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공특성

Search Result 1,62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개인적특성 요인, 환경적특성 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예술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Park, Ji-Seon;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85-189
    • /
    • 2016
  • 최근 청년 실업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취업의 대안으로 창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자의 대학 전공 분야이면서도 상대적으로 제도적 지원의 협소로 인해 창업에 대한 관심도가 저조한 예술 분야 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의 창업의지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고자 하며, 또한 그들의 창업의지를 보다 고취시키기 위해 필요한 방안들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울, 경기도, 경상도, 강원도 등 4개 지역 예술 관련 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하며, SPSS 22.0을 이용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이 같은 방법을 통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성취욕구, 위험감수성 등)과 환경적 특성(네트워크 환경, 창업지원제도 등)을 확인하고, 예술 분야 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게 될 것이다. 또한, 창업효능감의 조절 효과 양상에 대해 파악하면서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 중 어느 쪽에 더 깊은 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고, 결과적으로 예술 분야 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의 창업 의지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 창업 요인을 본 연구를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예술 분야 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의 창업 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과 결부시켜 그들의 창업 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는 보다 명확하고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Study on Essential Competencies for University Students in consideration of University Specialization and Major: Focusing on Hotel and Tourism Management (대학특성과 전공을 고려한 대학생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호텔관광경영전공을 중심으로)

  • Jung, Hae-Y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10
    • /
    • pp.19-32
    • /
    • 2015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provide a basic data for reforming University and Hotel & Tourism Management Curriculum Framework based on competency-based education, especially through identifying university students' competency categories of that reflect on the specialization and major of university.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irs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study, this paper grouped competencies into four areas: Generic Competencies, Specific Competencies, Personality Competencies, and University Specialization Competencies. Second, this paper examined empirical test through a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n four main categories. As a result of empirical test, four main categories were statistically verified, and the differences among majors about importance, performance and educational needs of each four competencies were analyzed significantly. There were proved that hospitality major is higher than other majors in importance of Generic and Personality Competency and performance of Generic Competency as well.

Examination of Psychological Correlates of Woman Engineering Students (공대 여학생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의 탐색)

  • Jeong, Yoon-Kyung;Oh, Myong-Sook;Kim, Ji-Hyeon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1 no.4
    • /
    • pp.34-45
    • /
    • 2008
  •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psychological correlates of career barrier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engineering fields by investigat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emale students and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male students. For these ends 1,968 female and male students in 8 universities nation-wide completed the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the measures for self career aspiration, self-efficacy,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in engineering career. The results of our study revealed fe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lower than male students in all of these variables. In addition,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female and male students differ significantly; Male students aspiration, self-efficacy,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increased with the school experience whereas those of female students did not show any change or decrease. The results call for the intervention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vulnerability of female students in engineering field.

A Study on the Learning Community Participation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학습자 특성에 따른 학습공동체 참여 차이에 관한 연구)

  • KIM KYUNG HEE;CHOI JOO YO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2
    • /
    • pp.199-206
    • /
    • 2023
  •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o this end, the learning community divided the subject-linked learning community into a foundation learning community and an advanced learning community. Learner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by gender, grade, and major. A cross-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participation in the foundation learning community and the advanced learning community according to the learner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of female students in the foundation learning community and the advanced learning community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according to the grade. In the case of the foundation learning community,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was relatively high, and in the case of the advanced learning community, the ratio of the third and fourth year students was relatively high.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by major,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tion rate of health and welfare universities was high in both the foundation learning community and the advanced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경영정보학과 교과과정에 있어서 교수와 실무자간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김영문;유상진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 no.1
    • /
    • pp.128-152
    • /
    • 1996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의 경영정보학과에서 개설해야 할 전공과목에 있어서 교수와 현업의 실무자간에 어떠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경영정보학과에서 개설해야 하는 전공과목의 우선순위, 전공구분(전공필수와 전공선택), 그리고 개설학년에 있어서 교수와 실무자간의 어느 정도의 인식 차이가 있는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로 경영정보학분야의 교과과정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둘째, 연구 방법으로서 조사대상, 자료의 수집방법, 연구가설, 그리고 자료의 분석방법에 관하여 언급하였다. 셋째, 연구결과로서 표본의 특성, 주요 전공과목의 학년 및 전공별 분류, 그리고 가설검정의 결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하였다. 특히 연구가설은 (1)전공과목의 우선순위에 관한가설, (2) 전공과목의 구분(전공필수, 전공선택)에 관한 가설, 그리고 (3) 전공과목의 개설학년에 관한 가설로 세분하여 구체적으로 검정하였다. 끝으로 ,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였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 PDF

대학생의 개인적, 환경적, 교육적 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전공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Choe, Seo-Yun;Hwang, Bo-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63-63
    • /
    • 2017
  • 국내 경제상황의 어려움으로 인한 기업의 고용감소와 그에 따른 일자리 부족 때문에 청년 실업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었고, 일자리에 대한 취업의 다른 대안으로 창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청년 일자리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년층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대학생의 창업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의 학문적 특성을 고려하여 대학생의 창업의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해외의 경우 다양한 계층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계층별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관련 정책 및 교육에 반영함으로써 창업의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교양과목으로 이루어진 창업강좌를 수강하는 국내 대학생들이 전공에 따른 창업의지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고자 하며, 그들의 창업의지를 보다 고취시키기 위해 필요한 방안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국내 창업교육을 받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설문조사결과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을 분석한 후 구조방정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설계한 가설을 검증하며, 가설 검증 결과를 분석하게 된다. 독립변수로는 잠재적 창업가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개인적 특성 요인(성취욕구, 위험감수성향, 혁신성), 환경적인식 요인(네트워크, 정부의 창업지원제도), 교육적인식 요인(창업강좌, 창업멘토링)을 선정하였고, 조절변수로서 대학생 전공(이공계와 비이공계), 그리고 종속변수로서 창업의지를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의 전공(이공계와 비이공계)에 따른 창업의지 확인과 함께 창업교육에 대한 교과목 설계, 목표설정, 학습 방향 및 방법들을 보완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전공만족도에 따른 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An, Tae-Uk;Park, Jae-H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205-20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창업교육센터 중심으로 대학생들의 도전정신과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기 위한 창업교육을 확대하고 있는 시점에 창업교육특성이 창업의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전공만족도에 따른 창업 교육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본 연구는 기존자료와 선행연구에 대한 관련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창업교육특성과 창업의지, 전공만족도를 조절효과로 8개의 가설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군산대학교 창업교육을 수강한 21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회기분석 모형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Operational Method for Advanced Course to Confer Bachelor's Degree through Student Preliminary Investigation (재학생 사전조사를 통한 전문대학 전공심화과정 운영방안 연구)

  • Kim, Kyong-Ah;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1a
    • /
    • pp.199-200
    • /
    • 2018
  • 현재 전문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전공심화과정은 산업체 경력이 있는 전공심화과정과 산업체 경력이 없는 전공심화과정으로 구분된다. 산업체 경력이 없는 전공심화과정은 기존의 산업체 경력이 있는 전공심화과정과는 달리 현재 전문대학 재학생들이 가장 중요한 입학대상자이다. 따라서 산업체 경력 없는 전공심화과정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수립하기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전공심화과정에 대한 재학생 특성 파악 및 의견 조사 분석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 경력이 없는 전공심화과정에 대한 재학생 사전조사 및 분석을 통해 산업체 경력이 없는 전공심화과정의 운영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