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one-piece design using traditional children's wear

전통 어린이 복식을 응용한 원피스 디자인 연구

  • 김월계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09.08.03
  • Accepted : 2009.09.21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is study's purpose is to, first survey the traditional children clothing, clothing which doesn't get studied mostly. Second, to choose the factor that can modernize. Third, to design the present one-piece dress. Fourth, to gather an understanding about traditional children clothing and make a chance for children to wear the clothing that has a traditional factor. Traditional children clothes have a same shape with adults' clothes they use five primary color and use a pattern of a symbolic meaning which means healthy and long life. For ordinary wears there are Chimajogori and Bajijogori and for ceremonial dresses they wore Durumagi, Sagyusam which are Po and Dangui and headdress was added. The shape was considered by the children growth condition so the Gorum got longer. The dragon, cicadas, butterfly, phoenix and lots of flower pattern was used by the difference with the class. 5 one-piece design adapted Jogori, skirt, Dangui, Sagyusam, Magoja and used the traditional fabric by mixing the five primary color and the five secondary color was used to make traditional color. This study expects for a chance of children to wear traditional Hanbok or Hanbok-adapted clothes.

Keywords

References

  1. 신유진(2004), "조선시대 어린이 복식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하상효(2000), "전통 어린이 복식에 관한 연구-조선 후기의 복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이혜미(2001), "전통 어린이 복식의 조형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명옥.서미아.이연희(2008), "동화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이용한 어린이생활한복 디자인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0(2).
  5. 김은경(1993), "조선시대 유아복식의 조형성을 활용한 현대 유아복 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석주선기념박물관(편)(2000), 한국전통어린이복식, 단국대학교 출판부, p. 10, p. 22.
  7. 이혜미(2001), "전통 어린이 복식의 조형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10.
  8. 조효순(1992), 한국복식풍속사연구, 일지사, pp. 189-190.
  9. 박광훈.이민주(2006), 침선장 박광훈의 오방색 아이옷, 다섯수레, p. 30.
  10. 하상효(2000), "전통 어린이 복식에 관한 연구-조선 후기의 복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0-21
  11. 이문건(1997), 양아록, 이상주(역) 태학사, p. 48.
  12. 구혜자(2001), 한복만들기 I, 한국문화재보호재단, p. 41.
  13. 김영숙(1999),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p. 96.
  14. 조효순(1992), 한국복식풍속사연구, 일지사, p. 192.
  15. 김용숙(1996), 조선조 궁중풍속연구, 일지사, 도판.
  16. 구혜자(2001), 한복만들기 I, 한국문화재보호재단, p. 7.
  17. 최충식(2006), 한국전통문양의 이해, 경산: 대구대학교 출판부, p. 81.
  18. "오방색", NAVER 백과사전, 자료검색일 2009. 6. 25, 자료출처 http://100.naver.com/100.nhn?docid=775590
  19. 허균(2007), 전통문양, 대원사, p. 32.
  20. 허균(2007), 전통문양, 대원사, p. 98.
  21. 임영주(2004), 한국의 전통문양, 대원사, p. 97.
  22. 김명옥.서미아.이연희(2008), "동화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이용한 어린이생활한복 디자인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0(2). pp. 6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