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문 직관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대학생의 강점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trengths Knowledg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Career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 김경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63-370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강점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G시와 M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하고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7월부터 9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198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기술 통계, 독립표본 평균 검정(t-test), 일원 배치 분산분석(ANOVA), 피어슨 상관계수, 통제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강점인식(β=.473, p<.001)과 간호전문직관(β=.167, p<.01)은 진로정체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연구모형은 진로정체감을 48.2%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높이기 위해 강점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간호교육 현장에서 다양하게 개발 및 운영되어야 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조미옥;백경화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7-44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일개 대학 간호학과 4학년 123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2년 10월부터 12월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T검정, 분산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결과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 및 임상수행능력은 양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은 임상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임상수행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1.9%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강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간호교육과정 개발을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인터넷 윤리의식, 자기통제력, 간호전문직관 및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간의 관계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Internet ethics awareness, self-control,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and patient privacy protection awareness)

  • 김외남;오재우; 김정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693-701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윤리의식, 자기통제력, 간호전문직관 및 환자개인정보보호 인식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보화 시태의 흐름을 반영하여 환자개인정보 보호 인식 향상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23년 11월 20일부터 12월 15일까지이며. 대전광역시와 청주시 소재 D대학교 및 C대학교에 재학중이며 본 연구에 참여 동의한 간호대학생 142명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간호전문직관과 자기통제력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24%였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터넷 윤리의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간호전문직관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개발이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임상실습경험의 간호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Speciality Satisfaction,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 우정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7-28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일 지역 159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은 2014년 9월 25일부터 10월 4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자료는 SPSS/WIN 21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로는 간호전문직관, 전공만족도 및 긍정심리자본이 대상자의 진로준비행동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공만족도의 교과만족과 간호전문직관의 사회적 인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긍정심리자본은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앞으로도 대학생의 진로관련 변인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반복연구가 요구된다.

  • PDF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임상수행능력,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age of Nurse, Clinical Performance, and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on Nursing Professionalism)

  • 장현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635-648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임상수행능력,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8년 10월 15일부터 19일까지 G시의 간호대학 2,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다중회귀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사 이미지(r=.70, p<.001), 임상수행능력(r=.23, p<.001), 전공만족도(r=.62,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임상수행능력은 간호사 이미지와 양의 상관관계가(r=.14, p=.015) 전공만족도는 간호사 이미지(r=.55, p<.001), 임상수행능력(r=.14, p=.012)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공만족도(β=.32, p<.001), 사회적 이미지(β=.31, p<.001), 전문적 이미지(β=.21, p<.001), 임상수행능력(β=.09, p=.018)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59.9%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해서는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코로나19(COVID-19) 유행 시 첫 임상실습 전·후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의 차이 (Image of nurs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of nurs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in the COVID-19 pandemic)

  • 이외선;임정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479-48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상황에서 첫 임상실습 전후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2020년 5월부터 7월까지 간호대학생 36명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ASW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COVID-19 상황에서 첫 임상실습 후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t=-2.219, p=.034), 간호전문직관(t=-3.444, p=.002)은 실습 전보다 유의하게 높아졌다. 하부 항목 중 사회적 이미지(t=-3.113, p=.004), 전문적 자아개념(t=-2.442, p=.021), 사회적 인식(t=-3.829, p=.001), 간호의 전문성(t=-2.299, p=.028)이 실습 후 유의하게 높아졌다. 첫 임상실습 후 간호사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831, p<.001). COVID-19에 대처하는 간호사들의 모습은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간호교육 전략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첫 임상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역할갈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Change i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ir first Clinical Experience)

  • 박은희;황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593-601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이 첫 임상실습을 경험한 후 달라진 전문직관, 직무만족, 역할갈등의 변화를 파악하며 간호학생의 임상 실습교육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자고 시도되었다. 첫 임상실습 후 간호학생의 전무직관(t=-2.184, p=.031), 직무만족(t=-2.068, p>.001)은 상승하였다. 그러나 부정적 요소인 역할갈등(t=-3.729, p>.001) 역시 상승하였다. 즉, 간호학생은 첫 임상실습을 통해 예비간호전문인으로서 바른 전문직관을 세우고 자신의 업무에 대해 만족감을 느꼈다. 그러나 간호학생은 첫 임상실습을 통해 임상에서의 현실적인 간호사 역할을 경험한 후, 오히려 심각하게 자신의 미래 직업에 대한 고민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역할갈등의 하부영역 중 개인 내 갈등(t=-3.729, p>.001), 역할모호성(t=-5.720, p>.001)에서 심각한 갈등을 느끼므로, 간호학생을 위한 업무기준과 직준표준안 마련에 대해 간호교육계 및 임상실무 현장 전반에 걸쳐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간호전문직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esteem, Nursing Professionalism, Cognitive Emotion Control Strategy on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 강미란;정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353-36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간호전문직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B시 소재 간호대학에 재학 중이며 임상실습을 2학기 이상 경험한 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9년 12월 1일부터 15일까지 시행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elation coefficient, Scheffe 사후검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3.19점이었다.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r=.22, p=.005), 간호전문직관(r=-.26, p=.001)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r=.38,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실습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β=.46, p<.001), 간호전문직관(β=-.20, p<.001), 학년(β=.20, p=.002), 간호학 선택 동기(β=-.15, p=.019)이었으며 설명력은 총 35.5%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실습에 대한 스트레스 감소를 위하여 간호전문직관 향상과 함께 스트레스 상황 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해 불 것을 제언한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leadership, Nursing Professionalism, Job involve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 권상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2호
    • /
    • pp.61-75
    • /
    • 2020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 직무몰입과 이직의도의 정도와 관련성을 파악하며 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35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여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이직의도는 평균평점 2.87점으로 연령, 결혼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셀프리더십은 3.66점으로 연령이 많을수록, 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셀프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3.42점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몰입은 3.51점으로 측정되었다.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는 간호전문직관, 결혼상태, 연령이 유의한 변수였으며 설명력은 30.6%로 나타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요양병원은 간호 전문성 향상을 위한 내·외적 교육에 대한 조직의 지원과 간호업무에 몰입할 수 있는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간호업무 수행을 위한 병원조직 관리체계에 대한 재정비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인성, 간호전문직관 및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aracter,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정미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302-314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성, 간호전문직관,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5월 22일부터 6월 8일까지 J도에 소재하는 396명의 간호대학생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Dunnett T3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인성 평균 $3.93{\pm}0.47$점, 간호전문직관 평균 $3.83{\pm}0.48$점, 자기효능감 평균 $3.53{\pm}0.59$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평균 $3.63{\pm}0.51$점이었다. 인성, 간호전문직관,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고,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업참여도, 전공만족도, 주도적 삶에 대한 인식, 자아통제, 의지 및 능력, 습관 및 자기효능감이었다. 그러나 간호전문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성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교육과정 내에 자아효능감,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