;김혜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42-43
    • /
    • 2001
  • 색상특성은 각 계열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 으로 고명도.저채도 중심으로 황색계열과 청색계열 은 고명도 위주의 분포특성을 보였다. 이어 반하여 적색계열은 비교적 색조의 영역이 넓었으며 고채도 의 분포특성이 두드러졌다. 자색계열은 저명도.중 채도, 녹색계열은 고명도.저채도 중심이었다. 남.녀복의 색조유형으로서 여복에서는 white보다는 tone 중심의 색조특성이 나타났으며. 남복에서는 white를 제외한 tint의 색조유형이 많았다. 이는 당시대인의 백색지향 의식을 대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음양오행론의 배색원리에 의해 검토한 결과 여복 은 상생이 남복보다 낮게 집계되었으며, 반대로 파버 비렌의 색채조화의 배색원리에 의한 검토 철과는 남 복보다 여복의 적용수치가 높았다. 이것은 감각적인 색채조화 보다는 의례적인 성향이 좀 더 징한 남복이 서구의 색채조화의 척도에 적합하지 않은 결과로 추측된다. 전통복의 배색특성은 남녀가 매우 다른 양상을 보 이고 있었다. 여복의 기본 복식구조인 저고리/치마 는 백/청색계열, 백/황색계열과의 배색이 중심으로서 면적대비 및 명도대비에 의한 조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반면에 저고리의 배색은 유채색과 백색계열 의 배색으로 채도대비의 성향이 강했다. 남복은 황/백색계열. 백/청색계열로 명도의 차가 크지 않았다. 포/띠의 의복 구성에 있어서는 흑색 또 는 적.자색 등의 세조대(細條帶)로 인해 채도대비, 면적대비, 명도대비의 배색효과를 찾아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통한 한국인의 색사용의 특정은 복식의 전면에 등장하는 백색지향과 음양오 행설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백색위주의 색사용은 인공미가 배제된 자연미의 추구에 기인한 것으로 토착화된 한국의 색으로 볼 수 있다. 백색은 여러 색을 통합하고 배색된 색채착화된 한국의 색으로 볼 수 있다. 백색은 여러 색을 통합하고 배색된 색채들을 담하게 만드는 것이 특징 으로 한국전통 복식의 배색특성을 주도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회화자료를 근거한 것으로 풍속화의 변색 및 탈색에 의해 당시대의 정확한 색채규명이 어려우며, 실물작품이 아닌 도판을 통한 측 색으로 색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을 연구의 한계 점으로 언급하고자 한다.

  • PDF

Identification of 5-Jung-color and 5-Kan-color In Video (비디오에서 오정색과 오간색 식별)

  • Shin, Seong-Yoon;Pyo, Seong-Ba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1
    • /
    • pp.103-109
    • /
    • 2010
  • As color was used for formative language since a human activity was beginning, all the symptoms in the world that the human eye can see is present. In this paper, we identify Korea traditional color harmony for extracted key frames from scene change detection. Traditional color is classified as 5-Jung-color and 5-Kan-color, and determine whether to harmony. Red, blue, yellow, black, and white, called 5-Jung-color and pink, blue, purple, sulfur, and green, called the 5-Kan-color was identified. First, we extract edge using Canny algorithm. And, we are labeling and clustering colors around the edge. Finally, we identify the traditional color using identification method of traditional color harmony. The proposed study in this paper has been proven through experiments.

A Study on the symbolic Meaning of Interior Color and It's Hamony at the Late Chosun Dynasty's Upper Class Houses (조선후기 상류주택 실내색채의 상징적 의미와 색채조화에 관한 연구)

  • 박효철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no.20
    • /
    • pp.78-83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ymbolic meaning of interior color a the chosun dynasty's upper class houses, and to review it from a point of view of the Western coloring harmony theory. from this study, the Oriental philosophy, the ideas of Confucianism, and the ethnic traits influenced the interior color of the Chosun Dynasty's upper class houses like an-bang or sarang-ba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in color, auxiliary color, accent color were harmonized with similar harmony by hue and with contrast harmony by value and chroma. Therefore, interior color image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should be applied to the various design field as well as modern interior desigv.

  • PDF

A Study on the Campus Color Plan for the University Identity - Focused on the S Campus of Y University - (대학 캠퍼스 이미지 통합을 위한 환경 색채 계획 - Y 대학교 S 캠퍼스를 중심으로 -)

  • 박영순;이현정;김은정;조은숙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4
    • /
    • pp.255-26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lor palettes for the campus environment to find an identity of various Universities in Korea.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Shin-chon campus of Yonsei University because it has a long history and a mixture of old and new modern buildings in the campus. It takes three steps to proceed this study. Firstly, it is needed to find the images and history of Yonsei University from the documents. In the second place, the colors should be collected from the building materials, four seasons in campus, buildings in campus. At this point, color measurement devices, NCS color system, digital camera and other appropriate devices were used for the study. The third step sho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color palettes based on the analyzed materials from second step. This research suggests three major color groups. The typical main colors of the campus building are YR/anchromatic with middle level of value and chroma from the analysis. The sub-colors are similar to the main colors with pale/light grayish/dull/deep tone. The color palettes out of the results could be used as a standard for campus color scheme in the future to build an identity of Yonsei University.

  • PDF

A Study on the Traditional Color Analysis of Chinese Historic Village - Focus on Cuandixia Village of Mentougou District in Beijing - (중국 민속(民俗)마을의 전통(傳統)색채 분석에 관한 연구 - 북경(北京)시 문두구(門頭溝)구 천저하마을(爨底下村)을 대상으로 -)

  • Ma, Yuan;Lim, Jin-Kang;Kim, Dong-Ch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4
    • /
    • pp.112-128
    • /
    • 2015
  • To consider an identity about traditional folk village, this study analyzes color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folk village by targeting Cuandixia folk village in China. For method of study, color is analyzed by KSCA(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program and images of color are drawn by I.R.I. Based on these, four results are came out. First, color distribution of Cuandixia is appeared in YR, R, Y, GY order. Furthermore, there are no affiliation of BG, and B but a lot of affiliation of YR. Second, the whole is made up of color that is applied to mist gray/low chroma in the value and chroma stakes. Especially, high chroma is extracted by only commercial old house, the rest is made up of middle and low chroma color. Third, dark color is the most by KS Color System and dark reddish gray and medium gray are occupied most part. Fourth, the whole atmosphere of village is static and hard, and the image is researched as gentle. Through the research, It applies extracted color palette for plan and preservation of traditional folk village. As using the color that is reflected in national and local distinct characteristic, preserving the color reflected in history and culture of the village, and applying color planning considered harmony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it is expected that it can help to direct the color involved traditional and cultural meaning.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Hanbok for the formal Ceremonies of Korea (아동용 한복의 특성에 관한 연구)

  • Ji, Yoon-Young;Lee, Hy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12
    • /
    • pp.1727-1738
    • /
    • 2002
  • 세계화, 국제화, 개방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통과의례나 전통 명절과 같은 특별한 행사에 의례복으로 한복을 애용하는 것은 한복이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를 강하게 간직하고 있는 한국적 조형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더우기 의례복은 특별한 행사 자체를 위해 착용되었던 만큼 당시대의 내 적 가치를 가장 현저하게 표출하고 있는 복식으로 인정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 적으로 현대 전통 한복의 기본 형 식을 제공한 조선시대와 그 이후의 복식 중에서 특히 분명한 착용동기와 목적, 복식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상징성 등을 함축하고 있는 아동용 의례복을 대상으로 복식의 형태, 색채, 문양, 소재 등의 조형 요소를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양식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러한 조형적 특성을 형성시킨 당시대의 사상적 가치를 추론해 보는 것이다. 구체 적인 연구 방법은 먼저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아동용 의례복의 범주를 설정하고 현재 보전중인 실물과 또는 사진,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당시대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을 병행하여 이들에 내재된 문화적 가치를 추출해 보았다. 연구 결과 양식적 특징으로는 남아의 두루마기나 전복 그리고 쓰개류 등에서 기능성을 고려한 변형적 양식이 나타나고 있었다. 색채 역시 음양 보색이나, 오행색을 바탕으로 한 기본색의 구성 이외 에도 소매나 섶에 응용된 색의 배열이나 맞깃 전복의 깃에 나타난 색의 조화는 다양한 색의 조형미를 표현하고 있었다. 특히 색동 등에 나타난 오행색의 배열, 안감과 겉감, 상의와 하의, 외의와 내의에 사용된 색의 조화는 미의식에 관한 문화적 가치를 추론해 볼 수 있다. 더우기 장식 표현에 주로 쓰인 자연물 문양이나 글자 문양은 당시의 지배 사상이 지향하는 덕목 이외에도 전통적으로 내재된 수명과 복록, 부귀와 영화에 대한 내적 가치들을 반영하는 조형적 상징들이라 할 수 있다. 소재는 비교적 계절을 고려하여 사용되고 있었지만 의례적 성격을 지닌 외의나 쓰개류의 경우 계절적 구분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도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장신구의 경우는 많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나 역시 상징적 인 가치를 표현하는 실물들을 미적으로 재구성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아동용 전통 의례복은 형태, 색채, 문양, 소재, 장신구 등에서 양식의 다양성과 변형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극적인 내적 가치의 상징들을 복식을 통해 표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 복식의 디자인에 있어 아동용 의례복에 나타난 창조적인 양식의 변형과 다양성 그리고 복식을 통한 내적 가치의 반영 등이 현대 사회와 조화를 이룬 실질적인 복식 디자인 제시 및 창작에 작은 영감으로 작용하길 바란다.

The Research of the Method and the Classification in Painting Style Between Korean Traditional Ink Paintings and Color Paintings (수묵화, 채색화의 색채 사용 형식 방법 연구 및 분류)

  • Jung Hyo-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8
    • /
    • pp.38-48
    • /
    • 2006
  •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Korean traditional ink and color paintings are different in their use of colors this paper was intended to demonstrate outcomes from the difference in their painting style through specific paintings and thereby categorizing a broad range of oriental paintings into 4 types(Indian ink light color, middle color, deep color, present color)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of using colors, suggest directions that oriental color paintings should move toward in the future in the diversity of modem Painting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oriental ink paintings, in style, are light in color within lines, which in return makes colors confined to a complimentary role in an overall picture, not having their unique color identity Nevertheless, there are some paintings that use dark colors, which is called moderate saturation. For such dark-color based paintings, colors play a key role, togethe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of color painting, as colors are used to express the most part of a picture. This study, thus, discusses the difference in the use of color depending on style on one hand, and examined the diversity of modem color paintings through specific works on the other hand, since a number of color paintings similar to western Painting in style have been created today. In such diversity, works that are being currently created should contribute to taking over the tradition and further develop oriental colors with modem aesthetic sensitivity. This paper is aimed to help to do harmonious works with traditional and modern paintings by studying and classifying varieties of colors

  • PDF

A Study on the Color and Lighting in the Assisted Liv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 Focused on the faciliti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색채와 조명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 Chun, Jin-Hee;Dolores A. Ginthner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3 no.2
    • /
    • pp.120-132
    • /
    • 2004
  • 고령사회 2001의 발표에 의하면, 노년인구의 증가는 전 세계적으로 21세기까지 지속될 전망이며,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어서 이에 대한 심각한 사회문제가 예상되고, 이들을 위한 특수주거시설에 대한 환경개선이 요망된다. 본 연구는 노인주거복지시설에서 색채와 조명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색채와 조명환경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비교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3년 2월부터 8월까지 우리나라와 미국의 양로시설 20사례에 대한 현장방문조사가 수행되었고, 모든 시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로비, 복도, 식당, 침실 등 4개 영역이 집중적으로 조사되었다. 1) 색상분포도 조사 결과, 한국시설은 미국 시설과 달리 주조색으로 한색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보조색, 강조색의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색상$\cdot$명도의 간격별 조화 정도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통해 한국시설은 명도대비보다는 색상대비가, 유사조화보다는 대비조화가 두드러졌는데 기능적 측면에서는 이상적이나 친근한 분위기를 만들기에는 한계가 있다. 3) 미도(Aesthetic Measure) 측정 결과, 한국과 미국 시설 모두 평균 이상을 보였는데, 특히 한국시설은 색상 대비 이외에 유사색 조화와 같은 질서요소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4) 한국시설은 미국에 비해 조명 환경이 매우 열악하였는데, 자연채광의 유입은 어느정도 만족스러우나 이를 양질의 조명으로 만들기 방안이 요구된다. 5) 조명방식, 광원유형 등 인공조명에 대한 분석 결과, 한국시설은 매우 단순하며 경제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데 광원의 선택, 배치, 설치 등 기술적인 보완이 요구된다. 6) 한국시설들의 시설별, 영역별 평균조도는 매우 낮은데, 활동시간대의 권장조도 유지는 물론, 영역 간의 조도 차이를 줄이는 방안이 요구된다.신만의 고유한 해결책으로 발전시키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서울을 사례분석 중 하나로 사용하여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의 경계를 대도시로 확장하는 동시에 새로운 적용영역의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있다 하겠다.[C/N]의 값을 나타내었다.다.다.화 기술, 구동방법등에 대한 기술개요와 국내외 기술동향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었다.다._{2}$가 0.25[wt%] 첨가된 시편의 20[.deg.C]에서의 유전상수는 16,700으로 최대값을 유전손실을 1.28[%]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시편은 온도 및 주파수에 따라 유전상수가 완만하게 변화하는 유전이완 특성을 나타내었다.다.수적인 물의 양에 따른 DIAION WA30의 라세미화 효율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그 효율은 감소하였다. DIAION WA30을 라세미화 촉매로 사용하여 아이소옥탄 내에서 라세믹 나프록센 2,2,2-트리플로로에틸 씨오에스터의 효소적 DKR 반응을 수행해 보았다. 그 결과 DIAION WA30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반응 전환율과 생성물의 광학 순도는 급격히 향상되었다. 전통적 광학분할 반응의 최대 50%라는 전환율의 제한이 본 연구에서 찾은 DIAION WA30을 첨가함으로써 성공적으로 극복되었다. 또한 고체 염기촉매인 DIAION WA30의 사용은 라세미화 촉매의 회수 및 재사용이 가능하게 해준다.해준다.다. TN5 세포주를 0.2 L 규모 (1 L spinner flask)oJl에서 세포간의 응집현상 없이 부유배양에 적응,배양시킨 후 세포성장 시기에 따른 발현을 조사한 결과 1 MOI의 감염조건 하에서는 $0.6\times10^6$cell/mL의 early exponential시기의 세포밀도에서 72시간 배양하였을 대 최대 발현양을 나타내었다. 나타내었다.

A Study on the Color Sensation and Symbolism of Tibet Costume (티베트 복식의 색채 감성과 의미 탐색)

  • Wang, Cong;Kim, Jisu;Na, Youngj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1 no.3
    • /
    • pp.115-128
    • /
    • 2018
  • Tibetans who live in the Tibetan highlands, the Roof of the World, have their own unique lifestyle wherein they conform to its long history, natural environment, and their own form of clothing culture. In their costumes, the use of colors, patterns and designs express religious meaning and represent the hopes and heart of life, which respects natu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lors used in Tibetan costumes and examine the meaning of these colors.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Tibetan culture through a consideration of the symbolism of the colors of ethnic costumes. By examining the literature and conducting case studies, colors of Tibetan costumes were analyzed through the I.R.I HUE-TONE system. We analyzed 96 photographs of the costumes photographed during the Tibet ceremony costume, photographs seen at the Qinghai Tibet Culture Museum and photographs from the Internet museum.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costumes is connected to the five colors of JangOsaek, which gives meaning to each color. Red, navy blue, yellow, white and green symbolize fire, the sky, earth, clouds or snow, and grasslands, respectively. Second, Tibetan costumes are characterized by bold color contrasts such as red and green, black and white, red and yellow, and yellow and purple to achieve an intense harmony of colors. Third, these fancy costumes express the unique aesthetics of the Tibetan people. The primary colors follow general emotions, but they can also include their own e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