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어린이복식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전통 어린이 복식을 응용한 원피스 디자인 연구 (Study on one-piece design using traditional children's wear)

  • 김월계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1호
    • /
    • pp.106-115
    • /
    • 2010
  • This study's purpose is to, first survey the traditional children clothing, clothing which doesn't get studied mostly. Second, to choose the factor that can modernize. Third, to design the present one-piece dress. Fourth, to gather an understanding about traditional children clothing and make a chance for children to wear the clothing that has a traditional factor. Traditional children clothes have a same shape with adults' clothes they use five primary color and use a pattern of a symbolic meaning which means healthy and long life. For ordinary wears there are Chimajogori and Bajijogori and for ceremonial dresses they wore Durumagi, Sagyusam which are Po and Dangui and headdress was added. The shape was considered by the children growth condition so the Gorum got longer. The dragon, cicadas, butterfly, phoenix and lots of flower pattern was used by the difference with the class. 5 one-piece design adapted Jogori, skirt, Dangui, Sagyusam, Magoja and used the traditional fabric by mixing the five primary color and the five secondary color was used to make traditional color. This study expects for a chance of children to wear traditional Hanbok or Hanbok-adapted clothes.

아동용 한복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Hanbok for the formal Ceremonies of Korea)

  • Ji, Yoon-Young;Lee, Hye-Yo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727-1738
    • /
    • 2002
  • 세계화, 국제화, 개방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통과의례나 전통 명절과 같은 특별한 행사에 의례복으로 한복을 애용하는 것은 한복이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를 강하게 간직하고 있는 한국적 조형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더우기 의례복은 특별한 행사 자체를 위해 착용되었던 만큼 당시대의 내 적 가치를 가장 현저하게 표출하고 있는 복식으로 인정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 적으로 현대 전통 한복의 기본 형 식을 제공한 조선시대와 그 이후의 복식 중에서 특히 분명한 착용동기와 목적, 복식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상징성 등을 함축하고 있는 아동용 의례복을 대상으로 복식의 형태, 색채, 문양, 소재 등의 조형 요소를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양식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러한 조형적 특성을 형성시킨 당시대의 사상적 가치를 추론해 보는 것이다. 구체 적인 연구 방법은 먼저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아동용 의례복의 범주를 설정하고 현재 보전중인 실물과 또는 사진,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당시대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을 병행하여 이들에 내재된 문화적 가치를 추출해 보았다. 연구 결과 양식적 특징으로는 남아의 두루마기나 전복 그리고 쓰개류 등에서 기능성을 고려한 변형적 양식이 나타나고 있었다. 색채 역시 음양 보색이나, 오행색을 바탕으로 한 기본색의 구성 이외 에도 소매나 섶에 응용된 색의 배열이나 맞깃 전복의 깃에 나타난 색의 조화는 다양한 색의 조형미를 표현하고 있었다. 특히 색동 등에 나타난 오행색의 배열, 안감과 겉감, 상의와 하의, 외의와 내의에 사용된 색의 조화는 미의식에 관한 문화적 가치를 추론해 볼 수 있다. 더우기 장식 표현에 주로 쓰인 자연물 문양이나 글자 문양은 당시의 지배 사상이 지향하는 덕목 이외에도 전통적으로 내재된 수명과 복록, 부귀와 영화에 대한 내적 가치들을 반영하는 조형적 상징들이라 할 수 있다. 소재는 비교적 계절을 고려하여 사용되고 있었지만 의례적 성격을 지닌 외의나 쓰개류의 경우 계절적 구분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도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장신구의 경우는 많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나 역시 상징적 인 가치를 표현하는 실물들을 미적으로 재구성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아동용 전통 의례복은 형태, 색채, 문양, 소재, 장신구 등에서 양식의 다양성과 변형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극적인 내적 가치의 상징들을 복식을 통해 표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 복식의 디자인에 있어 아동용 의례복에 나타난 창조적인 양식의 변형과 다양성 그리고 복식을 통한 내적 가치의 반영 등이 현대 사회와 조화를 이룬 실질적인 복식 디자인 제시 및 창작에 작은 영감으로 작용하길 바란다.

어린이 한복(전통한복, 생활한복)에 관한 조사연구 - 경남지역 마산.창원시 거주 어린이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 (A Survey on the Korean Costume(Traditional Hanbok, Saenghwal Hanbok) for Children)

  • 정혜경
    • 복식
    • /
    • 제53권5호
    • /
    • pp.97-110
    • /
    • 2003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wearing experience, the taste and attitudes toward Korean Costume(Traditional and Saenghwal Hanbok).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 from 307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307 mother during 7, 2002. Conclusions are as follows : 1. Hanbok was worn mainly in the first birthday of children and 6∼7years old. But it was rarely worn in 4th∼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Most of children had worn the Traditional Hanbok, about 30% had worn the Saenghwal Hanbok. 2. Childrens liked Saenghwal Hanbok more than Traditional Hanbok, girls liked Hanbok more than boys did. And 31.4% of boys disliked Hanbok, the main motives for dislike were concerned with the discomfort to move, the feel of cloth and becoming. Boys prefered the style of ´vest/ Jeokori/ Bajii´ in Traditional Hanbok, and ´half-sleeve Jeokori/ Baji´ in Saenghwal Hanbok. Girls prefered the style of ´Dangeui/ Chima´ in Traditional Hanbok, and ´One piece/ Jeokori´ in Saenghwal Hanbok. Childrens prefered analogous color scheme to contrasting color scheme. Boys prefered the blue groups, girls prefered the orange and red groups. 3. Children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Saenghwal Hanbok than Traditional Hanbok. Mother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s both these types. And the attitudes toward Saenghwal Hanbok and Traditional Hanbok of childrens were more positive than mother´s. Therefore the following suggestions may b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Hanbok for children. 1. Hanbok is need to be designed considering activity, feeling and becomingness for teenagers. 2. Hanbok design must be kept seperated Traditional Hanbok and Saenghwal Hanbok. Traditional Hanbok is need to emphases tradition, Saenghwal Hanbok is need to apply a western style and have a practical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