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설화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4초

저자 인터뷰-"설화작품의 현장론적 분석", "한국민속과 전통의 세계" 동시에 펴낸 임재해 교수

  • 정혜옥
    • 출판저널
    • /
    • 통권83호
    • /
    • pp.15-15
    • /
    • 1991
  • 구비전승되는 민속문화의 한갈래인 설화를 새로운 방법론으로 탐구한 것과 10여년간 우리 전통문화의 세계를 탐구해오며 발표했던 글들을 묶은 평론집으로 구별되는 이번 두 저술에서 저자는 민속학의 연구가 역사의 흐름과 사회적 실천에서 결코 분리되어 있어서는 안됨을 강조하고 있다.

  • PDF

한국복식에 나타나는 사회적 상징 연구 - 전통설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ocial Symbolism of the Korean Dress - Centering around the Traditional Korean Folktale -)

  • 김진구;김애련
    • 복식문화연구
    • /
    • 제13권3호
    • /
    • pp.503-512
    • /
    • 2005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ocial symbolism of the dress described in the traditional Korean folktale focusing on the Chosen Dynasty. As references, An outline of the Korean oral literature: 82 volumes in total and written Korean narrative:7 volumes in total written by Kim Hyen Ryong were selected. As regards method of study, first, the social symbolism of the dress described in the traditional folktale has been extracted: afterwards, those were classified and summarized according to theme of a clothing, hairstyle, and belt, etc. And the social symbolism of the dress has been analyzed based on the theory of symbolis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obtained. First, political relationship and ideology represented through costumes. Second, old customary clothing behaviour represented. Third, sex and age symbolism were represented through protagonists. Fourth, married or unmarried symbolim represented.

  • PDF

처용설화의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Digitalization of Cultural Archetype Based on the Tale of Cheoyong)

  • 정재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591-600
    • /
    • 2008
  • 우리나라 전통문화는 유구한 역사를 통해 국민정서 속에 뿌리깊게 존재하고 있는 한민족의 삶의 양식이자 민족의 자긍심이며, 자랑이라고 볼때, 처용설화는 통일신라시대 이후로 우리나라 국민 대중의식속에 존재하고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따라서 이러한 소중한 문화자원인 처용설화의 신비롭고 아름다운 스토리를 기반으로 디지털콘텐츠 개발을 통해 전통문화의 가치를 발현하고, 국민 대중이 향유할 수 있는 콘텐츠로 개발은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처용설화가 가지고 있는 콘텐츠 요소를 분석하여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화 방안을 제시하고, 처용설화의 디지털콘텐츠화 개발과정을 학문적으로 접근하여, 처용무의 3D 애니메이션 복원과정과 처용설화 스토리의 애니메이션화 작업을 통해 디지털콘텐츠화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처용설화 문화원형의 콘텐츠 개발과정 분석을 통해 다양한 문화콘텐츠 작품으로 개발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 상품 가치가 큰 문화원형 소스로 개발되었다. 향후 전통문화의 디지털콘텐츠화를 위한 개발방법론 연구를 통해 세계속에 빛날 우리나라 문화유산의 콘텐츠화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학문적 연구와 탐구가 지속되어 할 것이다.

  • PDF

공연예술 콘텐츠로서 무용에 나타나는 설화의 수용양상과 의미 (Acceptance Patterns and Meaning of Tales Appearing on Dance as a Performing Arts Contents for the Journal of Korean Contents)

  • 정은영;최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23-138
    • /
    • 2012
  • 본 연구는 문화산업의 영역 중에서 급속 성장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공연예술로서의 무용에서 설화가 어떻게 수용되어 새로운 작품으로 형상화되고 있는지 그 양상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우리나라 고대 설화인 바리데기, 춘향설화, 연오랑세오녀를 중심으로 최근에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창작되었던 주요 공연 사례를 분석하였다. 설화 속 이야기를 무용에 수용했을 때 유구한 구전에 의한 창작의 생명력과 각 설화에 담긴 풍부한 내용, 해석의 다양성은 기존의 시각을 바탕으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 수용 방식은 크게 주제의 서사기법의 다양화, 도덕적 가치문제의 제재화, 전통과 민족의식의 수용으로 나타났다. 우주와 인간에 대한 근원적 관심을 만족시키고 가장 세계적이면서도 한국적인 무용콘텐츠를 창조하기 위해 설화가 지니는 이미지들은 시간을 초월하여 새로운 차원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경험-학습' 이론에 비추어 본 『삼국유사』 설화의 수양론적 특징 - 낙산사·분황사·금산사에 얽힌 세 설화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 of cultivating theory in fables of Sam Guk Yu Sa(三國遺事;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reflected to "Experience-Learning" theory - In the central figure of Three Fables with Naksan temple, Bunhwang temple, and Geumsan temple)

  • 최승현;김영훈;신창호
    • 한국철학논집
    • /
    • 제32호
    • /
    • pp.371-394
    • /
    • 2011
  • 한국의 전통교육에서 불교는 큰 영향력을 차지하고 있다. "삼국유사"는 불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민중성을 담보하고 있는 저작이다. 넓은 범위에서 민중성은 민중들의 수양교육으로 이어진다. 본고는 "삼국유사"에 나타난 불교적 민중성을 존 듀이의 '경험-학습' 모델에 근거하여 수양교육의 모습으로 검토한 것이다. "삼국유사"에 나타난 '성인-되기'라는 '의미-경험'은 불교적 세계관인 생성의 지평에서 볼 때, 강력한 수양교육의 성격을 띠고 있다. 듀이의 이론을 현대화한 듀이-들뢰즈적인 수양교육은 불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삼국유사"의 세 설화와 민중성이라는 지점에서 만난다. 이는 서구의 교육론과 한국의 전통사상의 수양론이 상호 교차하면서 독해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승려에서 서민에 이르기까지 민중의 성장과 성숙을 다루고 있는 "삼국유사"의 설화에는, '충동-관찰-지식-판단'에 이르는 수양 교육의 과정을 통해, 불국토(佛國土)의 성취를 염원한다. 이러한 일련의 '성인-되기'의 과정은, 그 삶 자체가 수양론적 특성을 갖추고 있다. 이런 점에서 "삼국유사"의 설화는 한국의 전통 수양론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서구의 교육이론과 접목할 수도 있는 수양교육의 담론서 역할을 할 수 있다.

고려인삼의 역사

  • 옥순종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제2권3호
    • /
    • pp.59-62
    • /
    • 2009
  • 가을은 인삼의 계절이다. 인삼 수확이 시작되는 9,10월이면 주산지인 홍천, 파주, 풍기, 금산, 증평, 서산 등지에서 인삼 축제가 열린다. 땅속에서 4~6년을 자라 대지의 기운을 송두리째 안고 밖으로 나오는 신비의 식물에 대한 감사제이자 풍년을 바라는 기원제이다. 하지만 각 지역의 인삼 축제는 판매 장터만 활발할 뿐 전통과 역사, 감성과 흥미를 주는 요소는 빈약하다. 축제로서 생명력을 얻기 위해서는 스토리, 즉 인삼의 유래, 인삼과 지역의 관계, 기원제의 전통과 설화 등 많은 이야기 요소를 갖추어야 한다.

  • PDF

Animation Review - 남북 합작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왕후심청'

  • 신선자
    • 디지털콘텐츠
    • /
    • 10호통권125호
    • /
    • pp.126-129
    • /
    • 2003
  • 전통설화 '심청전'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한 순수 창작 애니메이션 '왕후심청(Empress Chung)'이 서서히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한국적인 아름다움에 더불어 세계의 보편적인 감각과 기술이 융화된 이 작품은 특히 북한에서 OEM방식으로 제작됐다는 점에서 세간의 관심을 집중시킨 작품이다. 국내에서는 에이콤프로덕션의 대표로 더욱 잘 알려진 넬슨 신 감독이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는 모토를 다시 한번 실현시킨다는 포부로 막바지 작업에 한창인 '왕후심청'을 만나보자.

  • PDF

전통설화에 나타난 복식의 사회적 지위 및 신분 상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Position and Status of the Dress Symbolism Described in the Traditional Korean Folktale)

  • 김애련;김진구
    • 복식문화연구
    • /
    • 제10권4호
    • /
    • pp.419-432
    • /
    • 2002
  • This research analyzes how our people use the social position and status symbolism of the dress in focus of the Chosun Dynasty Period by analysis data of traditional folktale. This research material was analyzed social position and status symbolism of the dress with basis on Korean Oral Literature grand volumes of 82 published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whole volumes of 7 of Korean Literature Traditional , Folktale written by Kimhyunrwong. The methods of study is that first, selected part of describing social position and status of dress from the traditional Korean folktale. Second, summmarized things classified such as clothes, shape of hair and belt. Third, analyzed social position and status of dress with basis on symbol theory to be pre-studied. As a result, 1 can get the next conclusion. First, in case of the dress symbolism of social position and status, we classify as class. occupation, surreal person. Second, the changes of the social position and status showed upward position or downward position, and occupation change. Third, symbolization of position disguise was classified disguise of social position, sex, occupation.

  • PDF

궁중정재 <오양선>의 전통문화콘텐츠화 시론 - 아시아 전통춤의 전파와 변용을 바탕으로 - (A Direction of Developing a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of Korean Court Dance Oyangseon - With a Base on the Historical Transmission, Reception of Asian Traditional Dance -)

  • 허동성
    • 공연문화연구
    • /
    • 제35호
    • /
    • pp.509-541
    • /
    • 2017
  • 본 연구의 기본 취의는 역사적으로 문화적 친연성을 지닌 아시아권의 전통춤을 대상으로 한 전통문화콘텐츠 구축을 위한 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당악정재 곡목인 <오양선(五羊仙)>을 한 예범으로 그 역사적, 문학적 근거를 통해 그 배경서사의 연원이 고대 남월(南越; 베트남) 지역의 오양선 설화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다섯 신선이 오색의 양을 타고 오양성(五羊城; 현재의 중국 광주(廣州)에 내려와 여섯 개의 벼이삭(六穗?)을 하사하였다는 설화이다. 나아가 후대에 쓰여진 베트남의 구전설화 <월정전(越井傳)>, 중국의 전기(傳奇) 작품인 <최위(崔?)>가 이 원(原)서사에서 비롯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우리나라 <오양선>의 창사에 나타난 배경서사는 원서사에 서왕모와 천도 모티프를 추가하여 군왕의 축수(祝壽)와 덕치, 나라의 태평성대를 축원하는 의례적 모티프를 강화하였다. 본고에서는 3국 내 오양선 서사의 이러한 공통성에 주목하여 그를 소재로 한 각국 전통춤의 전승 현황을 추적한 바 중국의 경우 최근 우리나라 <오양선>을 참고하여 <오양선무>를 재창작한 반면 베트남의 경우 전승이 부재하였다. 그에 따라 전통문화콘텐츠 구축 프로젝트의 추진을 위해 베트남 공연단을 섭외하여 <월정전> 설화를 소재로 한 <치유의 쑥잎>이란 곡목을 창작케 하였다. 그 결과 오양선 설화를 소재로 한 3국의 춤을 한 무대에서 합연함으로써 아시아 악무의 공통적 서사 기반에 기초한 새로운 전통문화콘텐츠 구축의 시론적 방향성을 제시하고 나아가 춤을 통한 아시아 문화공동체 구축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설화지(雪花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ulwhaji)

  • 정선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63-373
    • /
    • 2007
  • 설화지는 16세기 이전부터 19세기 이후까지 초조된 종이로서, 하얗고 아름다운 전통 우리나라 종이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종이이다. 원산지는 평강(平康)이며, 17세기 이후 남원 순창, 진주 등지에서도 초조되었다. 원료는 뽕나무로서, 겨울철에 눈을 이용하여 표백하고(설쇄) 초조하였다. 서화용이나 인쇄용지로 사용되었으며, 궁중에서 혹은 사신의 예물로 사용된 고급품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