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가방문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1초

취약계층 재가노인의 기능적 건강상태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및 삶의 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Functional Health Status, Satisfaction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and Quality of Life in Vulnerable Elderly)

  • 박영숙;이화연;권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071-5078
    • /
    • 2011
  • 본 연구는 취약계층 재가노인의 기능적 건강상태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및 삶의 질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은 D시 B구 1개 지역보건소 방문보건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65세 이상 노인 399명을 대상으로 보건보직부에서 권고하여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서비스 기록지에 사용하고 있는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2010년 6월부터 9월까지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능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서비스 만족도와 삶의 질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기능적 건강상태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재가복지대상자의 특성과 서비스 만족도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the Recipients of Home Care)

  • 한혜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7권
    • /
    • pp.429-448
    • /
    • 1999
  • 본 연구는 재가복지서비스에 대한 질적 평가의 일환으로서, 사회복지관 부설 재가복지봉사센터의 서비스를 받는 재가복지 대상자를 조사대상으로 하여 재가복지대상자의 특성과 서비스 내용, 서비스 만족도, 그리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현행 재가복지사업의 문제점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려는 것이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 현행 재가복지서비스에 대한 대상자의 만족도 점수는 5점 척도에서 상위 $1.62{\sim}2.56$점에 위치함으로써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모두 가능하였지만, 방문 빈도에 관한 불만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현행 재가복지서비스가 대상자의 욕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하였는데, 대상자의 욕구와는 관계없이 가사서비스가 주로 제공되고 있어서 건강이 나쁜 대상자라도 의료서비스보다는 가사서비스를 더 많이 받고 있었고, 일상생활 수행능력상의 장애와 서비스간의 괴리도 심각하게 나타났다. 특히 복지 선진국과는 달리, 우리의 재가복지서비스는 건강이 나쁜 대상자, 그리고 일상생활 수행능력상의 장애를 가지는 대상자의 의료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함으로써 건강이 나쁜 대상자일수록 재가 복지서비스가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산조사를 자격요건으로 하는 생활보호대상자를 가장 중요한 대상자 선정기준으로 삼고 있을 뿐, 욕구조사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재가방문요양시설장의 리더십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신뢰의 조절역할: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Effects of the In-Home Visitation Care Facility Directors' Leadership Typ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Trust)

  • 김명숙;최수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327-33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방문요양시설장의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 십유형과 조직유효성간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의 조직신뢰의 역할을 탐구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에서 조직유효성 변수로는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두 변수를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서울시 소재 50개 재가방문요양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29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단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요양보호사들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거래적 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신뢰는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영양지도에 의한 도시지역 재가노인의 영양상태 개선 효과 (Effects of the nutritional status improvement of the elderly in a urban community due to home visiting nutritional education)

  • 권진희;윤희정;문효정;박성화;손윤희;이재무;이성국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사단법인 창립총회:한국인의 적정 소금섭취를 위한 식생활 전략
    • /
    • pp.81-100
    • /
    • 2002

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서비스 품질과 선택권 실현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oice and Service Quality on User Satisfaction among Long-Term Home Care Service Recipients)

  • 조한라;여영훈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597-604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요양서비스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이용자의 선택권 실현정도에 달라지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지역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자 총 258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통한 선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전체 이용자에 대한 분석과 함께, 시와 군 지역 간 복지인프라 차이에 따른 이용자의 선택권 실현의 편차가 있을 것을 고려하여 시와 군 지역 이용자 각각을 대상으로 조절효과 분석 또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 지역 서비스 이용자들은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의 관계에서 선택권 실현정도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군 지역 서비스 이용자들은 선택권 실현정도에 따라 품질이 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적인 시장과는 다르게 이용집단이 취약하고, 서비스의 공공성이 강조되는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이용자 선택권 실현의 조절효과가 시와 군 지역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군 지역의 노인 재가복지 인프라의 취약성을 대변한다. 따라서, 노인 재가서비스 이용자 선택권의 효과가 적극적으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군 지역 재가복지 인프라 확충과 정책적 지원을 통한 지역 간 복지 불균형 해소가 필요하다.

재가 노인의 낙상공포 여부에 따른 건강상태, 신체기능상태 및 가정환경 위험 비교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Functional Status, and Home Environment Hazards in Terms of the Fear of Falling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

  • 임경춘;전경자;윤종률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577-1589
    • /
    • 2009
  • 본 연구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낙상공포 여부에 따른 건강상태, 신체기능상태 및 가정환경의 위험을 비교하고, 낙상공포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A시 D구 노인보건센터에 방문보건사업 대상자로 등록된 65세 이상 노인으로 선정하였다. 2006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사전에 교육받은 방문간호사가 직접 가정방문하여, 가노인기능상태평가도구(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 RAI)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973명의 평균 연령은 76.8(±7.6)세였고, 여성이 74.8%였으며, 낙상공포를 가진 대상자는 20.7%였다. 낙상공포 여부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에서 요실금, 통증, 이환질병 수, 지난 3일간 우울/불안/슬픔의 징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신체기능 상태는 낙상공포가 있는 집단에서 일상 생활수행능력 의존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시력 문제가 많았으며, 불안정한 걸음걸이를 보이는 대상자가 현저히 많았다. 가정환경위험은 화장실, 방 출입 및 집 밖 출입 시 낙상공포가 없는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더 어려움이 많았다. 연령이 많을수록, 일상생활 의존도가 높을수록, 이환질병 수가 증가할수록, 걸음걸이가 불안정하거나 낙상경험이 있는 경우에 낙상공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통증, 우울/불안/슬픔의 징후, 복용하는 약은 낙상공포와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의 노인을 사정할 때 낙상공포에 관련된 주요 요인인 연령, 일상생활수행능력, 현재 앓고 있는 질환 및 걸음걸이 사정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재확인시켜 준다. 또한, 재가노인의 낙상예방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불안정한 걸음걸이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중재방법을 모색하는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 연구를 토대로 건강 상태와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려는 포괄적인 간호중재를 통해 낙상공포를 감소시키고 낙상 발생률을 낮추면, 궁극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서울지역 방문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Burnout of Visiting Caregivers in Seoul)

  • 남경옥;채재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59-66
    • /
    • 2021
  • 인구 고령화에 따라 재가요양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면서 방문요양보호사의 역할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문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서울지역 재가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방문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2020년 8~9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 분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기법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이 클수록 직무소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회복탄력성의 하위변인(긍정성)과 직무소진간의 관계에 대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회복탄력성의 하위변인(자기조절능력)과 직무소진간의 관계에 대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방문요양보호사의 직무소진을 예방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직무환경 요인 외에도,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등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에도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참고로 하여 방문요양보호사의 직무소진에 대해 전국 단위의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방문간호를 받는 재가노인의 낙상위험 (Fall Risk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who Received Home Care Services: Focused o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Perception of Fall Risk)

  • 이정미;조복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6-45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creasing fall risk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risk and the perceived fall risk among the older adults who received home care services to provide information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falls intervention program. Methods: The subjects were 227 community-dwelling elderly aged 65 years and over who were taken care of by home-visiting nurses of the national health cent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August in 2012 using the Choi's residential environmental risk scale (2010) and the Hong's fall risk scale (2011). Results: Requires an assistive devices to walk, modified residential environment, health security, approval certificate of LTC, residential safety perception, residential environment risk, and perception of fall risk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room & kitchen, physical perception, medication & ADL perception, floor-related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daily living tool-related percep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fall.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perceived fall risk were associated with fall experiences among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develope multifactorial intervention programs considering both environmental and perceived risk factors as well as physical risk factors to reduce and prevent falls among the elderly.

재가 노인환자의 방문간호 경험 - 보건소 실습학생 방문대상자 중심으로 - (Experiences on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 박숙경;박정모;이숙정;민소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37-44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experiences in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provided by nursing students. Method: This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community-based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the 4th of March to the 15th of December 2003.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patients on subjective experienc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laizzi's method, in which meaningful statements were extracted. Result: Four categories were identified from nine theme clusters. The four categories were 'thankfulness', 'dependence', 'sorrowfulness' and 'the sense of being'.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visiting nursing service for the elderly in commun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