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대처 인식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 awareness, disaster attitude, and disaster response ability in the general public (일반인에서의 재난인식, 재난태도, 재난대처능력 간 영향관계)

  • Choi, Mi-Young;Lee, Hyo-Ju;Yun, Se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10a
    • /
    • pp.314-317
    • /
    • 2022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 awareness, disaster attitude, and disaster response ability of the general public, an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raise awareness of disasters and prepare countermeasure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16 to July 31, 2021 for a total of 250 ordinary people living in K-do and D metropolitan c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t had an effect between disaster awareness, disaster attitude, and disaster response ability.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public's awareness of disast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saster attitude (necessity for disaster preparation, disaster management) (p<.001).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disaster attitude, disaster manage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isaster response ability (p< .01). Therefore, specific and periodic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to increase the ability to cope with disasters by increasing the general public's awareness of disasters.

  • PDF

The Effects of Personal Emotion and Social Change Perception caused by COVID-19 on Disaster Response Perception after the Post-Endemic (코로나19로 인한 개인정서와 사회변화 인식이 엔데믹 이후 재난대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Lee, Wan-Taek;Lim, Seong-Hyeon;Jo, Changik;Lee, Jongseok;Jung, Deuk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0 no.8
    • /
    • pp.127-136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model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personal emotions and social change perceptions of pandemic experienced by Korean people in the COVID-19 situation on the perception of disaster response after the endemic. For this end, we used the survey data with 996 respondents on 「Daily Changes of the People After COVID-19」conducted by the Korea Press Promotion Found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VID-19 positive emotions and social change perception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disaster response perception, while the sense of community had a moderating effect that alleviated COVID-19 negative emotions which had a negative (-) effect.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disaster response perception after the endemic were COVID-19 positive emotions and community sense that had pride and stability in Korean society during disaster situatio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systematic disaster response manuals and control towers that give the public pride and stability are more strongly requested for the government's prior and follow-up measures performed in the post-endemic disaster situation, and that the people are asked to have the community sense to overcome disasters together rather than to respond with personal actions and judgments.

Correlation among Nurses' Educational Status, Knowledge and Disaster Preparedness Abilities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난대처교육, 지식, 재난대처능력간 상관관계)

  • Kim, Min-Young;Kim, Myoung 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7
    • /
    • pp.589-59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relationships among awareness about the necessity of disaster preparedness education, the actual educational status, preparedness knowledge, and the certainty of knowledge among nurses. The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a total of 125 nurses with over 3 months of clinical experience in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100 beds in a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in January 2016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the existence of educational programs in hospitals and disaster preparedness abilities (r=.29, p=.001). There were also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educational experience within a year and disaster preparedness abilities (r=.33, p<.001).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 preparedness abilities and knowledge (r=-.27, p=.003) an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fidence about the correctness of knowledge(r=.23, p=.003). Based on the results, an educational program in a clinical setting is needed to improve the degree of confidence about the correctness of knowledge and ultimately to enhance disaster preparedness abilities.

VR-based Training Application for Improving Reality and Understandability of Fire Actions (현실감 및 정확성 증진을 위한 VR 기반 화재 대처 교육 어플리케이션)

  • Han, Jin;Kim, Young-Gyeun;Yoo, Kwan-Hee;Hong, Jang-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953-954
    • /
    • 2017
  • 화재, 지진 등과 같은 대규모의 재난에 대비하는 것은 최근 매우 중요한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난 대비 및 대처의 중요성 인식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실제 발생하는 재난 상황에서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하여 인명 또는 재산상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의 신속한 대처를 지원하기 위한 가상현실 기반의 화재 대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는 화재 발생시, 소화전이나 소화기를 정확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대규모의 학생들에 대한 교육에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Psychological Behavior at Fire and Earthquake Evacuation using the Facet Theory (Facet 이론을 이용한 화재 및 지진발생시 행동심리에 관한 연구)

  • Kwon, Jin-Suk;Park, Jun;Choi, Jae-Hyouk;Kim, Soo-I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67-167
    • /
    • 2011
  • 최근 사회기반 시설물들의 대형화, 고밀도화가 됨에 따라 재해 재난대비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특히, 화재는 우리 주변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이다. 한편, 지진과 같은 경우에는 중소규모가 한반도내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지만 직접적으로 피해를 경험 한 적이 없어, 적극적으로 대비해야하는 재해로는 아직 인식하고 있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재난, 재해에 대한 연구는 과거의 피해를 기준으로 미래에 대한 대책을 해결책으로 제시하는 방식으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사회에 발생 가능한 재난에 대해서 서로 다른 인식 수준을 가지고 있는 지진과 화재의 재난에 대한 시민인식차이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화재 및 지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 분석을 통해 나타나는 재난시의 인간행동심리를 Facet이론을 이용하여 범위를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통합적 분석 방법으로 각 연령대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령대별로 습득한 지식 및 교육환경 배경이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아래 연령대별 분류를 하였다.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Facet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 화재발생시의 통합적 분석의 경우는 [MATTER], [SPACE], [ENERGY]등이 다수 나타났고 지진 발생 시에는 통합적으로 [SPACE], [ENERGY]가 다수 나타났다. 따라서, 지진에 대한 국가적으로 교육시스템을 갖추고 개인적인 지진발생시 행동상황을 숙지하고 연습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진과 화재시의 인간행동심리를 비교한 결과, 화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재해이기 때문에 비교적 국가적으로나 개인적으로 대비를 하고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나타내었다. 화재로 인한 재난은 국가적으로 끊임없이 교육(인식전환)을 실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지진과 비교해 인위적 과실로 인한 재난임에도 불구하고 사전에 화재발생시 대처하는 행동숙지로 인해 많은 인적 및 재산적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는 지진에 대해서는 건축물의 붕괴로 인한 피해방지에 중점을 두고 건축물의 내진성능에 대한 평가가 점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지진발생시 이와 같은 현재 방재정책과 더불어 국민 스스로 지진에 대한 발생가능성 및 예상위험에 대한 인식수준을 향상시킴으로서 국가적 재난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나타내었다.

  • PDF

Smart sensor based social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스마트 센서 기반 사회재난 상황 알림 시스템)

  • Lim, Hojung;Kim, Sanghan;Lee, Daesung;Kim, Ju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33-136
    • /
    • 2017
  • 사회재난을 예방하고 재난 상황에서 위기 대처를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재난 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난 상황의 신속한 인지를 위해서는 현장에 설치된 각종 센서로부터 상황 정보를 사물인터넷을 통해서 빠르게 수집하고 중요 이벤트 발생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수위 센서 데이터의 효율적인 수집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사회재난 상황 알림 시스템을 설계하고 평가한다.

  • PDF

The Study on the Impact of Awareness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on Management Performance (중대재해처벌법 인식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 Song, Du-Hwan;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71-172
    • /
    • 2023
  • 본 연구는 건설현장 관리자를 대상으로 중대재해처벌법 인식이 건설업체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최근의 사회적 이슈가 되는 중대재해처벌법이 건설회사 이미지 실추, 경제적 손실 등의 간접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최고경영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건설업체에서 중대재해 발생시에는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하여 최고경영자의 구속등으로 기업의 업무연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재난이다. 건설현장을 운영하는 기업의 사업주에게 중대재해로부터 실질적인 대처방안이 필요하며, 대안으로 건설현장 관리자의 중대재해처벌법의 위험성에 대하여 인식을 강조하여, 건설현장에서의 관리자가 주체가 되어 중대재해를 예방하고, 기업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Coping Behavior of Older People in the Warning Phase of Disaster (재난 시 노인의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 Chung, Soon-Dool;Park, Hyun-Ju;Choi, Yeo-Hee;Lee, Ji-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5
    • /
    • pp.71-76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oping behavior of the elderly in the warning phase of disaster and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the coping behavior of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senior citizens aged over 60 who are residing in Pyungchang and Injae of Kangwon province which had damaged by flood disaster in 2006. Perry & Lindell (1997)'s index, a series of six categories that represent coping behaviors which progressively approximate the action of evacuating in the warning phase of disasters was used.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have high coping skills. Although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coping behavior, length of residence has negative effect on the coping behavior of the elderly. This finding proves the elderly are not uncompliant or uncooperative population in the warning phase of disaster. This result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apid and accurate giving of public warning system of disaster and necessity of prior notification of useful information about natural disaster and effective evacuation plan for the elderly.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truction Site Managers' Risk Perception on the Business Performance - Focusing BCMS Risk Assessment - (건설현장 관리자의 위험인식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BCMS 위험평가 중심 -)

  • Song, Du-Hwan;Chong, Che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57-258
    • /
    • 2022
  • 본 연구는 건설현장 관리자를 대상으로 재난에서의 위험인식이 BCMS위험평가를 매개로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최근의 사회적 이슈가 되는 중대재해 처벌법이 건설현장에서 기업의 사업주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한 사업주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기업연속성에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형성함으로써 기업에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건설현장을 운영하는 기업의 사업주에게 중대시민의 재해에 대하여 실질적인 대처방안이 필요하며, 대안으로 현재 행안부에서 적극추진중인 BCMS의 위험평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건설현장에서의 관리자가 주체가 되어 중대시민재해를 예방하고, 기업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Study on Safety Evacuation in Lack of Vision information (시각정보 부재 시 안전 대피 기술 연구)

  • Lim, Gi-Hong;An, Byung-Kwon;Kim, Nam-Hyun;Lee, Seung-Gu;Ahn, Deock-Hyeon;Kim, Yo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175-178
    • /
    • 2016
  • 실내에서의 화재 등의 재난 상황에서는 비장애인과 장애인 모두 시야 확보가 어려워져 안전하게 대피하기 어려운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정보 부재 시에 보행자의 다양한 장애물에 대한 회피 및 충돌상황 방지를 위한 안전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주변의 다양한 위험 정보를 인지하기 어려운 시각 및 청각장애인들이 안전에 위협을 느낄 수 있는 복잡한 실내외 구조물과, 시시각각 변하는 주변의 장애물 환경에 대처하기 위하여 MCU를 활용한 보드에 진동 모터, 초음파, LED 센서를 장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웨어러블(Wearable) 모듈을 제작하였다. 장애물 감지를 위한 센서부는 사용자의 상체부 전반에 장착되어 주변의 장애물들을 보다 넓은 범위로 인식하고 대처할 수 있으며, 이후 다양한 관제시스템에 활용 가능하도록 모듈과 사용자간의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시각 및 청각장애인들의 위험감지를 보호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