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ating Habit and a Healthy Diet's Perception of Korean Food Investigated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FGI) - Focus on the Dietary Life Related Expert -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한 한국음식의 건강성인지 및 식태도에 관한 연구 - 식생활 관련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

  • 정혜정 (우송대학교 외식조리유학과) ;
  • 권용석 (우송대학교 외식조리학과)
  • Received : 2010.09.01
  • Accepted : 2010.12.08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Korean food is perceived within a healthy diet and what kinds of eating habits Korean people have.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participants who were experts on diet. Data were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using content analysis. categories were as follows: 1) Korean food and health assessment, 2) opinion on Koreans' current eating habits, 3)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4) comparison of Korean food in the past and present, 5) a plan for healthy diet. Results showed that a healthy diet should not only include a lot of vegetables, simple and unprocessed food as well as less spicy food, but that it should also be well-balanced nutritionally.

Keywords

References

  1. 구난숙. (1995). 대전지역 대학생들의 한국 전통 음식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0(4), 357-366.
  2. 계승희, 윤석인. (1987). 시판 한국전통음식의 영양학적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20(6), 395-404.
  3. 김미혜, 정혜경. (2009). 구술을 통한 전통세대의 음식문화특성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4(6), 613-630.
  4. 김성섭, 김미주. (2008). 한류(韓流)의 영향을 받은 아시아 지역에서 한국 음식문화 선호가 잠재 관광지로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 인식 변화와 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분석. 외식경영연구, 11(3), 117-145.
  5. 김은희, 권봉헌, 이웅규. (2010). 한국음식의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위한 기초연구. 외식경영연구, 13(1), 281-299.
  6. 김재수. (2005). 한국음식의 국제화 방안.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5), 499-507.
  7. 김주현. (1995). 여고생의 한국 전통음식에 관한 기호도 및 섭취빈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8(4), 293-300.
  8. 김태홍. (1983). 외국관광객을 위한 우리나라 관광호텔의 한국음식 개선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논문집, 12, 231-257.
  9. 김태희, 이은주, 이은정. (2009). 한식 및 한식세계화에 대한 조리전공 대학생의 인식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4(6), 597-606.
  10. 김희선. (2004). 1990년부터 2003년까지의 식문화 연구 동향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9(3), 295-312.
  11. 나정기. (2007). 한식의 세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 10(2), 155-179.
  12. 문수재, 손경희, 이영미, 안경미. (1986). 주한 외국인의 한국식당의 음식 및 서비스에 대한 의견조사. 대한가정학회지, 24(2), 63-73.
  13. 문혜련. (2009). 만 4-5세 유치원생 어머니들의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인식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이용하여-. 한국생활과학회지, 18(5), 1009-1020.
  14. 민계홍. (2009). 한식의 세계화 관련 학술적 연구 동향 분석.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5(5), 606-618.
  15. 박현아. (2009). 한식과 건강. 한국논단, 234, 186-189.
  16. 심영자, 정복미, 김은실, 주나미. (2000). 미국 거주 기간에 따른 재미한인들의 한국음식 세계화에 관한 설문조사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6(3), 210-215.
  17. 안광호, 임병훈. (2004).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서울: 학현사.
  18. 양일선, 박문경, 이해영. (2004a).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을 활용한 위탁급식 전문업체 인증제도 도입에 대한 요구 조사 및 관련분야 제도에 대한 고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10(2), 218-223.
  19. 양일선, 장해진, 신서영, 정라나. (2004b). 한국 전통 음식 문화를 소재로 한 인바운드 관광상품 개발. 외식경영연구, 7(3), 87-116.
  20. 오세영. (2005). 현대 한국 식문화에 나타난 함께 나눔의 성격.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6), 683-687.
  21. 오세영, 이헌. (2004). 한국인의 공동체의식과 식문화에 대한 소고(小考).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9(5), 556-565.
  22. 오익근, 김연선. (2008). 포커스그룹인터뷰의 관광연구 적용. 관광학연구, 30(1), 433-439.
  23. 윤혜려. (2005). 외식소비자의 연령별 외식행동과 한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연구 -서울, 경기, 천안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5), 608-614.
  24. 이경은, 홍완수, 김미현. (2005). 채식중심 학교급식 메뉴에 대한 중 고등학생들의 선호도.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11(3), 320-330.
  25. 이군희. (2004).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수정판). 서울: 법문사.
  26. 이규진, 조미숙. (2008). 뉴욕타임즈의 한국음식점 리뷰기사 분석: 1980년-2005년 기사를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11(1), 281-306.
  27. 이규진, 조미숙, 이종미. (2007). 미국 일간지의 한국음식 관련기사 내용분석연구 - 뉴욕타임즈 기사를 중심으로(1980-2005)-.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2(2), 289-298.
  28. 이양지. (2010). 참쉬운 건강밥상(개정판). 서울: 디자인하우스.
  29. 이와사키유카. (2009). (자연을 통째로 먹는) 마크로비오틱 밥상. 서울: 비타북스.
  30. 이은정, 김태희, 김두라. (2008). 한식 식자재 프로모션을 통한 한국음식의 세계화 방안 -한식 식자재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3(6), 729-736.
  31. 이종임. (2004). 식탁위의 혁명. 서울: 시공사.
  32. 이현아, 한경수. (2009). 심층면접을 활용한 위탁급식업체 국제화 추진, 유인 및 상호작용 요인 항목 선정.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4(4), 401-412.
  33. 장문정, 조미숙. (2000). 외국인의 한국음식에 대한 인지도와 기호도.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5(3), 215-223.
  34. 정상진, 강승호, 송수민, 류시현, 윤지현. (2005). 한국 성인 중 다빈도 외식소비자의 예측모형 개발: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2001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3(11), 225-234.
  35. 정상진, 강승호, 송수민, 류시현, 윤지현. (2006). 한국 성인의 점심식사에서 가정식, 상업적 외식 및 급식의 영양평가: 2001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의 분석. 한국영양학회지, 39(8), 841-849.
  36. 정유경, 정원희, 김영갑. (2007). 외식경영관련 학술지논문의 동향분석:외식경영연구학술지를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10(2), 73-91.
  37. 정혜경. (2007). 한국음식 오디세이. 서울: 생각과 나무.
  38. 정혜경. (2009). 천년한식견문록. 서울: 생각과 나무.
  39. 정혜경, 이정혜, 조미숙, 이종미. (1996). 서울 음식문화에 대한 연구 -심층면접에 의한 사례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1(2), 155-167.
  40. 조문수, 고승익, 오상운. (2007). IPA를 활용한 한국음식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관광연구, 22(1), 265-287.
  41. 주나미, 심영자, 이경아, 정희선, 박선정, 전희정. (2001).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주한 미국인의 인식 및 기호도 조사. 대한가정학회지, 39(6), 15-23.
  42. 차성미, 정라나, 정서진, 김광옥, 한귀정, 이새롬. (2010).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대표적인 한국의 맛과 음식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6(2), 155-164.
  43. 채서일. (2005). 사회과학조사방법론(제3판). 서울: 비앤엠북스.
  44. 최지아, 이종미. (2010). 뉴욕 음식전문가들의 한식에 대한 인식과 태도 -푸디스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5(2), 126-133.
  45. 한국전통음식연구소. (2008). 아름다운 한국음식 300선. 서울: 질시루.
  46. 한복려, 정길자. (2004). 조선왕조 궁중음식. 서울: 궁중음식연구원.
  47. 한식 조리 특성화 대학 사업기관 모집공고. (2010, 6. 15). aT 농수산물유통공사, 자료검색일 2010, 7. 02, 자료출처 http://www.at.or.kr/tp0100/tp0102/tp0102.jsp
  48. 황혜성. (1993). 조선왕조 궁중음식. 서울: 궁중음식연구원.
  49. 황혜성, 한복려, 한복진, 서혜경. (1997). 한국음식의 대관 제6권. 서울: 한림출판사.
  50. Khoe, K. I., Rowe, S. J., & Lim, H. C. (2007). A study on international marketing strategies for Korean traditional food. Journal of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9(2), 375-397.
  51. Krueger, R. A., & Casey, M. A. (2000). Focus Group(3rd ed). Califonia: sage publications.
  52. Lee, J. S., & Kim, J. (2010). Vegetable intake in Korea: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 2001 and 2005.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103(10), 1499-1506. https://doi.org/10.1017/S0007114509993527
  53. Lee, M. Y., Kim J. H., Oh, Y. J., & Lee, M. J. (2008). Mothers' perceptions of children's food behaviors: use of focus group interview study.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2(4), 259-268. https://doi.org/10.4162/nrp.2008.2.4.259

Cited by

  1. Korean Food Acculturation Phenomena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s Eating Habits vol.30, pp.5, 2015, https://doi.org/10.7318/KJFC/2015.30.5.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