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비오차

Search Result 60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f Blood pressure influence factor Correction for Photoplethysmography Fusion Algorithm Calibration (광전용적맥파 융합 알고리즘 보정을 위한 혈압 영향인자 상관관계 분석)

  • Kim, Seon-Chil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2
    • /
    • pp.67-73
    • /
    • 2019
  • The blood pressure measurement is calculated a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of the blood vessel using the pressure from the outside for a long time. Due to the recent miniaturization of measurement equipment and the ICT combination of personal healthcare systems, a system that enables continuous and real-time measurement of blood pressure with a sensor is required. In this study, blood pressure was measured using pulse transit time using Photoplethysmography. In this study, blood pressure was estimated by using systolic blood pressure. And it is possible to make measurement only with PPG itself, which can contribute to making a micro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As a result, systolic blood pressure and PPG's S1-P and P-S2 were used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blood pressure estimation.

Improvement of Strain Detection Accuracy of Aircraft FBG Sensors Using Stationary Wavelet Transform (정상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항공기 FBG 센서의 변형률 탐지 정확도 향상)

  • Son, Yeong-Jun;Shin, Hyun-Sung;Hong, Gyo-Young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3 no.4
    • /
    • pp.273-280
    • /
    • 2019
  • There are many studies that use structure health monitoring to reduce maintenance costs for aircraft and to increase aircraft utilization. Many studies on FBG sensors are also being conducted. However, if the FBG sensor is installed inside the composite, voids will occur between the layers of the composite, resulting in signal split problem. In addition, the FBG sensor is not affected by electromagnetic waves, but will produce electromagnetic noise caused by electronic equipment during post-processing. In this paper, to reduce the error caused by these noises, the stationary wavelet transform,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movement immutability and is efficient in nonlinear signal analysis, is presented. And in the above situation, we found that noise rejection performance of stationary wavelet transform was better compared with the wavelet packet transform.

The Aircraft-level Simulation Environment for Functional Verification of the Air Data Computer (대기자료 컴퓨터 (Air Data Computer) 기능검증을 위한 항공기 수준의 시뮬레이션 환경)

  • Lee, Dong-Woo;Lee, Jae-Yong;Na, Jong-Whoa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2 no.2
    • /
    • pp.133-140
    • /
    • 2018
  • In recent years, model-based design techniques have been used as a way to support cost reduction and safety certification in the development of avionics systems. In order to support performance analysis and safety analysis of aircraft and avionics equipment (item) using model based design, we developed a multi-domain simulation environment that inter-works with heterogeneous simulators. We present a multi-domain simulation environment that can verify air data computers and integrated multi-function probes at the aircraft level. The model was developed by Simulink and the flight simulator X-Plane 10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at the aircraft level. Avionics model functions were tested at the aircraft level and the air data errors of the model and flight simulator were measured within 0.1%.

Observation Performance Analysis of the Telescope System according to the Offset Compensation Cycle (옵셋 보정 주기에 따른 망원경 시스템 관측 성능 분석)

  • Lee, Hojin;Hyun, Chul;Lee, Sangwo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1
    • /
    • pp.15-21
    • /
    • 2020
  • In this paper, the observation performance of the electro-optical telescope system which surveils the unknown space objects, is analyzed by the Modeling & Simulation(M&S). The operation concept for the observation of the unknown space objects using two telescope systems is considered and the M&S models are constructed. Based on the operation concept for observing the unknown space objects, the estimated orbit is generated by Initial Orbit Determination(IOD) and the observation performance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offset compensation cycle for the estimated orbit. The result of the M&S based analysis in this paper shows that the observation performance increases with the shorter offset compensation cycle, and decreases with the longer offset compensation cycle. Therefor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telescope system which surveils the unknown space objects, the observation system with accurate initial orbit determination or shorter offset compensation cycle should be designed and constructed.

Applicability Review of Street Dimensional Data Survey Using Point Clouds Generated from Drone Photogrammetry (드론 항공사진측량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활용한 가로환경 조사 가능성 연구)

  • Oh, Sunghoon;Kim, Myung J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9 no.6
    • /
    • pp.401-408
    • /
    • 2021
  • With the proposal of amendments to the Pedestrian Safety Act in 2021, when the amendment bill is passed in the near future, a general dimensional investigation of the sidewalks' physical condition, which is the basis of pedestrian safety, is expected to be legislated and made mandatory.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a affordable methodology for street environment survey using entry-level drones and examined the feasibility of conducting a complete survey of pedestrian paths by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To this end, various street facilities in the experimental site were measur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curacy of the point cloud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easurement error range satisfies the public surveying guidelines. If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is applied, it is expected that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will be able t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monitoring the physical conditions of streets to improve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the near future.

Validation of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Evapotranspiration Hypothesis Using In-situ Measurements (관측자료 기반의 용담댐 유역 증발산 보완관계 가설 검증)

  • Eunji Kim;Boosik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4-264
    • /
    • 2023
  • 물순환 과정에서의 증발산은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수자원 계획 수립 시 중요한 요소이다. 증발산은 기온, 상대습도, 일사량 등 기상학적 인자뿐만 아니라 증발표면, 식생분포 등 다양한 인자의 복합작용에 의해 일어나므로, 유역 단위에서 발생한 실제증발산(Actual evapotranspiration, AET)을 측정하기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그러나 증발산 보완관계(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evapotranspiration, CRE) 가설을 활용하면, 수문요소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모델링을 거치지 않고도, 비교적 간단하게 AET를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증발산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유역 단위에서의 CRE를 검증하고자 하며, 플럭스 타워 등 다양한 관측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용담댐 시험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다. 용담댐 유역 내 산지에 위치한 덕유산 플럭스 타워에서 측정된 증발산을 AET로 보았으며, 유역 인근에 위치한 전주 기상관측소에서 측정되는 팬 증발량(Epan)을 잠재증발산량(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ET)으로 보았다. Epan 계측시, 증발팬의 가열 등 주변환경 변화로 인해 과다하게 추정되는 값을 보완하기 위해 FAO Penman-Monteith 식을 활용해 팬 증발량 보정계수(Coefficient of pan evaporation, kp)를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습윤증발산량(Wet evapotranspiration, WET)은 대기가 완전히 포화되었을 때 발생하는 증발산량으로, 댐 수표면에서 계측되는 수면증발량을 WET로 보았다. CRE 검증을 위해 AET와 PET를 각각 WET로 나누어 AET+와 PET+로 무차원화하였으며, 습윤지수(Moisture Index, MI)는 AET를 PET로 나누어 산정하였다. CRE 가설은 MI에 따른 AET+와 PET+가 서로 보완관계를 갖는다는 것인데, 용담댐 유역의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CRE를 검증한 결과 AET+와 PET+ 간의 비대칭계수(b)가 1.23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의 평균제곱오차(MSE)는 0.599, 결정계수(R2)는 0.631로 나타나 CRE의 b가 적합하게 추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와 같이 검증된 CRE를 통해 증발산 관측지점이 없거나, 조밀하지 않은 유역의 AET를 간접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해 보다 정확한 댐의 장기유출 모의와 용수공급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discharge measurement using multi-point radar surface velocity meter (다회선 표면유속 측정시스템을 이용한 유량측정 비교 연구)

  • Yeong Seon Yun;Sang Uk Cho;Se Hwan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69-369
    • /
    • 2023
  • 표면유속계는 비접촉식으로 하천의 유량을 측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효율적이며, 특히 홍수발생시 안전한 측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접촉식 방식이 갖는 장점으로 인해 홍수기 측정에 표면유속계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포인트 방식의 표면유속계의 경우에도 측점마다 측정장비를이동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측정시간이 소요되며, 측정 시마다 기본적으로 최소 2~3인의 인력을 필요로 한다. 최근 발생하는 홍수사상은 돌발강우에 의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단시간 내에 급격한 수위 및 유량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대응하기 매우 어려우며 특히, 야간에 발생하는 호우사상은 야간측정에 따른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 시 유량측정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으로 다회선 표면유속계를 이용한 유량측정방법을 실제 하천에 적용하고 표면유속을 이용한 다양한 유량산정방법을 실측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표면유속계는 다회선 구성이 가능한 레이다유속계(RQ-30) 5대를 활용하였으며, 금강 본류에 위치한 세종시(햇무리교) 관측소를 대상으로 홍수기 유량측정을 수행하였다. 표면유속을 이용한 유량산정방법으로는 5개 유속계의 측정구간을 합산하는 중간단면적법과 표면유속을 지표로하는 지표유속법을 적용하였으며, 유량산정 결과는 기존 관측소의 수위-유량관계의 환산유량과 ADCP를 이용한 실측유량을 비교하였다. 다회선 표면유속 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유량을 산정한 결과, 중간단면적법 및 지표유속법 모두 실측치와의 상대오차가 5% 이내로 비교적 정확한 유량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홍수기 유량측정이 어렵거나 위험한 지점을 대상으로 홍수가 주로 발생하는 기간에 일시적으로 설치하여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Optimized KNN/SVM Algorithm for Efficent Indoor Location (효율적인 실내 측위를 위한 KNN/SVM 알고리즘)

  • Kang, Il-Woo;Sharma, Ronesh;Jeon, Seong-Min;Park, Sun;Lee, Seong-Ho;Na, Young-Hwa;Bae, Jinsoo;Jung, Min-A;Lee, Yeonwoo;Lee, Seong-R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602-605
    • /
    • 2011
  • 현재 측위에 대한 측정 대상이 점점 작아지면서, 그에 따른 정확도 까지 높아지고 있다. 실내 측위에 관한 기술은 대표적으로 단말기의 수신신호의 세기방식인 RSS(Received Signal Strength), 수신신호의 도달시간 방식 TOA(Time of Arrival), 수신 신호의 도달 시간차 방식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수신신호의 입사각 방식인 AOA(Angle of Arrival) 등 여러 가지 기술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특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실내 측위 중에 정확도가 높은 Fingerprinting 방법을 택하였다. WLAN 기반 실내측위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KNN은 k개의 이웃수와 RP의 수에 따라 민감하다. 본 논문에서는 KNN 성능을 향상 시키기 위해 SVM 이용하여 SNR 데이터를 군집화를 적용한 KNN과 SVM을 혼합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신호잡음비 데이터를 KNN 방법에 적용하여 k개의 RP를 선택한 후 선택된 RP의 신호잡음비를 SVM에 적용하여 k개의 RP를 군집하여 분류한다. 실험 결과 위치 오차가 2m이내에 KNN/SVM 혼합 알고리즘이 KNN 알고리즘보다 성능이 우수하다.

Hydraulic experiment for topographical change around a sea dike using 3D laser scanner (3D 지형스캐너를 활용한 방조제 주변의 지형변동 수리모형실험)

  • Lee, Byeong Wook;Yoon, Jae-Seon;Jun, Teak-Ki;Song, Hy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13-213
    • /
    • 2021
  •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은 하천 및 해안분야의 다양한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대형 수리모형실험 시설을 2018년에 구축완료하였다. 국내 최대 규모의 실험장뿐만 아니라 첨단 광학용 계측장비(PIV 및 LDV 시스템)를 연계한 전용실험수로, 대형유사실험수로 등 7종의 기능별 실험수로를 갖추고 있어 다양한 수리현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산사태의 주요 원인중 하나인 토석류 실험, 방조제 주변의 침·퇴적 실험 등을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3D 지형스캐너를 활용한 방조제 주변의 지형변동 수리모형실험에 대하여 소개를 하고자 한다. 방조제는 조수가 육지쪽으로 밀려들어와 내부개발지역이나 농지 등을 해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외곽시설이다. 이러한 방조제 전면의 빠른 유속에 의한 침식은 배후지의 안전에 상당히 큰 문제를 야기시킨다. 방조제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조제 전면에 수제공을 설치하여 수제공과 수제공 사이의 느려진 유속에 의해 방조제 전면에 토사를 퇴적시키는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조제 전면에 수제공의 길이를 달리 설치하여 수제공 주변의 침·퇴적현상을 이동상 실험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토사의 침·퇴적고를 계측하는 방법으로 일정한 격자망을 구성하여 각 지점별로 실험 전·후의 토사의 표고차를 수작업으로 계측한다. 이 경우는 실험자가 직접 측정하는 계측오차가 발생하게 되고 측정할 수 있는 지점의 수가 한계가 있어 전체적인 토사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농어촌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3D 지형스캐너를 활용하여 토사의 표고차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3D 지형스캐너의 최대 측정거리는 스캐너가 설치된 중심점으로부터 반경 80m에 해당하며, 해상도는 1.6mm~50mm의 범위로 수작업으로 격자망을 구성하여 측정하는 것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의 결과를 취득할 수 있으며 계측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펄스레이저에 의한 지형스캔 방식은 수면과 같이 레이저가 투과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계측이 불가능하며, 어두운 계열의 색을 스캔하는 경우 결과 분석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상 재료로 안트라사이트(검은색)를 포설하였고, 검은색 계열의 실험사에도 3D 지형스캐너가 우수한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Estimation of spatiotemporal soil moisture distribution for Yongdam-dam watershed using Sentinel-1 C-band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s (Sentinel-1 C-band SAR 영상을 이용한 용담댐 유역의 시공간 토양수분 산정)

  • Chung, Jeehun;Lee, Yonggwan;Jang, Wonji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62-162
    • /
    • 2020
  • 토양수분은 TDR(Time Domain Reflectometry)이나 Tensiometer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을 시행하고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경제적 자원이 소비될 뿐만 아니라 시공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범위에 한계가 있다. 지상 관측의 대안으로 MIRAS(Microwave Imaging Radiometer with Aperture Synthesis)나 SMAP(Soil Moisture Active Passive), AMSR2(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2) 등의 수동 마이크로파 위성 센서를 이용한 공간 토양수분 관측이 수행되었으나, 낮은 공간 해상도(9~36km)는 지역 규모의 토양수분 분포를 나타내기 충분하지 않고, 높은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 상류의 용담댐 유역(930.0㎢)을 대상으로 Sentinel-1 C-band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을 이용한 토지 피복 및 토양 속성을 고려한 10m 해상도의 토양수분 산출을 수행하였다. 용담댐 유역은 산림 79.7%, 논 9.0%, 밭 5.4%, 주거지 2.9%의 토지 피복 비율을 가지며 토양은 사양토(66.6%)와 양토(20.9%)가 우세하다. Sentinel-1 C-band SAR 영상은 SeNtinel Application Platform(SNAP)을 이용하여 전처리 후, 후방산란계수로 변환하였다. 토양수분 알고리즘은 TU-Wien change detection algorithm과 Regression model을 활용하였고, 검증을 위한 실측 토양수분 자료는 한국수자원공사(K-water)에서 제공하는 5년(2014~2018)간의 토양수분 관측자료를 이용하였다. 산출된 토양수분은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및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를 이용하여 실측 토양수분과 비교하였다. Sentinel-1 C-band SAR 영상을 이용한 고해상도의 토양수분 산출은 토지 피복 및 토양 속성을 고려한 지역 규모의 공간 토양수분 분포 및 시간적 변화를 표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