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내 미생물총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7초

식이에 따른 장내세균의 효소활성 및 장내세균층의 비교 (Fecal Microflora of Mice in Relation to Diet)

  • 최성숙;하남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8-132
    • /
    • 1999
  • 식이에 따른 장내세균의 균총의 변화와 장내미생물의 효소활성을 비교하였다. 동물성 식이를 실시한 군에서는 식물성 식이를 실시한 군과 비교시 유해한 혐기성 균의 수가 약 10배 정도 많게 관찰되었으며, 식물성 식이를 실시한 군에서는 비피더스균이나 유산간균의 수가 동물성 식이를 실시함 군보다 10배 정도 많게 관찰되었다. 또한 대장암 발병과 상관관계가 깊은 것으로 알려진 장내미생물 유래효소활성을 비교한 결과 $\beta$-glucosidase, $\beta$-glucuronidae, tryptophanase, urease 등의 효소활성이 동물성 식이를 실시한 군에서 1.8배-2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즉 식이에 따라 장내 세균총의 차이 및 장내세균의효소활성의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민들레추출물이 당뇨유발 흰쥐의 장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Extracts on the Intestinal Microorganisms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지윤;장주연;이미경;박은미;김명주;손동화;정현채;조수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112-1118
    • /
    • 2002
  • 민들레의 추출물을 급여한 흰쥐에게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하여 장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Wistar계의 이유한 웅성 흰쥐 64마리를 난괴법으로 8군으로 나누어 streptozotocin(55 mg/kg BW)과 식이 kg당 11.45g의 민들레가 함유되도록 부위와 분획별로 나누어 식이에 첨가하여 50일간 사육하였다. 당뇨-대조군의 총혐기성균은 14일간 증가하다가 당뇨로 인하여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잎 추출물 급여시 50일에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되었다. 뿌리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급여군은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총혐 기성균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들레의 잎과 뿌리의 추출물 급여초기인 14일의 총호기성균은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높았으나 35일에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50일에 총호기성균수의 변화결과는 총혐기성균의 변화양상과 유사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장내 미생물의 변화는 당뇨가 유발된 50일에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민들레 잎-열수 추출물 군과 일-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군에서 Lactobacillus 증가가 현저하였으며, E. cofi 감소는 잎과 뿌리의 열수 추출물군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군이 당뇨-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이며 특히 열수 추출물군의 E. coli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실험 결과 민들레추출물이 당뇨유발된 흰쥐의 장내 미생물에 유익한 효과로 숙주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남부 지역별 돼지 장내 미생물생태 비교분석 (Differences in swine gut microbiota in southern region of Republic of Korea)

  • 김정만;;;운노타쯔야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81-85
    • /
    • 2015
  • 성장촉진제로 항생제 사용이 금지가 된 이후, 가축들의 사망률이 증가되어 항생제 대체제를 개발해야 하는 것이 시급하다. 그러한 대체제 개발에 새로운 접근 중 하나는 숙주의 신체적 기능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진 장내미생물생태를 조절하는 것이다. 하지만 가축의 장내미생물에 대한 이해가 인간과 비교하여 볼 때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장내미생물생태가 지역적 차이가 있음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돼지 분변샘플은 제주(n=40), 광주(n=28), 해남(n=30) 농가로부터 채취하였으며, MiSeq을 이용하여 16S rRNA V4 지역을 시퀀싱하였다. 또한 Mothur 파이프라인을 이용하여 MiSeq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처리하였다. 총 5,642,125 reads를 얻었으며, 에러시퀀스들을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3,868,143 reads가 남았다. Phylum 수준의 taxonomic composition 분석에서는 제주 돼지들이 Firmicutes를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었으며, Operational Taxonomic Units 분포분석에서 또한 지역적 차이에 따라 돼지장내미생물생태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과 Phyla의 풍부함 사이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Actinobacter, Verrucomicrobia, Firmicutes, Fibrobacteres이 세 개의 지역에 있는 돼지들의 장내미생물생태 차이를 나타나게 하는 장내 미생물 요소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한 가축의 장내미생물생태는 농장에서 사용하는 사료와 사양관리에 의해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는 돼지장내미생물생태가 지역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추후에 가축의 장내미생물생태에 관한 연구는 지역적 차이가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될 것이다.

장내 미생물의 조절과 지방세포의 갈색지방화를 통한 비만 조절 연구 (Obesity Regulation through Gut Microbiota Modulation and Adipose Tissue Browning)

  • 조예진;라만 엠디 샤밈;김용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922-940
    • /
    • 2019
  • 비만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해 유발되는 비정상적인 지방 축적으로, 근래에 다양한 만성질환을 초래하는 주요 국제 보건 문제로 부상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비만 문제에 대한 여러 해결책들이 제시되고 있다. 에너지를 저장하며 내분비 작용을 하는 백색 지방과 달리 열을 생성하여 에너지를 발산하는 두 종류의 지방조직인 갈색 지방과 베이지색 지방이 성인에 존재하며 외부 자극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진 이래로, 이들은 비만 치료의 유망한 표적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외부 자극 중, 인간 장관계에서 인간과 공존하는 장내 미생물총은 다양한 대사 작용에 참여하며, 이를 조절하는 것이 여러 대사 질환의 치료에 유력한 작용을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다양한 연구에서 항비만 치료가 장내 미생물 환경 전환이나 갈색 지방 조직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비만과 체중 증가, 대사 질환을 해소하는 것으로 알려진 자극과, 장내 미생물총의 변화나 갈색지방의 활성화를 야기하는 자극과, 이 자극들과 장내 미생물총의 조작, 지방조직의 갈색화 사이에서 알려져 있거나 있을 수 있는 상관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장내 정상 세균총과 경쟁적 배제

  • 이영주
    • 월간양계
    • /
    • 제33권8호통권382호
    • /
    • pp.121-125
    • /
    • 2001
  • 건강한 닭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자연적인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숙주상태와 장관사이에 서로 밀접한 협력장치가 있기 때문이며 건강한 병아리는 부화된 후 지속적으로 장관내에서 정상적인 세균총을 형성한다.

  • PDF

육계에서 스테비아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

  • 박재홍;류명선;박성복;김상호;류경선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11-112
    • /
    • 2003
  • 스테비오사이드를 추출하고 폐기되는 스테비아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육계사료에 수준별로 급여하여 육계의 생산성, 혈중 콜레스테롤, 장내 미생물 및 계육의 지방산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사료내 영양소 함량은 사육 전기와 후기에 각각 CP 21.5 %, ME 3,100 kca1/kg와 CP 19 %, ME 3,100 kcal/kg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처리구는 스테비아 부산물 0, 2, 4, 8 % 수준으로 하였고,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6수로 총 256수를 공시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 사육 전기 3주간의 증체량은 스테비아 부산물 8 %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후기 2주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전체 사육기간의 증체량에서도 스테비아 8 % 급여구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총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은 스테비아 부산물 급여구와 대조구 사이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비아 부산물의 급여가 장내 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맹장의 Salmonella, E coli는 감소하고 Lactobacillus 및 Yeast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에서도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또한 스테비아 부산물을 급여하여 생산된 가슴육의 지방산 함량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 PDF

In vitro 및 In vivo에서 인진쑥 추출물이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Intestinal Microflora In vitro and In vivo)

  • 오미현;김광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587-1594
    • /
    • 2010
  • 본 실험은 인진쑥의 용매 분획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이에 따라 가장 항균활성이 좋은 인진쑥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가지고 항균활성실험을 진행하였고, 기능성 물질인 페놀류의 함량 정도에 따라 항균활성을 보여주는 지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고, in vivo 실험을 통하여 장내미생물 균총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인진쑥 에탄올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분획하여 용매 분획물을 가지고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paper disc agar diffusion법에서 장내유해균인 C. perfringens, C. difficile, E. limosum 및 B. fragilis 모두가 다른 용매 분획물들에 비해 클로로포름 분획물에서 생육 억제환의 크기가 가장 크게 생성되었다. 장내유익균인 B. bifidum, L. acidophilus는 인진쑥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에서 억제환이 생성되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동물실험 결과, 인진쑥 추출물은 일반식이군에 비하여 비만식이군에서 장내유해균을 억제하고 장내 유익균을 증진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인진쑥 추출물은 장내 유해균은 억제시키고, 장내 유익균은 증식시키거나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결과, 인체 장내 균총 조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시켜 장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인진쑥 추출물의 장내유해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장내균총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계절별 미생물분포에 관한 연구 (Seasonal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effluent water in various sewage treatment plants)

  • 김영준;정명희;정두영;이혜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16권1호
    • /
    • pp.53-61
    • /
    • 2008
  • 07년 1월부터 11월까지 하수처리장별로 각각의 세균에 대한 계절별 분포도를 조시하였다. 조사에 사용된 미생물은 호기성 및 통성혐기성 종속영양세균으로 대표되는 총 세균과 지표생물군인 대장균, 대장균군, 장내세균군 및 포도상규군과 효모/곰팡이로 구성하였다. 총 세균 및 대장균 대장균군, 장내세균군 등의 지표생물군의 경우엔 대체로 온도가 높은 하절기에 균체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식중독의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의 경우, 대부분의 하수처리장에서 오히려 11월과 1월에 균체수가 증가하는 등, 계절과 관계없이 출현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한편, 방류수의 소독처리방법과 균체생성은 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작은규모의 마을하수의 경우 도시하수와 비교하여 균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산해박 뿌리에서 추출한 정유 및 구성성분의 인간 장내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및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대한 살비활성 (Acaricidal and antimicrobial toxicities of Cyanachum paniculatum root oils and these components against Haemaphysalis longicornis and human intestinal bacteria)

  • 이명지;김희주;정아현;이회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4호
    • /
    • pp.423-428
    • /
    • 2018
  • 산해박 뿌리 정유 추출물에 대한 장내 미생물 5종(Bifidobacterium bifidum, B. longum, C. perfringens, E. coli 및 L. casei)의 항균활성 및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의 살비활성을 검정하였다. 산해박 정유는 20.0 mg/disc에서 유해균 2종(C. perfringens 및 E. coli)에 대해 항균활성을 확인하였으나, 작은소피참진드기에는 살비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GC-MS 분석을 통해 얻어진 구성성분 중에 2'-hydroxy-5'-methoxyacetophenone이 유해균 2종에 대해서 10.0 mg/disc에서 각각 12.1 및 12.0 mm의 inhibition zone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인하여 2'-hydroxy-5'-methoxyacetophenone 유도 화합물들의 구조에 따른 항균활성을 검정하고자 acetophenone 계열 유도체 10종(acetophenone, 2'-hydroxyacetophenone, 4'-hydroxyacetophenone, 2'-methoxyacetophenone, 4'-methoxyacetophenone, 2',4'-dihydroxyacetophenone, 2',5'-dihydroxyacetophenone, 2',4'-dimethoxyacetophenone, 2',5'-dimethoxyacetophenone 및 2'-hydroxy-4'-methoxyacetophenone)과 비교 실험한 결과, methyl group이 포함된 acetophenone 유도화합물에서는 유해균 2종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장내유익균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hydroxyl group이 포함된 acetophenone 유도화합물에서는 장내 미생물에 대해 항균 활성이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산해박 정유와 구성성분 2'-hydroxy-5'-methoxyacetophenone 및 그 유도체는 천연 장내 세균총 개선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희토와 클로르테트라시이클인이 육계의 생산성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Rare Earth and Chlortetracycline on the Performance and Intestinal Microflora in Broiler Chicks)

  • 송태화;박홍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3-29
    • /
    • 2007
  • 본 연구는 희토(rare earth RE)와 Chlortetracycline (CTC)의 육계사료에 대한 첨가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은 pen별 평균 개시시 체중이 비슷하도록 15수씩 평사로 배치하여 4처리구 4반복으로 희토와 항생제-CTC, 그리고 두 가지 혼용였을 경우의 효과를 관찰하고자 0, RE 100 ppm, CTC 200 ppm, RE100 ppm+ CTC200 ppm으로 하였다. 증체량,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율이 실험 기간중에 조사 되었으며, 실험 종료후 도살하여 체중에 대한 간 및 복강 지방의 비율과 장내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험 결과, RE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증체량을 나타냈고(P<0.05),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며(P<0.05), 사료 요구율도 대조구에 비해 16.08% 개선된 효과를 나타냈다(P<0.05). 생체중에 대한 복강지방의 비율도 RE 첨가구가 대조구 뿐만 아니라 기타 처리구에 비해서도 현저히 감소되었다(P<0.05). 생체중에 대한 간장 무게의 비율은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장내미생물은 회장과 맹장의 미생물에 대한 관찰 결과, 희토첨가로 총 균수와 E. coli의 증식을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며(P<0.05), Salmonella는 수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Lactobacillus의 수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 희토는 육계사료에서 항생제를 대체할 가능성을 보였으며, 희토의 첨가로 생산성이 개선되고 복강 지방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장내 병원성 미생물을 억제하는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