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 건축물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2초

전통색채를 도입한 한국형 아파트 외장 색채에 관한 제안 -한국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artment color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olor)

  • 이강일;김현주;이상락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249-254
    • /
    • 1999
  •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는 다양하고 광범위하지만 그중 대표적인 것이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건축물의 특성은 형태, 색채, 높이로 이루어지며 그중 도시에 대한 변화를 가장 먼저 느끼게 하는것이 색채일 것이다. 따라서 도시색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더욱더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환경요소중 아파트에 대한 색채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토대로 아파트색채계획의 현황을 살펴보고 전통적 색채의 도입을 통한 한국형 아파트 색채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토픽맵을 이용한 3D 건축물의 구조모델링 기법 연구 (Structure Modeling Techniques for the 3D Architecture using Topic Maps)

  • 김소영;임순범;우성호;최윤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23-226
    • /
    • 2006
  • 가상현실 기술은 3 차원 가상공간 및 물체를 시각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3 차원으로 데이터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시각자료로만 사용하게 되는 요인이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각 정보뿐만 아니라 구조 및 관계에 대한 정보까지도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형뿐만 아니라 내부적인 구조와 관계에도 의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3 차원 건축물에 XML 기반의 토픽맵을 적용하였다. 전통 건축물의 공포 부분을 모델링하고, 각각의 객체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객체들의 구조와 연결관계를 분석하고, 정의된 구조 및 관계를 토대로 토픽맵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토픽맵은 모델링 데이터에 적용 가능하도록 DOM 을 이용하여 변환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아무리 복잡한 구조물이라도 그에 대한 구조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었고, 계층적 연결 관계도 쉽게 파악 할 수 있었다.

  • PDF

건조물 문화재 수리에 있어서 전통기술의 적합성 연구 - 기술의 속성 비교를 통하여 -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using traditional technique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heritage conservation - Through Comparing properties -)

  • 오규성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5호
    • /
    • pp.7-20
    • /
    • 2022
  • Traditional building technique has been used as the main technology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heritage conservation in South Korea. It has remained this way with very little resistance until now. But the time has come to question the appropriateness of traditional technique as conservation technique. In this paper a study was done on the properties of the traditional technique and the architectural heritage conservation technique in order to define the appropriateness between the two techniques. As a result the traditional technique was found to be unfit for conservation technique.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time gap between the traditional technique and the time when the heritage was first built. Second, conservation work is about retaining the values of being a heritage while the traditional technique is about safeness and practicality. Third, the use of traditional technique comes with using the tools of its time which cannot ensure the safety of the heritage. The traditional technique must be looked upon as one of an option in the field of conservation. We must develop a better conservation technology by finding balance between the traditional technique and modern science. And further more an aggressive investment must be made in order to realize this objective.

제주 현대건축의 지역성 구현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ization Method of Locality about Jeju Contemporary Architecture)

  • 김형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6-51
    • /
    • 2018
  • 본 이 연구는 제주 건축에 있어서 지역성을 탐구하는 일련의 연구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 저명 건축가가 아닌 국내 건축가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제주 건축의 지역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개념적 측면이 아니라 현상적 측면에서의 지역성에 집중함으로써 현재적 상황에서의 지역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연구 분석 결과, 건축가들이 생각하는 제주의 지역성은 첫째, 해석학적 지역성으로서 제주 전통 건축의 재해석을 통한 건축적 적용이며, 둘째, 현상학적 지역성으로 제주가 가진 독특한 자연경관이나 풍경을 자신의 건축에 담아내려고 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건축가들이 생각하는 지역성을 구현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분석되었다. 해석학적 지역성의 특징은 제주 전통 민가를 재해석하여 자신의 건축에 적용하는 경우로, 주로 공간구성이나 배치를 통해 민가의 요소를 건축으로 구현하고자 하였다. 현상학적 지역성의 특징은 제주의 경관과 풍경을 존중하여 이를 건축으로 구현하는 방식이었으며, 이 경우 경관이나 풍경요소를 그대로 건축에 차용하거나, 건축물이 제주 고유의 경관이나 풍경을 존중하여 이를 건축적으로 담아내는 경우에 해당하였다.

리차드 모리스 헌트와 미국 건축의 절충주의 (A study on Richard Moriss Hunt and eclecticism of American architecture)

  • 김진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641-644
    • /
    • 2010
  • 리차드 모리스 헌트(Richard Morris Hunt)는 19세기 미국의 대표적인 건축가로서 1855년까지 프랑스의 에콜 드 보자르에서 수학하고 미국으로 돌아와서 당시 미국의 대표적인 건축물을 설계하였다. 그는 그 자신의 작품적 특징보다 미국 건축을 절충주의적 경향으로 가도록 이끈 점이 그의 큰 역할로서 여겨진다. 당시의 미국 건축은 유럽의 전통에 비해 새로운 자유와 동시에 영향력 아래에 있었다고 볼 수 있는데 리차드 모리스 헌트는 이러한 신대륙의 건축의 성향을 이끈 대표적인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라 할 수 있겠다. 절충주의의 경향인 외관과 어울리는 실내디자인의 조합은 현대 실내디자인의 출발과도 같은 개념으로서 이러한 절충주의를 대표할 수 있는 리차드 모리스 헌트를 통해 미국건축의 절충 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청계천 수표교(水標橋)의 경관 향상을 위한 진단학적(診斷學的) 훼손상태 분석 (Analysis on the Damage Status by Diagnostical Methodology for the Improvement Landscape on the Supyo-bridge at Chunggae-stream)

  • 안진성;최아현;김유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05-113
    • /
    • 2010
  • 본 연구는 전통공간에 대한 보존계획에 있어서, 대상물의 가치평가를 위하여 수행되는 훼손상태조사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전통공간에 위치해 있는 전통 건조물의 보존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체계화하고 있는 전문가 집단에서 가치평가의 주된 요소로써 대상물의 훼손상태는 어떠한 과정과 방법에 의해서 분석될 수 있는가? 에 대한 과정과 방법론에 관한 실험적인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 '진단학(Diagnostic)'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표교에 대한 물리적 특성과 대상지 환경여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행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그 특성상 수표교의 훼손상태를 기록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훼손상태 분포도는 사진측량 기법을 적용한 실측도면을 활용하였고, 대상물의 훼손상태를 조사하기 위한 '평가지침'은 이탈리아 정부의 건축문화재 관리지침이라 할 수 있는 'Raccomandazioni Normal'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접근은 국외 건축문화재의 훼손상태 조사에 사용되는 표준지침의 국내 문화재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실험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졌음을 밝혀둔다. 그 결과, 수표교의 각 부분별 훼손상태는 침전물에 의한 훼손과 부식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부식을 비롯한 9가지의 훼손유형의 경우에는 그 구성성분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분포상태를 고려할 때, 수표교의 안전성과 관련하여 위협적인 요소로는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반면에, 경관 향상을 위하여 상판마루와 멍에석, 그리고 교각부분에서 관찰되는 'Thermoclastism(열전화)' 현상의 경우, 교각을 중심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훼손부위의 제거와 함께 표면강화 작업의 조속한 처리가 요구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건축가 A. 딕슨의 초기작품에 나타난 예술과 공예운동의 특성 (Early Architecture of A. Dixon and Art and Craft Quality)

  • 황보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63-268
    • /
    • 2019
  • 이 논문은 영국 건축가 A. 딕슨의 초기 건축작품에 나타나는 건축적 특징을 파악하고 그의 건축언어로 이해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하여 예술과 공예운동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근거로 삼고자 했다. 딕슨은 많은 건축작품을 남기지는 않았지만 예술과 공예건축의 중요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으며, 현재에도 큰 존재감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은 딕슨의 초기작품에 대한 연구가 행해지지 않은 점에 주목하고 딕슨이 설계한 버밍검 길드 홀, 성 앤드류 교회 그리고 성 바질 교회를 대상으로 문헌연구와 현장조사를 거쳐 그의 건축에 나타나는 특징을 규명하고자 했다. 버밍검 길드 홀 설계로 대표되는 그의 작품은 지역의 역사성과 전통성을 중시하는 예술과 공예운동의 속성을 그대로 드러내주고 있으며, 건물의 조형성은 물론 사용되는 재료와 적용된 기술 모두 건축물이 세워지는 지역의 역사와 전통을 따르고자 시도했다. 로마네스크 양식의 차용을 통해 저소득 근로자 주거지에 세워지는 교회에 절제되고 섬세한 디자인을 적용하고 소박한 조형미를 통하여 교회건축의 본질을 표현하고자 한 딕슨의 노력은 주목받을 가치가 있다.

창덕궁 연구(I) -건축물을 중심으로 한 전통공간의 시대적 변화- (A Study on Changduk Palace(I) -Special Consideration on the Chronological Changes of the Traditional Space with Buildings-)

  • 손창구;김귀곤;오구균;김익수;전용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87-100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bases for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Palace gardening by chronologically analyzing the change of space in Changduk Palace. The result of analyzing archives and Dongguldo is that the most of present spaces are considerably differ from the spaces of traditional Palace. But the backyard of Palace was not greatly damaged and the spaces of Injungjun and Daejojun was immediatly restored.

  • PDF

전통 및 수정 중요도-성과도 분석을 통한 어린이집 사용자와 건축 전문가의 공간 별 리스크 인식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in Risk Perception of Daycare Center between End-Users and Construction Experts by Applying Traditional and Revis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이경태;김홍주;제갈재웅;김재원;김주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3-15
    • /
    • 2022
  • 어린이집은 아이들의 심신 및 사회성 발달 등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공간이다. 따라서 어린이집 각 공간은 사용자인 아이뿐 아니라 교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설계 및 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불충분한 관련 법규 및 획일화된 설계 시공 과정은 어린이집 각 공간의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최종사용자(원장, 교사) 및 건설 전문가(설계 및 시공자) 사이의 각 공간별 중요도-성과도 인식차이에서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공간 및 집단 간 인식차이 요인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전통 및 수정 IPA를 통해 어린이집 건설 시 우선 고려되어야 할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두 집단의 인식을 비교하고, 분석방법에 다른 결과를 비교함으로, 향후 어린이집 발주 시 활용 가능하며 시공 및 운영 과정에서 각자의 공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갈등 발생 최소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각 IPA 방법에 따라 전통 IPA가 사전의 인식을 보는데 수월하다면, 수정 IPA는 성과물의 만족도를 기준으로 중요도를 파악함으로 결과물에 대한 판단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IPA의 특성에 따라서 결과를 비교한다면, 어린이집 건설 전후 상황에 따른 사용자와 건설 전문가 집단의 인식차이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수원 화성 미복원 수(水) 공간의 전통조경 조성방법 연구 (A Study on Traditional Landscaping Method in the Water Space of Unrestored in Suwon Hwaseong)

  • 백종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1-27
    • /
    • 2020
  • 1796년 9월에 완성된 수원 화성은, 49개 시설물이 5,744m에 걸쳐 조성된 방어시설이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많은 건축물과 성벽이 훼손되었고, 1975년 수원성 복원 정화사업을 통해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전체 시설물 중 6개 시설물은 도시화에 의해 복원되지 못하였는데, 이 중 은구를 포함한 수(水) 공간의 복원은 관람객들에게 휴식과 조망의 장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원 화성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역사유적지를 탐방하는데에 만족감을 보이고 있으나, 성곽 주변의 자연경관을 즐기는 것에는 부족함을 느끼고 있다. 도시화가 진행된 수원 화성 내에 자연경관을 조성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는 수 공간 조성을 통해 전통정원의 정취를 느끼게 해 주는 방법이 최선의 방법으로 보인다. 따라서 수원 화성의 미복원된 수 공간을 『화성성역의궤』와 『화성전도』 분석을 통해 위치와 형태, 기능 등을 파악하였고, 수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여 전통조경 조성방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