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항성 스크리닝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4초

고구마 뿌리혹선충 저항성 토마토 품종 스크리닝 (Screening of Tomato Cultivars Resistant to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 김형환;조명래;강택준;정재아;한유경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94-298
    • /
    • 2010
  • 고구마 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에 대한 저항 성품종을 스크리닝하고자 32개 완숙 토마토 품종, 11개 방울 토마토 품종 및 8개 대목 토마토 품종을 대상으로 포트 검정을 통해 조사하였다. 완숙 토마토 32 품종중에서 저항성인 품종은 홈런킹이었고, 중간 저항성 품종은 레전드썸머, 레전드, 선명, 핑크탑, Top3, 델리스, 타샤, 릴리앙스 등 8 품종이었다. 방울 토마토 11 품종중에서는 레드체리가 저항성 품종이었고, 텐텐, 디저트, 레드스타, 베리킹, 아리가또 등이 중간 저항성 품종이었다. 8개의 대목 토마토 품종중에서는 부킹하계, 스페셜이 저항성 품종이었고, B-블로킹, 솔류션, 동반자, 그린파워가 등이 중간 저항성 품종이었다.

당근 유기재배를 위한 병해충 저항성 품종 선발 (Selection of Desirable Cultivar for Organic Cultivation of Carrot)

  • 김병섭
    • 식물병연구
    • /
    • 제17권1호
    • /
    • pp.95-98
    • /
    • 2011
  • 국내 당근 유기재배를 위한 저항성 품종 선발을 목적으로 한 실험에서는 당근 유전자원 32품종을 이용하여 병저항성(흰가루병, 검은무늬병, 검은잎마름병) 검정, 내충성 및 추대 정도를 조사하였다. 흰가루병 스크리닝 결과 'PI 223360'이 저항성이었으며, 'Oxheart Carrot Heirloom'를 포함한 10개의 품종이 중도저항성이었고 'Long Impeator #58'을 포함한 22품종이 감수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당근 검은무늬병과 검은잎마름병의 스크리닝 결과 모든 품종이 저항성을 나타내진 않았지만, 몇몇 품종이 중도저항성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충성을 조사한 결과 'Oxheart Carrot Heirloom'를 포함한 13품종이 내충성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Nantes Coreless Carrot'을 포함한 11개의 품종들이 중간정도를 나타냈으며 'SA 102'와 'Scarlet Keeper Carrot Rare'은 감수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추대조사 결과에서는 'Hongsim Ouchon Carrot'을 포함한 6개의 품종이 이른 추대를 보였으며, 'Japanese Imperial Long Carrot'를 포함한 4개 품종이 중간 추대를 나머지는 만추대성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Oxheart Carrot Heirloom'이 조사한 32개 당근 유전자원 중 유기재배를 위한 품종으로 선발되었다.

배터리 팩이 최대 전류 추정을 위한 개선된 셀 스크리닝 알고리즘 (Advanced Cell Screening Algorithm for Estimating Maximum Output Current of Battery Pack)

  • 배정현;한해찬;노태원;이병국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9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192-19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 팩의 모든 셀들이 안전한 전압 범위 내에서 동작하도록 하여 배터리 팩의 가용 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위한 최대 전류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셀의 최저 용량, 최대 저항, 단자 전압 정보를 이용하여 모든 셀이 전압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최대 전류를 추정한 뒤, 순시 정격 전류 인가 시 전압 강하량을 예측하여 특정 셀들만 스크리닝함으로써 정확도를 개선한다.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및 주행 전류 프로파일 기반의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진행한다.

  • PDF

무름병에 감수성인 애기장대 돌연변이체 Atstp1 선발 (Selection of a Susceptible Line (Susceptible to Pectobacterium 1, Atstp1) to Soft-rot Disease in T-DNA Insertion Mutants Pool of Arabidopsis)

  • 최창현;김민갑;안일평;박상렬;배신철;황덕주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312-315
    • /
    • 2010
  • 본 연구는 애기장대에서 무름병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를 탐색하고자 2만여개의 T-DNA 삽입 돌연변이군을 이용하여 Pcc에 대한 스크리닝을 수행하고 이 방법을 소개한 연구다. 1차 선발을 통하여 15개의 저항성 line과 20개의 감수성 line을 선발하였으며, 이로부터 2차 선발하여 3개의 저항성 line과 4개의 감수성 line을 선발하였고, 최종적으로 3차 선발을 통하여 1개의 감수성 line (Atstp1)을 선발할 수 있었다. 현재 Atstp1을 이용해 flanking sequencing 하여 유전자를 탐색하고 있으며, 앞으로 클로닝을 통하여 다양한 무름병 저항성 식물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클로버씨스트선충에 대한 백겨자 식물자원의 저항성 스크리닝 (Resistance screening of white mustard(Sinapis alba) plant resources against clover cyst nematode, Heterodera trifolii)

  • 고형래;김진원;박세근;네이트산 카르시;박병용;김선화;김진철
    • 환경생물
    • /
    • 제42권1호
    • /
    • pp.135-142
    • /
    • 2024
  • 클로버시스트선충(Heterodera trifolii, CCN)은 국내에서 중요한 식물기생선충 중 하나로, 2017년부터 강원도 고랭지배추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훈증성 살선충제는 CCN 관리에 좋은 방제 방법이지만, 강원도 고랭지배추 재배지는 경사지가 많아 비닐 피복이 어렵기 때문에 훈증성 살선충제 처리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CCN 관리를 위한 대체 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며, 살선충 피복작물과 저항성 품종이 대안 중 하나이다. 따라서, 우리는 선충방제용 녹비작물 또는 저항성 배추 품종 육성을 위한 육종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씨앗은행의 백겨자(Sinapis alba) 82개 자원을 대상으로 CCN에 대한 저항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1차 시험에서는 15개의 백겨자 자원이 CCN에 저항성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자원은 CCN에 감수성이었다. 선발된 15개 자원 중 13개 자원을 대상으로 CCN 저항성의 재현성 검정을 위해 2차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백겨자 5개 자원(IT297309, IT297312, IT302951, IT302953, IT302954)이 CCN에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최종 선발된 백겨자 5개 자원은 선충 방제용 녹비작물로 활용하거나 CCN에 저항성인 고랭지배추 품종 육성을 위한 유용한 유전자원으로 판단된다.

클로버씨스트선충에 대한 배추과 유전자원의 저항성 스크리닝 (Screening for resistance of Brassicaceae plant resources to clover cyst nematode)

  • 고형래;박은형;김은화;박세근;강헌일;박병용
    • 환경생물
    • /
    • 제39권3호
    • /
    • pp.329-335
    • /
    • 2021
  • 2017년 이후 강원도 고랭지배추는 클로버씨스트선충에 의한 피해를 받아 왔다. 저항성 배추 품종 재배는 씨스트선충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인 방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클로버씨스트선충 저항성 배추 신품종 육성을 위한 육종 소재 탐색을 위해 배추류 유전자원 총 57자원을 대상으로 클로버씨스트선충에 대한 저항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배추(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순무(B. rapa), Brassica sp., 갓(B. juncea), 겨자류(B. carinata, B. tournefortii), 경수채(B. rapa subsp. nipposinica), 다채(B. rapasubsp. narinosa), 평지(B. rapa var. perviridis), 루타바가(B. napus var. napobrassica), 로켓샐러드(Eruca sativa) 54자원은 뿌리에 클로버씨스트선충 암컷이 300개 이상 증식되어 매우 감수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겨자류 2자원(B. carinata, B. tournefortii)도 클로버씨스트선충 암컷이 각각 144개, 110개 증식되어 감수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겨자류 중에서 African mustard (B. tournefortii, 씨앗은행 관리번호 IT218058)는 클로버씨스트선충 암컷이 평균 4±1.8로 증식되어 저항성인 배추류 유전자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선발된 African mustard (IT218058)는 클로버씨스트선충 저항성 배추 품종 육성을 위한 육종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yanobacteria를 이용한 광합성 전자전달저해제의 생합리적 스크리닝 (Biorational Screening System Using Cyanobacteria(Anacystis nidulans $R_2$) for Searching the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Inhibitors)

  • 황인택;홍경식;조광연;요시다 시게오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1-88
    • /
    • 1993
  • 광합성 전자전달저해제의 탐색을 위한 biorational biorational screening 방법으로 광합성 박테리아의 일종인 cyanobacteria의 표준형과 $D_1$단백질의 구성 아미노산이 변환된 변이주 Di-1, G-264, Di-22, TRY-5를 사용하여 기존 약제의 혼합효과와 몇가지 합성화합물의 Hill반응 저해활성을 측정 조사하였고, 또한 시금치로 부터 분리한 chloroplast와 cyanobacteria로 부터 분리한 thylakoid membrane에 대한 기존 제초제의 반응성을 조사하였다. 1. 광합성억제형 제초제에 대한 반응성 비교에서 cyanobacteria로 부터 분리한 thylakoid membrane이 시금치로 부터 분리한 chloroplast보다 약제에 대하여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어 광합성 전자전달저해제의 탐색을 위한 재료로 보다 적합하였다. 2. Diuron에 대하여 wild type보다 Di-22와 D-5 변이주는 각각 약 2,000배와 800배의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atrazine에 대하여는 G-264 변이주만이 약 1,000배의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기타 네 약제에 대하여는 뚜렷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변이주가 없었다. 3. D1 단백절의 264번 위치의 serine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Di-1과 D-22 및 G-264 변이주에 대한 diuron과 atrazine의 혼합처리 효과를 검토한 결과 상호 경합적으로 작용하였으며 그 정도는 G-264 변이주에 대해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diurone과 atrazine의 혼합처리에 의한 thermoluminescence band의 변화는 인정할 수 없었다. 4. 변이주 Di-1과 D-22는 dinoseb에 대해서 저항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dinoseb과 diuron의 혼합처리시 diuron에 대한 저항성이 크게 약화되었다.

  • PDF

Phytophthora capsici 균주들에 대한 고추 품종들의 저항성 (Resistance of Chili Pepper Cultivars to Isolates of Phytophthora capsici)

  • 조수정;심선아;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1호
    • /
    • pp.66-76
    • /
    • 2014
  • Phytophthora capsici 4개 균주에 대한 우리나라 고추 시판 품종 100개(저항성 59개, 감수성 41개)의 저항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들 품종에서 고추 역병균 MY-1, KPC-1, JHAI1-7 및 KPC-7의 평균 발병도는 각각 37, 55, 60 및 74%였으며, 이들 균주에 대하여 감수성을 나타낸 품종은 각각 38, 48, 56, 76개였다. 그리고 실험한 균주 중 병원성이 가장 약한 균주인 MY-1에 대해서는 실험한 품종 중 59개가 저항성을 보였으나, 병원성이 가장 강한 KPC-7 균주에는 단지 6개 품종만이 저항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실험한 품종 중 4개 품종을 제외한 모든 품종의 역병 저항성은 실험한 P. capsici의 병원성 정도와 반비례하였으며, 고추 품종과 P. capsici 균주간에 특이적인 반응은 발견할 수 없었다. 실험한 품종 중 P. capsici 균주 모두에 대하여 저항성을 보이는 6개 품종을 선발하여, P. capsici 접종원 양과 재배 온도에 따른 이들 품종의 저항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중간 정도 병원성 균주인 KPC-1과 JHAI1-7 균주는 $5{\times}10^4$부터 $1.5{\times}10^6sporangia/pot$를 접종하였을 때에도 이들 고도 저항성 품종의 저항성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가장 강한 병원성 균주인 KPC-7에 의해서는 $1.5{\times}10^6sporangia/pot$ 농도로 접종하고 $28-30^{\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에는 이들 품종들도 감수성 혹은 중도저항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부터 우리나라 고추 품종들의 역병 저항성은 P. capsici 균주들의 병원성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되었다.

항당뇨 기능성 식품의 개발 전략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Anti- diabetic Functional Foods)

  • 박선민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40권2호
    • /
    • pp.46-58
    • /
    • 2007
  • 제2형 당뇨병은 대사성 질환으로 간, 근육 그리고 지방 조직 세포에서 인슐린 작용의 장애로 나타나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혈당의 이용이 감소하여 혈당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가 충분하지 못할 때 유발된다. 서구에서는 비만 등으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면 인슐린 분비가 높은 고인슐린혈증을 나타내어 당뇨병으로의 진전은 늦다. 하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의 사람들은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할 때 인슐린 분비가 충분치 못해 혈청 인슐린 농도가 정상인과 비슷하거나 더 낮은 상태에서 당뇨병으로 진전된다. 이러한 차이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사람들에게서 제2형 당뇨병의 발생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라는 보고되었다. 결국 당뇨병은 간, 근육 및 지방조직에서의 인슐린 작용의 장애와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의 부족의 복합적인 장애에 의해서 나타나고 이것은 공통적으로 각 조직에서의 인슐린/insulin growth factor (IGF)-1 신호전달의 장애와 관련이 있다.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분비 자체는 인슐린/IGF-1 신호전달과 관계가 없지만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인슐린 분비능은 베타세포의 증식과 생존에 의한 베타세포의 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인슐린/IGF-1 신호전달은 베타세포의 증식과 생존을 조절한다. 그러므로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기능성 식품은 인슐린 작용을 향상시키는 인슐린 민감성 특성을 가지거나, 혈당이 높아질 때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키는 insulinotropic 작용을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하겠다. 전자의 대표적인 약은 1999년에 미국 FDA에서 승인 받은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gamma}$ agonist 인 thiazolidinedione 계통의 약물인 troglitazone, pioglitazone, rosiglitazone 등이 있고, 후자는 2007년에 승인 받은 Exenatide는 glucagon like peptide (GLP)-1 agonist이다. 이 두 가지 약은 모두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식물에서 유래된 것으로 식품에도 많이 다양한 종류의 인슐린 민감성 물질이나 insulinotropic 작용을 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 이외에 혈당조절 약이나 식품으로 사용되는 것은 탄수화물의 소화를 방해하는 것으로 탄수화물 소화효소인 a-amylase 또는 malt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식후 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하는 것이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탄수화물의 섭취가 너무 많아서 실제로 이러한 식품이나 약의 효능이 높지 않을 것이다. 혈당을 조절하는 기능성 식품은 이 세 가지 효능 중 일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스크리닝하기 위해서 3가지 단계를 거쳐야 한다. 먼저 시험관에서 또는 세포 실험을 통해서 앞서 언급한 3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 지 여부를 각각 조사한다. 이중에서 효과가 있는 것은 당뇨 동물 모델을 사용하여 in vivo에서 혈당 강하기능과 혈당 강하기전을 조사하는 실험을 한다. 효과가 있는 식품이 우리가 전통적으로 식품으로 섭취해 왔다면 독성 검사를 거쳐야 할 필요가 없지만 한약재이거나 특수 식품의 경우에는 in vivo 실험 전에 GLP 기관에서 반드시 독성 실험을 거쳐 독성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동물 실험에서 효과적인 것은 인체 실험을 거쳐 혈당 조절 기능성 식품으로 식약청에서 허가를 받을 수 있겠다. 결론적으로 식품에는 항당뇨 특성을 가진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들이 상당히 많다. 혈당 조절기능이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것은 1) 그 양이 혈당 강하 기능성 식품으로 지정받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함유되어 있느냐, 2) 혈당을 강하시키는 기전이 단순히 당의 배설을 촉진시켜서 혈당을 저하시키는 것이 아니라, 인슐린 작용을 촉진시키거나, 포도당 자극에 의한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키거나 탄수화물의 소화 흡수를 억제시킴으로 혈당을 강하시키는 지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식품은 지속적으로 섭취할 때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진전을 지연시킬 수 있는 혈당조절기능이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 가능성이 있겠다.

환경유래의 세슘 저항성 균주 선별 및 세슘 흡착제거 연구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a Cesium-tolerant Strain of Bacteria for Cesium Biosorption)

  • 김지용;장성찬;송영호;이창수;허윤석;노창현
    • 환경생물
    • /
    • 제34권4호
    • /
    • pp.304-313
    • /
    • 2016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원자력 발전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 중 가장 큰 문제는 방사성 핵종($^{134}Cs$, $^{135}Cs$, $^{137}Cs$)에 오염된 핵 폐기물 저장 및 처리시설 확충이다. 원자력 발전소의 꾸준한 증가율에 비하여 방사성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설의 공간적 한계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환경 친화적이면서 효율적인 폐기물 처리방법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따라, 경제적이면서 높은 회수율을 가지는 균주와 세슘 이온의 상호 작용을 통한 방사성 세슘 생물학적 흡착에 대한 연구가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 세슘 저항성을 지닌 균주는 많이 보고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 연구소 주변에서 샘플을 채취하여 세슘 저항성을 지닌 균주를 선별하였다. 세슘 저항성 균주 선별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샘플 및 100 mM CsCl을 R2A 액체 배지에 첨가한 뒤, 72시간 후에 살아남은 균주들을 16S rRNA 염기서열을 NCBI's BlastN의 database의 균주들의 염기서열과 비교/분석을 하여 균주를 동정 분석하였다. 동정 분석 결과, B. anthracis Roh-1, B. cereus Roh-2 균주들이 세슘 저항성 우점종 균주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 cereus Roh-2 균주가 B. anthracis Roh-1 균주보다 세슘에 대한 저항성을 보이는 것을 본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50 mM CsCl 환경에서 B. cereus Roh-2 균주는 B. anthracis Roh-1 균주보다 최대 30% 이상 세슘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0.2mg\;L^{-1}$ $Cs^+$가 함유된 R2A 배지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B. anthracis Roh-1 균주는 g당 최대 $2.01mg\;L^{-1}$의 세슘 흡착능을 유도결합플라즈마 질량분석기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세슘 저항성 균주 스크리닝 기술 및 선별된 균주들은 차후에 방사성 오염지역 생물학적 환경 정화 및 제염해체를 위한 플랫폼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