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교육

Search Result 45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alysis and Recommenda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System for Citizens (시민 대상 재난안전교육 체계 분석 및 제언)

  • Kwon, Yo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13-21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한국사회 내 2014년 이후 2022년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생애주기별 재난안전교육 체계를 분석하여 재난 발생 시 자신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제언을 통해 시민 대상별 최적화된 재난안전교육 체계화를 모색하고자한다. 2014년 4월16일에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고는 2015년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규칙의 일부 개정 및 이에 근거한 '국민안전의 날'이 국민안전의 중요성을 되새기자는 의미로 제정된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재난안전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변화의 필요성을 깨닫게 해준 가슴 아픈 사건이었다. 이에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현장대응단에서 2014년 말부터 시민대상 초기대응을 위한 재난안전 교육체계를 기획하고 10만의 안전리더 양성을 추진했다.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시민대상의 재난안전교육이 시, 도별로 진행되었다. 특히 서울 시민의 1%인 10만 시민안전파수꾼 양성을 위해 진행되었던 시민안전파수꾼 정책 사업을 위한 재난안전 교육체계는 시민을 대상으로 황금시간 목표달성을 통한 초기대응으로 재난규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안전에 관한 소양교육의 기본을 구성해 교육했고, 이는 시민 대상 재난안전교육의 방향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정책사업 초기 대학생 이상의 성인을 교육 대상으로 선정하여 교육이 진행되었고, 그 후 2018년 이후 고등학교 이상으로 교육의 대상범위를 확대하여 진행했지만 안전리더로서 역할은 한국사회 전체 구성원들의 인식이 필요한 부분으로 어린 시절부터의 반복 교육을 통한 안전문화가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자연스럽게 습득되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이에 다양한 생애주기별 재난안전교육 체계를 분석하여 국민스스로 재난 발생 시 자신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 인프라 구축을 위해 시민대상 재난 안전교육을 '황금시간 목표달성'을 준거틀로 기존의 중앙, 서울시, 부산시, 경기도 및 산하 교육청에서 실시해온 재난안전교육 체계 관련 문헌의 비교분석을 통해 시민 대상별 생애주기별 최적화된 초기대응을 위한 재난안전교육 체계를 모색하여 재난안전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Educational Curriculum Improvement Direction for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재난관리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향)

  • Chang, J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05-206
    • /
    • 2022
  • 이번 연구에서는 재난관리 교육프로그램 개선을 위해 민방위재난안전교육연구원의 교육과정에 중점을 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AHP분석을 실시하여 교육과정 개혁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난현장지휘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가장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으며, 재난관리 교육훈련 과정에서 대응현장에 적용되는 표준조치절차(SOP)에 대한 이해와 획득이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재난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현장지향적 재난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부문 강화가 필요하다. 특히 재난현장에 참여하는 다양한 정부기관과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의 현장 이해도 제고를 위한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Plan of Design and Operation for Education Training of Disaster & Safety Field Workers with the Amendment of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개정에 따른 재난안전분야 종사자 교육훈련 설계 및 운영 발전 방안 연구)

  • Nam, Sangwhun;Park, HaeJ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4
    • /
    • pp.484-49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evelopment plan for systematic design and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The curriculum is intended for current disaster management professionals. Prior to analysis, disaster and safety professional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isaster practitioner, disaster manager, and disaster higher manager. And based on 24 disaster safety functions and 13 disaster management competence items, priorities of their task ability were derived. Considering practical effect of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the course curriculum is divided to target groups of disaster practitioner, disaster manager, and disaster higher manager.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design are based on the results of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planning to reflect the elements of advanced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and to consider brand making of the curriculum and operation pattern.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in High School in Korea (국내 고등학교 재난안전교육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

  • Kwon, Y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11-112
    • /
    • 2023
  • 세월호 참사 후, 전 사회적으로 안전이 강조되면서 정부 부처로서 국민안전처, 그후 행정안전부로 명칭이 변경되고 관련 법규가 제정 및 정비, 시행되면서 교육측면에서도 전보다 강력한 재난안전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정부는 국민 안전교육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2016년 5월 「국민안전교육 진흥기본법」을 제정하여 대국민 안전교육 관련 제도, 정책 수립 및 집행 기능을 대폭 확대하였다. 그러나 국민 안전교육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 국민 대상 재난안전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에는 한계가 있음이 여러 연구에서 나타나고 있다. 2015년 이후 재난안전교육 관련 선행연구들은 국내 안전교육이 일회성이나 단기간의 교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지양하고, 생활 속에서 계획적으로 실시되어 지식적 측면·행동적 측면·태도적 측면의 유기적 통합이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고 있고, 이를 통해 안전교육 효과가 증진됨을 알려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난안전교육의 목표를 재확인하고 2023년 초까지 진행되었던 안전교육의 실태를 2014년 이후 안전교육을 가장 체계적·지속적으로 받아온 고등학교 학생 대상의 재난 안전 인식 설문을 통한 통계 분석의 과정을 진행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생애주기별로 지속적·체계적·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만 그 목표를 구현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의 특성을 파악하고 교육효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A Study on Disaster & Safety Education Based on Voluntary Leisure Activities (자발적 레저활동 기반 재난안전교육 방안 연구)

  • Kim, Jae-Hyeon;Kim, Yo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59-36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접근성과 기회를 확대하고 시간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레저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였고, 이를 가지고 여러 기관과 단체는 사회문제 또는 특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레저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 프로그램과 행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 중 '플로깅'은 달리기를 하는 사람들에게 달리기 활동에 쓰레기를 줍는 활동을 녹여 자연스럽게 쓰레기를 줍도록 만들었다. 위와 같은 사례를 응용해 레저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안전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모델을 통해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접근성과 기회가 확대될 것이며, 사람들은 레저활동을 즐기며 자연스레 재난안전교육을 받게 될 것이다. 또한 재난 안전에 대한 인식이 늘고, 활동의 전이 및 확산을 통해 타인까지도 재난안전교육의 현장으로 이끌어 올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ontents of Domestic Disaster & Safety Education (국내 재난안전교육 컨텐츠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Chung, Hee-Soo;Song, Chang-Geu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2 no.1
    • /
    • pp.76-82
    • /
    • 2022
  • Recently,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in Korea are increasing, and new disasters such as COVID 19 and sinkholes, and large-scale disasters that combine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are occurring frequently. In order to reduce damage caused by disasters and effectively respond to disasters, the importance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is emerging becaus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wareness of disaster situations and the functional response process. Ministry of Public Interior and Security is providing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emergency managers through 54 specialized disaster safety education institutions. There is also a lack of experience facilities. This has a problem in that it makes it difficult for disaster safety personnel to effectively respond to disasters due to lack of experience in actual disaster sites. Also, unlike other education fields, the connection between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and new technologies such as AI is still lacking. In this study, focusing on natural disaster,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domestic disaster safety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ir contents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 plans for domestic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such as establishment of a unified disaster safety standard curriculum,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experience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infotainment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mobile AI tutoring service.

A Literature Review of Studies on Disaster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and Nurses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 대상 재난교육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 Hong, Eun-Joo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5
    • /
    • pp.60-7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rticles related to disaster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and nurses by investigating the contents and effects of research.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CINAHL, Pubmed and RISS were searched. Papers published only in English or Korean were included. Twelve studies were selected from the 3,588 references screened. Most training programs took less than 8 hours, focusing mostly on the response phase of disaster. Intervention methods included simulation, debriefing, action learning, role play, problem based learning and so on. It was found that disaster training programs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disaster management competency, disaster knowledge, disaster nursing related self-confidence, and disaster response competency. It was also revealed that multidisciplinary practice would help learners enhance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with other team members and foster a positive professional identity. Among the selected articles,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RCT) study was just one. Therefore, RCTs are further needed to verify the effects of such an disaster training. Also, further stud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 and nursing interventions based on all phases of disaster are needed.

A Study on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광역 시·도 교육기관의 재난관리체계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So-Yeon;Koo, Won-Hoi;Baek,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19-12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광역 시 도 교육기관의 효율적인 재난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개의 광역 시 도 교육청의 재난안전담당자 인터뷰 및 실태조사를 통하여 교육기관의 현황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재난관리체계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Effect of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on Disaster Risk Assessment (재난 위험도 평가 과정에 재난안전교육이 미치는 영향 평가)

  • Chung, Gunhui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0 no.3
    • /
    • pp.366-372
    • /
    • 2014
  • As the disaster becomes bigger and more complicated and causes massive damage in the society, it becomes important to educate and exercise the people for the disaster response and safety.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on the disaster risk assessment was evaluated. Disaster risk was calculated by the likelihood and consequences. The expert survey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education on the likelihood and consequences. The inquiries were divided by the education target which makes different results of the survey. As a result, the disaster risk was reduced upto almost 48% when all people including the government workers and students were educated regularly. The result needs to be verified by the field data analysis. However, it provides the reason why the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is important.

A Study on Disaster Preparedness,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재난준비도,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 및 교육요구도에 대한 연구)

  • Kim, Hee-J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11
    • /
    • pp.7447-7455
    • /
    • 2015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disaster preparedness,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for development of disaster nursing educational program. 254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3 college of nursing in D-city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 2014 to November 30, 2014. The average level of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was 2.76 out of 5 points, which was moderate for the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Disaster preparedness was 2.14 out of 5 points, suggesting that they are generally not well prepared for disaster. Factors affecting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were disaster preparedness, educational needs, grade, and experience of disast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saster nursing educational program to reflect the needs of the field in Korea. And Nurse educator needs to develop strategies to prepare their students for disaster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dequately address this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