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작권관리시스템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4초

DRM시스템에서 Publisher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Publisher System to DRM System)

  • 장우영;신용탁;신동일;신동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3)
    • /
    • pp.544-546
    • /
    • 2001
  • 인터넷 사용의 보편화로 사이버 공간이 날로 확장하고 있다. 테이프나 CD로 즐기던 음악을 PC 또는 전용 플레이어를 이용해 MP3파일로 듣기도 하고 ;이 영화만에 가시 않고도 인터넷으로 영화와 비디오를 감상하는 시대가 이미 열렸다. 또한 최근에는 파일형태로 공급되는 전자 북(E-book)리 등장해 종이 책 시장을 넘보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컨텐츠들은 쉽고 간편하게 원본과 똑같은 품짙로 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상을 초월하는 빠른 속도로 이동이 가능하여 사용자들이 불법으로 얼마든지 이용할 수 있다. 현재 국내외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기술로 디지털 컨텐츠들을 보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이가는 시스템들이 제안되어 계속적으로 개밭되고 있다[1]. 디지털 컨텐츠를 보호하고 저작권을 관리하는 시스템인 DRM에는 크게 세 가지의 기본 시스템(Publisher Customer, DRM Server System)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컨텐츠를 등록하고 저작권자가 그 컨텐츠를 관리하는 Publisher System을 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설계한다. 설계한다.

  • PDF

디지털 저작권 관리 S/W의 이식성 시험 방법 (Portability Testing Method for Digital Right Management Software)

  • 양해술;강배근;이하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03-113
    • /
    • 2009
  • 디지털 저작권 관리는 각종 디지털 콘텐츠를 불법복제로부터 보호하고, 적법한 사용자만이 콘텐츠를 사용하게 하며, 사용에 대한 과금을 통해 저작권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는 시스템이며 콘텐츠의 자유로운 복제는 허용하되 불법 사용은 철저히 막는 것이 목적이며 이식성 품질 평가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S/W의 품질 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기술로서 국제 표준을 수용하는 전략기술 개발을 통해 객관성과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S/W의 이식성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시험 메트릭을 제안하였다. 또한, 품질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적절한 기준에 따라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고 평가 사례를 제시하여 평가 방법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술을 이용한 MP3 디지털 음악의 온라인 유통 (On-line Circulation of MP3 Digital Music based on Digital Rights Management Technology)

  • 강우준;김응모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11S호
    • /
    • pp.3694-3701
    • /
    • 2000
  •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의 구매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전자파일 형태의 상품 즉, 디지털 상품의 온라인 판매는 물류비용이 없고, 상품의 검색이 용이하며, 한시적으로 사용해 본 후 구입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불법 복제 문제 때문에 현재 전자상거래에서는 기피 상품으로 취급받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트 저작권 보호 기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또한 저작권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한 안정된 수익 모델을 보장할 수 있는 법적이며 기술적인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상품의 불법 복제 문제는 사용권 관리 기술의 부재가 가장 큰 이유중의 하나이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전자상거래는 사용권 부여 대상의 식별 방법이 없고, 대상의 이동 방지가 불가능하고, 해킹 방지가 미비하며, 기타 전자상거래 상에서 MP3 디지털 음악의 유통을 활성화할 수 있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술인 동적 사용권 관리(DLC : Dynamic License Control) 기술을 이용한 MP3 음악 상품의 유통시스템과 불법 복제를 막을 수 있는 MP3 상품작성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제안한다.

  • PDF

일대일 웹 마케팅을 위한 디지털콘텐트 추천 시스템 (A Design of a Recommendation System for One to One Web Marketing)

  • 나윤지;고일석;한군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7호
    • /
    • pp.1537-1542
    • /
    • 2004
  • 디지털콘텐트는 복제가 용이하고 원본과 복사본이 동일하다는 특성 때문에 불법적인 복제와 유통의 방지를 통한 저작권의 보호에 어려움이 있다. 근래에는 웹을 기반으로 한 각종 디지털콘텐트 서비스 시스템이 상용화되고 있으며, 이것이 안정된 수익 모델로서 발전하기 위하여 적절한 저작권 보호 기술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웹 기반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서는 디지털 콘텐트의 암호화를 통한 안전한 전송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트의 크기는 증가하여 실행과정에 필요한 시간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실행시간과 안전성을 고려한 시스템의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콘텐트의 저작권 관리 기술을 기반으로 부분 암호화를 통해 수행시간과 안전성을 고려한 디지털콘텐트 전송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분석을 통해 제안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DRM)의 개발현황

  • 주학수;김대엽;장기식;김승주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1-91
    • /
    • 2003
  • 냅스터와 소리바다와 같은 P2P기술을 이용한 파일 공유 서비스를 통해 컨텐츠의 불법사용이 급속하게 확산됨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불법복제방지 및 저작권 보호·관리를 위한 DRM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DRM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국내·외 DRM 개발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국내·외 DRM 관련 제품 현황, 특허현황, 표준화현황 등을 위주로 조사하여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P2P에서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보호를 위한 DRM 시스템 설계 (DRM system design for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contents in p2p)

  • 하태진;조경옥;김종우;한승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4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728-732
    • /
    • 2004
  • P2P 프로그램은 새로운 e비즈니스 모델의 창출이 무궁무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어 P2P서비스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디지털 콘텐츠(digital contents)의 저작권보호 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환경에서 개인사용자들끼리 디지털 콘텐츠를 주고받을 때 PKI기반의 AES알고리즘을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관리 (DRM) 기술을 이용해서 보안기능을 제공해주는 P2P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무선 DRM 시스템에서의 인증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uthentication Method for Wireless DRM System)

  • 김봉선;이권일;신영찬;류재철;이준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1)
    • /
    • pp.664-666
    • /
    • 2003
  •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뜻하는 말로, 전자책, 음악, 게임 등의 디지털 컨텐츠의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해 디지털 컨텐츠의 무단 유통을 방지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DRM 시스템은 주로 유선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었으나.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한 무선 환경에서의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DRM 시스템은 유선 환경뿐만 아니라 무선 환경에서도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DRM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에 대한 보호 뿐 아니라 더 나아가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한 마케팅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까지 그 영역을 확장함에 따라 각 비즈니스 영역별로 적합하도록 다양한 DRM 솔루션이 제시되고 있다. 이로 인해 시스템간의 호환성을 위해 현재 OMA 등의 단체에서 무선 DRM에 관한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표준으로 제시되고 있는 DRM 모델에서는 인가된 사용자만이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서비스에 관한 부분이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키 관리 서버와 사용자별 암호키 리스트를 다르게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인증서비스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 PDF

웹 이미지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디지털 워터마킹 시스템 (Digital Watermarking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of Web Image)

  • 조정원;정승도;이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682-368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원본 이미지에 저작권자의 저작권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저작권을 보호하고 차후 불법적인 도용을 방지하기 위해, 숫자와 로고로 구성된 워터마크 생성, 삽입 및 검출, 검증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본 시스템은 콘텐츠의 특성과 저작권자의 요구에 따라 워터마크를 숫자 또는 로고로 선택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저작권 보호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관리자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추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디지털 이미지 워터마킹의 적용을 통한 소유권 및 저작권 보호는 궁극적으로 문화콘텐츠 등의 콘텐츠 제작 의뢰자로 하여금 제작 의지를 강화하여 제작 의뢰 건수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 콘텐츠 보호 기술에 관한 동향 분석 (Research on the trend of the protection technique for a Digital Contents)

  • 나철훈;박진;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777-781
    • /
    • 2005
  • 저작권의 보호 및 관리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디지털화에 매우 중요한 선결 과제로 이슈화되고 있다. 이에 관련된 기술들은 명칭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및 미디어 서비스 전반에 걸친 관리 솔루션의 연구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 기술은 디지털 미디어 시대를 이끌어온 주역인 동시에 콘텐츠의 저작권 문제 등을 이끌어낸 주축이 되기도 했으며, 디지털 멀티미디어 표준의 장점이라고 생각되어온 쉬운 복제 및 유포가 저작권 보호의 커다란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표준안이 마련되지 않은 현 시점에서 서비스 업체나, 시스템 개발 업체들은 각자의 독자적인 솔루션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외 여러 기업 및 연구기관에서는 MPEG-21과 같은 디지털 서비스 전반에 걸친 통합관리 솔루션을 연구개발하고 표준안을 마련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연구기관들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국내외 미디어 서비스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저작권 및 디지털 콘텐츠 보호를 위한 기술인 IPMP(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nd Protection), DMP(Digital Media Project), ENTHRONE(End-to-end Qos through Integrated Management of Content, Networks and Terminals),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의 기술 개발 현황을 조사 분석한다.

웹 콘텐츠 인증코드를 이용한 CMS 시스템 (CMS system using web contents certification code)

  • 조영복;최재민;이영진;손녕;이상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 (D)
    • /
    • pp.18-21
    • /
    • 2007
  • 콘텐츠의 다양화로 인해 콘텐츠의 관리를 위해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가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 현재 CMS들은 단지 소속회원들을 기반으로 DRM기술을 적용하여 콘텐츠 저작권을 보호하고 있다. 따라서 콘텐츠의 글로벌 사용이 제한되고 상호운용이 불가능하고 콘텐츠의 원천적 저작권보호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공개키 기반의 라이선스관리 모듈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콘텐트 암호화하는 패키저 모듈, 암호화된 콘텐트를 복호화하는 언 패키저 모듈, 콘텐트 공유서버 및 클라이언트 모듈을 설계하였다. 이기종간의 CMS는 트랜젝션 서버를 통해 통합 메타데이터를 공유하며 통합 CMS를 운영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다양한 CMS에서도 활용 가능하도록 제안하였으며 웹 콘텐츠 인증코드를 이용한 DRM 기술을 기반으로 콘텐츠 사용 제한 및 저작권 보호를 지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