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문가포커스그룹인터뷰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2초

서울시 성동구 교육복지센터의 역할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and Development Plan of Seongdong-gu Educational Welfare Center in Seoul)

  • 권성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47-58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시 성동구 교육복지센터의 역할과 성과를 분석하여 도출하였으며, 향후 교육복지센터의 사업 방향에 대한 실질적인 방법들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교육복지센터사업과 관련된 사회복지기관 및 학교에 근무하는 실무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복지센터의 역할 및 사업평가에 있어 교육복지 수행 관련 기관 간의 원활한 중개 및 연계를 통한 통합적 사례관리와 프로그램지원 등의 중요한 가교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술논문으로는 처음으로 교육복지센터의 사업성과와 향후 발전방향을 실질적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교육복지센터의 지역 내 역할정립을 위한 요인들을 규명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3D/4D CAD를 통한 시설물 생애주기 관리 유용분야 도출 (3D/4D CAD Applicability for Life Cycle Facility Management)

  • 박정준;김창윤;김형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91-296
    • /
    • 2008
  • 지난 20년간 3D/4D CAD에 관한 연구는 시설물 생애주기의 설계, 시공단계를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어 왔지만 시설물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서 3D/4D CAD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 시공단계에 국한하지 않고 시설물 생애주기 동안의 3D/4D CAD 사용에 따른 유용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현재 상용화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3D/4D CAD 모델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모델과 기존의 시설물 생애주기 관리 방법을 기반으로 전문가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155명의 시설물 생애주기 관련 업무 수행자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3D/4D CAD를 통한 시설물 생애주기 관리 유용성을 도출하였다.

  • PDF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 관점의 변화에 따른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 개발, 실행 및 평가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n In-service Program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Curriculum with Changing Curriculum Development Perspective)

  • 유태명;이수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9
    • /
    • 2009
  •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관점이 수용되어 개발되었다. 그러므로 이를 수업에 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지원 체계가 요청된다. 본 연구자는 가정과 교사의 혁신역량 강화와 교실수업 능력 향상을 위해 새로운 차원의 연수가 요청되고 있음을 인식하고,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제안한 바 있다(이수희 유태명, 2008). 본 연구는 그 후속 연구로 직전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 그리고 평가해 봄으로써 새로운 교육과정의 도입에 대비하고 동시에 가정과 교사의 교수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질 높은 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단계에서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최대한 반영하여 총 30시간으로 구성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을 개발했다. 이에 따라 강의를 위한 원고를 집필하고 실습 및 활동을 포함하는 교재를 개발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실행단계에서 2008년 1월 21에서 29일 기간 중 4일의 오프라인(30시간)과 별도로 1월 23일에서 27일까지 5일의 온라인 활동으로 구성된 연수를 실시하였다. 참여자는 24명으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단원을 고려하여 6팀으로 구성하고 멘토교사를 활용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평가단계에서 연수 참여자로부터의 서면평가와 집단면담, 전문가로부터의 서면평가를 통해서 연수 프로그램의 평가를 받았다. 연수 참여자는 연수내용, 강사 및 운영방식에 만족하였으나 좀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지도안을 작성하여 발표하고 피드백을 받기를 원하였다. 개인적인 수업설계의 기회를 원하는 연수 참여자도 많았다. 전문가의 경우 연수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본 연구의 설계가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용어의 통일, 내용구성의 순서, 실습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전문가 평가에서의 제안과 평가 내용은 연수교재의 수정 보완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실제적 도움이 되었다.

  • PDF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한 한국음식의 건강성인지 및 식태도에 관한 연구 - 식생활 관련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ating Habit and a Healthy Diet's Perception of Korean Food Investigated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FGI) - Focus on the Dietary Life Related Expert -)

  • 정혜정;권용석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115-1125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Korean food is perceived within a healthy diet and what kinds of eating habits Korean people have.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participants who were experts on diet. Data were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using content analysis. categories were as follows: 1) Korean food and health assessment, 2) opinion on Koreans' current eating habits, 3)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4) comparison of Korean food in the past and present, 5) a plan for healthy diet. Results showed that a healthy diet should not only include a lot of vegetables, simple and unprocessed food as well as less spicy food, but that it should also be well-balanced nutritionally.

한국 전통무용의 보편적 학습설계(UDL)개발: 인지적 도제 학습의 관점 (Development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f Korean Traditional Dance: Based on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Theory)

  • 윤정옥;김지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61-262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92호 '강선영류 태평무' 교육을 체계적으로 보완하여 보편적 학습설계를 위한 구성주의 관점의 인지적 도제 학습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통무용 교육전문가 10명을 선정하여 개방형 설문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 실시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순환적 과정을 통해 모형 개발을 실행하고 형성적 순환에 중점을 두는 설계기반연구(DBR)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 도제에서의 교육적 한계점을 밝히고, 도제 원리의 특수성을 검토하여 구성주의 관점의 인지적 도제학습 관점에 기초한 한국 전통무용의 보편적 학습설계를 새롭게 개발하였다.

  • PDF

안양시 도서관 중장기 계획 수립을 위한 이용자 및 전문가 인식 연구 (A Study on Perceptions of Users and Specialists for Establishing Mid-to Long Term Development Plan for Libraries in Anyang City)

  • 송민선;장인호;황금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67-93
    • /
    • 2022
  • 본 연구는 안양시 지역 주민과 안양시 지역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안양시 도서관 중장기 발전 방향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설문조사 및 FGI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안양시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주요 시사점과 논의사항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이용률에 비해 이용자들이 이용하는 서비스가 극히 제한적이며, 도서관 프로그램 이용률이 낮아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정보 제공, 서비스 이용 절차 간소화 등에 대한 현장의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도서관 만족도는 비교적 높았으나 일부 불만족 의견의 이유를 분석한 결과, 도서관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과 함께 신간 자료 구입에 대한 적극적인 예산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특화도서관 운영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타 지역 우수사례 벤치마킹을 통해 안양시 공공도서관만의 특화도서관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향후 안양시 공공도서관은 지식정보센터, 평생교육센터, 생활편의센터로서의 기능과 함께 복합 문화센터로서의 기능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안양시 도서관 운영 조직체계 개편을 통해 장기적으로 도서관 운영을 체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컨트롤타워 구성이 요구된다.

노인의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주거안전 영향 요인도출 (Factors Related to Housing Safety and Improved End-of-Life Care for Elderly People)

  • 김주홍;오명화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341-351
    • /
    • 2019
  • 이 연구는 노화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 중 노인의 주거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진행은 첫 번째 단계로, 실제 65세 이상 노인 6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두 번째 단계로는, 국 내외 문헌고찰을 통해 확인된 노인 주거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확인된 요인을 바탕으로 설문을 구성하여 전문가에게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델파이 조사에서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하여 주거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 요인에 대해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였으며, 구성된 요인에 대해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통해 검증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의 주거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실외, 현관, 실내, 거실, 침실, 부엌, 욕실 및 화장실 총 7개 영역에 23개 하위 요인을 확인 및 추출할 수 있었다. 이 중 가장 많은 언급과 중요도를 보인 요인으로는 실내-외 영역의 계단 유무, 안전한 바닥, 실내 영역의 문턱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이 기존의 주거지에서 안전하게 생활하기 위해서는 위의 요인들의 확인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 사서교사의 역할 인식에 관한 연구 (Teacher-Librarians' Perceptions of Their Roles)

  • 정진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1-306
    • /
    • 2009
  • 본 연구는 탐구적 성격의 연구로서 현장에서 근무하는 초등학교 사서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그들의 역할을 이해하고자 한다. 서울 지역 내 5명의 사서교사와 함께 질적 연구의 틀 내에서 포커스그룹인터뷰(Morgan 1997)를 수행하여 발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에서의 사서교사 역할은 교육 환경적 요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둘째, 교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정의는 명확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셋째, 학교도서관 운영자로서의 역할은 가중되는 경향이 있다. 넷째, 사서교사 역할 유형의 우선순위에 있어서는 뚜렷한 합의점이 없으나 Empowering Learners(AASL 2009)에서 제시한 리더로서의 역할은 사서교사의 다른 역할유형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역할로서 중요성을 갖는다. 다섯째, 사서교사의 역할범위는 명확하지 않다. 종합하여 볼 때 사서교사는 학교마다 일관된 역할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역할 수행을 위해 아주 많은 유연성과 타협을 학교로부터 요구받는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적 현실 속에서 사서교사의 역할 모형 정립에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학교상담교사의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지원사업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School Counselor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Student Mental Health Promotion Enhancement Project Plan-Support Project for School Visits by Mental Health Experts)

  • 강향숙;백형의;이주용;신윤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37
    • /
    • 202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지원 사업에 대한 학교 상담교사의 경험을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학교 상담교사 13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지원 사업 경험 탐색을 위해 FGI를 실시하였다. 결과: 사업의 효과는 '학교 및 학부모의 인식과 태도 변화', '학교 상담사의 역량 강화', '학교 정신건강 대응 역량 향상'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이러한 사업효과의 촉진 요인과 장애 요인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연구참여자들이 제안한 사업 개선 사항이 정리되었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지원 사업의 차별화 방안과 사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이주민과 다문화전문가 및 사서들의 인식과 요구조사 (Immigrants', Multicultural Experts' and Librarians' Perception and Needs Analysis on Current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 구정화;우윤희;신난희;조용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13-243
    • /
    • 2020
  • 본 연구는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이주민, 다문화전문가, 사서의 인식과 요구조사를 통해 다문화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본 방향과 방법에 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심층 인터뷰와 포커스그룹 인터뷰 기법을 사용하여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조사결과, 이주민들과 사서들의 현재 도서관 다문화 서비스에 대한 주요 요구들과 인식에 있어 의미있는 특징과 차이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의 개선을 위해 다문화사회와 이주민에 대한 사서의 이해 증진, 수요자 중심적인 도서관 다문화서비스로의 전환, 다문화 유관기관과의 협력 강화, 도서관 협력에 기초한 다문화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교육과정의 체계화 등이 요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