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적추정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5초

평균비(平均比) 추정량(推定量)에 의한 낙엽송(落葉松) 입목(立木) 재적식(材積式)의 지역(地域) 보정(補正) (Local Correction of Tree Volume Equation for Larix leptolepis by Ratio-of-Means Estimator)

  • 신만용;윤종화;차두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56-65
    • /
    • 1996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입목(立木) 재적표(材積表)는 대부분 전국 공용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 적용할 경우 재적을 과소(過小) 또는 과대(過大) 추정(推定)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현존(現存) 낙엽송 재적표를 보정(補正)하여 특정 지역(地域)의 입목(立木) 재적(材積) 추정(推定)에 직접 적용(適用)할 수 있는 방법(方法)을 제시(提示)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홍천지역의 낙엽송 표본자료(標本資料)에 대하여 추정모형(推定模型)을 이용하여 가장 적합(適合)한 재적식을 작성(作成)하고, 그 재적식으로부터 추정된 지역 재적과 전국 공용(共用)인 재적표(材積表)의 값의 관계를 지방적(地方的) 재적표(材積表) 작성에 의한 직경별(直徑別) 재적(材積)으로 비교(比較)하였다. 지역(地域) 보정(補正)을 위한 관계식은 평균비(平均比) 추정량(推定量)(ratio-of-means estimator)에 의하여 추정(推定)된 홍천과 전국의 낙엽송 재적의 평균비(平均比)를 이용(利用)하여 제시(提示)하였다. 홍천 지역의 낙엽송 입목(立木) 재적(材積)은 평균비(平均比) 추정량(推定量)에 의하여 V홍천=1.078 V재적표로 추정(推定)할 수 있었다. 이 보정식은 기존(旣存)의 재적표(材積表)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정밀(精密)하게 홍천지역의 낙엽송 입목 재적을 직접 추정(推定)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判明)되었다.

  • PDF

산림재적 추정을 위한 계층적 베이지안 분석 (Hierarchical Bayesian analysis for a forest stand volume)

  • 송세리;박주원;김용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1호
    • /
    • pp.29-37
    • /
    • 2017
  • 산림경영 계획을 위한 필요한 산림재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어져 왔는데, 이러한 산림구조에 관한 연구는 주로 현장조사와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현장조사를 통한 연구는 비교적 정확하나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뿐 아니라 접근의 용이성이 떨어지는 지역이 있기 때문에, 넓은 지역의 조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항공기에서 발사된 레이저 펄스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대상의 3차원 좌표를 얻는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기술을 활용하여 획득한 정밀한 수치형자료를 이용한 산림의 구조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산림재적을 추정하기 위해서 LiDAR자료를 이용한 수고자료와 산림 재적에 대한 회귀모형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는데, 국내의 경우 수목의 종류와 그 분포가 다르기 때문에 회귀모형만으로 재적을 추정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산림의 수고와 흉고직경을 측정하여 재적값을 추정하고 산림의 공간효과를 고려한 계층적 베이지안 분석을 통해 관측되지 않은 전체 산림재적에 대한 추정을 하고자 한다.

항공 LiDAR의 높이분포변수를 이용한 임분재적추정에 관한 연구 (Estimating plot-level volume using LiDAR-extracted height distributional parameters)

  • 곽두안;이우균;조현국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4-141
    • /
    • 2010
  • 임분 단위의 재적 및 생체량은 LiDAR 자료의 높이 분포변수들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LiDAR 자료의 높이 분포변수들은 재적을 측정하는 임분고(stand height)와 임분평균 지하고(mean crown base height), 그리고 수관형태에 따른 평균수관장(mean crown depth) 등의 변수와 직 간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림의 샘플지역에서 반사된 LiDAR 자료의 높이분포변수를 이용하여 임분단위의 수간재적을 추정한 다음, 앞 세부연구에서 수행한 방법을 이용하여 임분의 생체량을 추정하였다. 변수는 임분 내에서 반사되는 LiDAR 자료의 평균높이, 최대 최소높이, 높이값들의 표준편차, 변이계수, 첨도, 왜도, 식생반사비율, 10분위 높이자료와 강도데이터의 기술통계량 등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인 임분수간재적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변수들은 임분수간재적과 가장 관련있는 2~3개의 변수들로 추려졌으며, 추정된 회귀식의 결정계수는 0.66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유보표본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의 결정계수는 0.59로 분석되어 LiDAR 자료의 높이분포변수들은 임분의 재적을 비교적 잘 설명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 PDF

강원도 지방 소나무의 지역(地域) 간곡선(幹曲線) 및 재적식(材積式) 모델 (Regional Stem Curve and Volume Function Model of Pinus densiflora in Kangwon-Province)

  • 김준순;이우균;변우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521-530
    • /
    • 1994
  • 재적식(材積式)은 보통 흉고직경과 수고의 함수로 표현되는데, 회귀분석(回歸分析)을 통해 정확도가 높은 식이 주로 채택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금까지 흉고직경(D)과 수고(H)를 독립변수로 하는 지수식(指數式)($V=aD^bH^c$)으로 각 수종에 대한 일반(一般)재적식을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방내의 홍천, 정선, 명주, 원주, 영월지역에 대한 간곡선식(幹曲線式)을 지역별로 유도하고, 이 간곡선식의 회전체(回轉體) 적분(積分)을 통해 지역별 재적을 직접 추정할 수 있는 간곡선 및 재적식 모델을 마련하였다. 조제된 모델에 의해 지역별로 추정된 재적은 기존의 강원도 지방 소나무재적표에 의해 추정된 재적에 비해 정확도가 높았다. 또한 지역간곡선식에 의해 유도된 간곡선의 형태는 지역에 따라 서로 달랐으며, 특히 영월지역과 원주지역의 수간은 다른 지역에 비해 수간상부에서 가늘게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간곡선의 다양한 형태는 재적추정에 있어서도 지역간 차이를 유발하였다.

  • PDF

주요 수종별 재적의 상업적 이용율 추정 (Estimation of Merchantable Volume Ratio by Major Species)

  • 손영모;강진택;원현규;전주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3호
    • /
    • pp.330-335
    • /
    • 2016
  • 본 연구는 중부지방소나무 등 주요 5개 수종에 대하여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재적율인 조재율을 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이용한 자료는 최소 1,300여본 이상의 전국적인 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적용한 추정식은 임목재적 중 목질부 재적을 나타내는 목질부 재적율 추정식과 목질부 재적에 대한 이용재적을 나타내는 원목이용율 추정식이었으며, 이 두가지 추정식의 곱으로 조재율을 도출하였다. 흉고직경에 의한 목질부 재적율(W)은 $W=\frac{a_1}{1+a_2/D}+\frac{b_1}{1+b_2/D}$의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이 식의 적합도는 수종별로 99% 이상이었고 기타 검정통계량도 식의 적합성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었다. 목질부 재적에 대한 원목이용율(M)은 $M=e^{a_1\(\frac{d}{D}\)^{a_2}}-(b_0+b_1D+b_2D^2+b_3D^3)$ 모형을 적용시켜 적합도는 수종별로 96% 이상이었다. 이 두가지 추정식을 이용하여 5개 수종별로 상업적 재적이용율인 조재율을 산정하고 조재율표를 작성하였다. 분석결과, 조재율은 침엽수와 활엽수 임상별로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존 침엽수, 활엽수 조재율과의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ozak 수간곡선 모형을 이용한 아까시나무 입목재적표 개발 (Development of Stem Volume Table for Robinia pseudoacacia Using Kozak's Stem Profile Model)

  • 손영모;전준헌;표정기;김경남;김소원;이경학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43-49
    • /
    • 2012
  • 본 연구는 수간곡선식을 이용하여 아까시나무의 입목 수간재적표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용한 수간곡선식은 Kozak 모형이었으며, 모형의 모수를 추정하였다. 추정한 모형은 통계적으로 적합성이 인정되었으며, 잔차분석 결과도 양호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본 모형이 아까시나무 수간재적표를 조제함에 있어 충분히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수간재적표는 이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수피 포함 및 수피제외 재적표를 조제하고자, 수피두께추정식을 개발하여 이용하였다. 수피두께추정식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본 모형이 아까시나무 수간재적표를 조제함에 있어 충분히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한 아까시나무의 수간재적표는 임학뿐 만 아니라 타 분야에 널리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이용한 경기지역 산림의 임분재적 공간분포 추정 (Estim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Stand Volume in Gyeonggi Province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Forest Type Map)

  • 김은숙;김경민;김종찬;이승호;김성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27-835
    • /
    • 2010
  •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한 산림의 임목축적량과 변화량 탐지의 측면에서 국가산림자원조사는 신뢰성있는 산림통계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반자료로서의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정보들이 아직 행정구역단위 통계로만 산출되고 있어 산림 통계량의 공간적 분포와 같은 정보를 제공해주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해 임상특성별 임분재적 추정모델을 개발하고, 임상도와 통합하여 임분재적의 공간분포를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산림의 임분재적 추정모델 개발을 위해 연구대상지에 포함된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표본점별 임분재적과 흉고단면적합을 산출하고, 표본점의 임황정보(수종, 경급, 영급, 소밀도)를 모델개발에 활용했다. 결과적으로 수종, 영급, 소밀도 기준에 따른 임분재적 모델이 구축되었으며, 본 모델을 임상도에 적용해 임분재적 주제도와 불확실성 주제도를 제작했다. 임분재적 주제도에 의한 연구대상지의 평균 임분재적은 85.7 $m^3$/ha이며, 95% 신뢰구간을 고려했을 때 약 79.7~91.8 $m^3$/ha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잣나무 임분의 생장변화에 따른 임분구조 해석에 관한 연구 - 강원대학교 학술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nd Structure Analysis by the Changing Growth in Korean White Pine Stand)

  • 장재영;신현지;우종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58-68
    • /
    • 2004
  • 본 연구는 잣나무 임분의 생장변화에 따른 임분구조를 해석하기 위하여 강원대학교 학술림의 잣나무림을 대상으로 임분의 생장변화 및 흉고직경, 수고, ha당 재적에 대한 생장 추정식을 도출 하였다. 즉 잣나무 임목의 흉고직경에 대한 수고와의 상관관계, 흉고직경에 대한 재적과의 상관관계, 수고에 대한 재적과의 상관관계, 수관면적에 재적과의 상관관계가 분석되었으며, 임령에 대한 흉고직경과의 상관관계, 수고와의 상관관계, 단위면적당 재적과의 상관관계 등이 분석되었다. 그리고 흉고직경에 대한 추정식 (1)은 Y = 20.687Ln(X)-50.431으로 나타났고 수고에 대한 추정식 (2)은 Y= 12.951Ln(X)-31.225으로 나타났으며, ha당 재적의 추정식 (3)은 Y = 171.06Ln(X)-462.16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추정식을 이용한 영급별 평균 ha당 재적은 II영급 $27.5m^3$, III영급 $91.1m^3$, IV영급 $147.7m^3$, V영급 $190.0m^3$, VI영급 $223.8m^3$, VII영급 $252.0m^3$, VIII영급 $276.2m^3$으로 산출 되었다. 마지막으로 잣나무 임분에 있어서의 정기평균생장량과 총평균생장량과의 관계가 분석되었다.

  • PDF

Strand법(法)에 의한 임분재적추정(林分材積推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tand Volume Estimation by Strand Method)

  • 이흥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187-192
    • /
    • 1991
  • 임분재적(林分材積) 추정법(推定法)을 연구(硏究)하기 위하여 경기(京畿), 강원(江原), 충남북(忠南北), 전북(全北),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낙엽송조사지(落葉松調査地) 380개소(個所)를 재래(在來)의 매목조사법(每木調査法)인 표준지법(標準地法)으로 조사(調査)하고, 그중 20개소(個所)에서 덴드로메타, 스피겔 릴라스코프, 텔레리라스코프를 이용(利用)하여 Plotless Sampling의 일종(一種)인 Strand법(法)으로 조사(調査)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표준지법(標準地法)과 Strand법(法)에 의한 임분재적(林分材積) 추정결과(推定結果) 유의성(有意性)이 없었으며, 양방법(兩方法)은 Y=bx($b{\fallingdotseq}1$)의 관계(關係)가 있었다. 2. 기계(機械)와 측정자(測定者), 밀도(密度)와 기계(機械), 경사(傾斜)와 기계간(機械間)에도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3. 임분재적(林分材積)에 깊은 관계(關係)가 있는 제일(第一) 큰 인자(因子)는 단면적(斷面績) 수고(樹高)이고, 다음으로 임분(林分) 형상고(形狀高), 평균수고(平均樹高), ha당(當) 단면적(斷面積)의 순(順)이었다. 4. 단면적(斷面積) 수고(樹高)에 의한 임분재적식(林分材積式)은 log V=-0.0375+0.8910 log GH -1.5946 1/GH 이었으며, 이 식(式)에 의하여 임분재적표(林分材積表)를 조제(調製)하였다. 5. 실측재적(實測材積)과 추정재적(推定材積) 관계(關係)도 Y=bx($b{\fallingdotseq}1$)의 관계(關係)가 있었고 추정오차율(推定誤差率)은 4.5%였다.

  • PDF

주요 수종 및 임상별 현실림의 재적생장량 곡선 추정 (Growth Curve Estimation of Stand Volume by Major Species and Forest Type on Actual Forest in Korea)

  • 윤준혁;배은지;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648-657
    • /
    • 2021
  •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를 활용하여 임상별 및 주요 수종별 재적생장량을 추정하고, 연평균생장량(MAI)과 연년생장량(CAI) 등을 도출하여 벌기령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재적생장 추정을 위하여 Chapman-Richards 모델을 적용하였다. 도출된 임상별 재적추정식에서는 침엽수림이 가장 높은 생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종별 추정식은 침엽수종(3종) 중에서는 일본잎갈나무가, 그리고 활엽수종(3종)에서는 굴참나무가 가장 높은 생장이 예측되었다. 그리고 이들 추정식은 적합도지수가 일본잎갈나무 0.32, 굴참나무가 0.21 등으로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재적 추정식의 적용 가능성을 알 수 있는 잔차도 분석에 있어서는, 일부 30년 이상의 임령에서 추정식의 추정치가 과소 추정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부분 0을 중심으로 잔차가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 식이 우리나라 현실림의 수종들에 대한 재적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정된 재적을 이용하여 연평균생장량을 계산한 결과, 침엽수림 중 중부지방 소나무 34년, 일본잎갈나무 35년, 리기다소나무 31년일 때 MAI가 최대시기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활엽수림에 있어서는 굴참나무 32년, 상수리나무 30년, 신갈나무 29년일 때가 최대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MAI와 CAI를 계산하여, 이들이 만나는 지점을 재적수확 최대 벌기령으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는 현재 산림청이 제시한 기준 벌기령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정책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