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잠재적 위해지수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Hazardous Expressway Sections for Drowsy Driving Using Digital Tachograph in Truck (화물차 DTG 데이터를 활용한 고속도로 졸음운전 위험구간 분석)

  • CHO, Jongseok;LEE, Hyunsuk;LEE, Jaeyoung;KIM, Duckny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5 no.2
    • /
    • pp.160-168
    • /
    • 2017
  • In the past 10 years, the accidents caused by drowsy driving have occupied about 23% of all traffic accidents in Korea expressway network and this rate is the highest one among all accident causes. Unlike other types of accidents caused by speeding and distraction to the road, the accidents by drowsy driving should be managed differently because the drowsiness might not be controlled by human's will. To reduce the number of accidents caused by drowsy driving, researchers previously focused on the spot based analysis. However, what we actually need is a segment (link) and occurring time based analysis, rather than spot based analysis. Hence, this research performs initial effort by adapting link concept in terms of drowsy driving on highway. First of all, we analyze the accidents caused by drowsy in historical accident data along with their road environments. Then, links associate with driving time are analyzed using digital tachograph (DTG) data. To carry this out,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s, which are broadly used in the field, including highway safety manual, are us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on expressway and drivers' behavior derived from DTG. From the results, empirical Bayes (EB) and potential for safety improvement (PSI) analysis are performed for potential risk segments of accident caused by drowsy driving on the future. As the result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drowsy driving, the number of the traffic accidents increases with increase in annual average daily traffic (AADT), the proportion of trucks, the amount of DTG data, the average proportion of speeding over 20km/h, the average proportion of deceleration, and the average proportion of sudden lane-changing.

Speciatio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Masan Bay (마산만 표층퇴적물에서 미량금속의 화학적 존재형태 및 생태계 위해도 평가)

  • Sun, Chul-In;Lee, Young-Ju;An, Jung-Hyun;Lee, Yong-Woo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9 no.2
    • /
    • pp.155-163
    • /
    • 2014
  • Total concentration and chemical speciation of trace metals (Cu, Pb, Zn, Cd, and Ni) were determined to evaluate pollution level and potential ecological risk in surface sediments of the Masan Ba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race metal concentrations, except for Ni, were high in the inner Masan Bay. Based on the chemical speciation of metals in sediments, the percentage of total concentrations of Cd and Pb in non-residual fraction was 92% and 88%,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se metals originated mainly from anthropogenic sources. However, Ni (70%) was dominant in residual fraction. Pollution load index (PLI) and ecological risk index (ERI) values in the inner bay indicate the presence of anthropogenic pollution and considerable-moderate ecological risk, respectively. Ecological index (Ei) value for Cd was high at most stations in the Masan Bay, and Cd content was the highest in acid soluble fraction, which presents the highest ecological risk.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ndicate that Cd presents a high potential ecological risk to benthic biota in the Masan Bay.

Effect of Yearly Changes in Growing Degree Days on the Potential Distribution and Growth of Quercus mongolica in Korea (연도별 생장도일의 변화가 신갈나무의 잠재분포와 생장에 미치는 영향)

  • Lim, Jong Hwan;Park, Ko Eun;Shin, Man Yo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8 no.3
    • /
    • pp.109-119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yearly changes in growing degree days (GDD) on the potential distribution and growth of Quercus mongolica in Korea. Annual tree-ring growth data of Quercus mongolica collected by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were first organized to identify the range of current distribution for the species. Yearly GDD was calculated based on daily mean temperature data from 1951 to 2010 for counties with current distribution of Q. monglica. When tree-ring growth data were analyzed through cluster analysis based on similarity of climatic conditions, seven clusters were identified. Yearly GDD based on daily mean temperature data of each county were calculated for each of the cluster to predict the change of potential distribution. Temperature effect indices were estimated to predict the effect of GDD on the growth patterns. In addition, RCP 4.5 and RCP 8.5 of climate change scenarios were adopted to estimate yearly GDD and temperature effect indices from 2011 to 2100.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reas with low latitude and elevation exceed the upper threshold of GDD for the species due to the increase of mean temperature with climate change. It was also predicted that the steep increase of temperature will have negative influences on tree-ring growth, and will move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the species to areas with higher latitude or higher elevation, especially after the year of 20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necessary for estimating local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 predicting changes i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Q. mongolica caused by climate change.

Expert System for FMECA Using Minimal Cut Set and Fuzzy Theory (최소절단집합과 퍼지이론을 이용한 FMECA 전문가 시스템)

  • Kim, Dong-Jin;Kim, Jin-O;Kim, Hyu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2 no.3
    • /
    • pp.342-347
    • /
    • 2009
  • Failure Mode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 (FMECA) is one of most widely used methods in modern engineering system to investigate potential failure modes and its severity upon the system. While performing FMECA, the experts evaluates criticality and severity of each failure mode and visualize the risk level matrix putting those indices to column and row variable respectably. Which results uncertainty in the result. In order to handle the uncertainty and conclude risk level matrix, this paper proposes a new FMECA procedure using minimal cut set (MCS) and fuzzy theory. Severity is calculated by proposed structural importance while criticality is determined by typical equipment failure rate data from IEEE Std 493. Finally, the risk level is compounded of these indices.

Study on Development of River Synthesis Management Index (하천종합관리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Choi, Si-Jung;Lee, Dong-Ryul;Baeck, Seung-Hyub;Hong, Seung-Jin;Kang, S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34-734
    • /
    • 2012
  • 국내에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하천을 이수, 치수, 하천환경 등 기능별로 구분하여 관리해 오고 있다. 하지만 하천을 보다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하며 하천의 현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천을 평가하기 위해 제방축조율, 수질 등 다양한 하천지표 및 평가기법들이 개발되어 왔으나 치수 이수 환경 친수 등 하천의 다양한 기능 중 특정 기능들에 대해서만 단편적으로 진단해 오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4대강 사업, 생태하천조성 등 다양한 하천사업이 시행되고 있어 그 성과와 필요성을 정량적으로 평가 관리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며, 하천 기능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매우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전한 하천종합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하천의 기능인 이수, 치수, 하천환경 및 친수 요소간의 조화와 평가가 가능한 정량적 지표 및 지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보다 건전한 하천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국가 수자원 정책 결정 시 정책결정자가 보다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통한 분석정보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대안을 도출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여러 가지 정보를 종합한 지표를 통해 보다 쉽게 얻을 수 있다. 하천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지표화함으로써 정책결정자는 여러 가지 경우를 고려한 다양한 대안을 검토할 수 있게 되어 최적의 대안 도출이 가능해진다(건설교통부, 2006). 본 연구에서는 한정된 수자원을 다양한 목적과 제약조건을 충족시키면서 효율적으로 이용, 보전하기 위해 하천의 다양한 정보의 연계, 공유를 통한 통합관리체계 구축을 하고자 하천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다수의 대리변수를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된 대리변수들 중 하천의 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 대리변수를 선정하고 이를 통해 잠재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잠재지표를 이용하여 하천의 각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하천종합관리지표를 개발하여 국내 국가하천에 적용함으로써 하천 특성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분석하였다. 개발된 지표를 통해 국내 하천관련 사업에 대한 B&A 분석을 수행하여 사업 성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표는 하천관련 사업의 전, 후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사업효과를 분석할 수 있으며 하천관련 사업의 효과에 대한 대국민 홍보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isk Assessment of As, Cd, Cu and Pb in Different Rice Varieties Grown on the Contaminated Paddy Soil (중금속 오염 논토양에서 재배된 벼 품종간 위해성평가 비교)

  • Kim, Won-Il;Kim, Jin-Kyoung;Yoo, Ji-Hyock;Paik, Min-Kyoung;Park, Sang-Won;Kwon, Oh-Kyung;Hong, Moo-Ki;Yang, Jay-E;Kim, Jeong-Gyu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2 no.1
    • /
    • pp.53-57
    • /
    • 2009
  • Heavy metal pollution may be one of the most serious challenges confront crop production and human health. Therefore, the selection of heavy metal tolerance cultivars which adapted to the contaminated fields will introduced a suitable solution for management this critical environmental risk.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human health risk using geochemical analyses and exposure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rice cultivars. Risk for inhabitants in the closed mine area was comparatively assessed for As, Cd, Cu and Pb in 10 rice varieties as a major exposure pathway. The average daily dose (ADD) of each heavy metal was estimated by analyzing the exposure pathways to rice and soil. For the non-carcinogenic risk characterization, Hazard Quotient (HQ) and Hazard Index (HI) were calculated using toxicity indices provided by US-EPA IRIS. The different rice varieties revealed a wide range of HI values from 23.6 to 34.3, indicating that all rice varieties have a high potential toxic risk. The DA rice variety showed the lowest HI value while the TB rice variety the highest. The probabilities of cancer risk for As via rice consumption were varied with rice varieties ranging from 2.0E-03 to 3.5E-03 which exceeded the regulatory acceptable risk of 1 in 10,000 set by US-EPA. The DA rice variety also showed the lowest value while the TB rice variety gave the highest value. Our results indicate that risk assessment can be contribute to screen the pollution safe rice cultivars in paddy fields affected by the mining activity.

Agricultural Drought Assessment Based on Evaporative Stress Index (ESI) Calculation using MODIS Satellite Image and ROC Analysis (MODIS 위성영상 기반 ESI 산정 및 ROC 분석을 활용한 농업가뭄평가)

  • Yoon, Dong-Hyun;Nam, Won-Ho;Lee, Hee-Jin;Park, Jong-Hwan;Kim, Dae-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56-156
    • /
    • 2020
  • 가뭄은 다른 자연재해에 비해 진행 속도가 느리고 발생 시작 시기가 명확하지 않다. 또한 피해지역이 광범위하다는 점에서 사회, 경제적 피해와 농업 생산 시스템 및 수확량 등 농업 전반에 걸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지구적 기후변화로 인해 국내의 가뭄 발생빈도는 2000년 이후 증가하고 있으며, 가뭄의 정량적 분석은 선제적 가뭄 대응을 위해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여러 유관기관에서 지상 관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뭄을 모니터링하고, 가뭄 공간 분포 지도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지상 관측 데이터를 통한 가뭄 분포 지도는 미계측 지역에 대한 데이터 취득이 어렵고, 지형학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자원 및 재해 분야에서 위성영상이 활용되고 있다. 위성영상을 활용한 가뭄 판단 및 예측에는 정규식생지수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가 사용되고 있으며, 식생지수는 가뭄 발생, 진행 등에 있어 즉각적인 반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잠재 증발산과 실제 증발산의 비를 이용해 산정된 위성영상 기반 가뭄 지수인 Evaporative Stress Index (ESI)를 활용하였다. 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에서 제공하는 ESI는 전지구를 대상으로 5km 해상도로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가뭄 판단을 위해서는 높은 해상도의 영상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영상을 활용한 ESI의 산정을 통해 해상도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한다. 산정한 500m 해상도의 ESI는 기존 5km 해상도의 ESI와 비교 검증하였으며, SPI 및 과거 가뭄 발생 현황 자료를 근거로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분석을 통해 시군 단위 농업가뭄평가의 적용성을 확인하고 한다.

  • PDF

A Study on Total Hazard Level Algorithm Development for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유해화학물질의 종합위해등급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 고재선;김광일;정상태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4 no.4
    • /
    • pp.7-16
    • /
    • 2000
  • In the study, three criteria(toxicity, fire & explosion, environment) and damage prediction method for each case was set up, and all these criteria were applied to the subject substance that was selected as hazardous level by integrating all criteria through Algorithm. Particularly, the environment criterion is a comprehensive concept, environment index modeling by combining USCG(United State Coast Guard) &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environment criteria classifications and the environment part of MFPA's health hazardousnes(Nh). And for damage prediction method of each criterion were adopted and they were applied to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in use or stored by chemical substance related enterprises located in each region that made possible to set up total hazard level of used substances(inflammability, poisonousness and counteraction on a unit substance, and hazard level & display modeling on environment) & damage prediction in case of accident & solidity setup(CPQRA: 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IAE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VZ eq: Vulnerable Zone) risk counter. Thus it is deemed that it can be applied to toxic substance leakage that can happen during any chemical processing & storage, application as a tool for prior safety evaluation through potential dangerousness computation of fire & explosion.

  • PDF

Estimation of Potential Flood Damage Reflecting Actual Flood Hazard Zone and Comparison with Existing Methodology (실제 홍수위험지역을 반영한 홍수피해잠재능 산정 및 기존 방법론과의 비교)

  • Kim, Jae Kwang;Joo, Hong Jun;Jung, Sung Eun;Kim, Hung Soo;Kim, Soo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80-380
    • /
    • 2018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풍수해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여러 가지 대책이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10년간 매년 풍수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액은 약 3천 5백억 원에 해당될 만큼 많은 피해가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행정안전부, 2016), 정확한 홍수취약성을 산정한 후 효율적인 치수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1)에서 제시한 홍수피해잠재능(Potential Flood Damage, PFD)은 위험성과 잠재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상 지역의 홍수에 대한 취약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하지만, 기존의 홍수피해잠재능 산정 방법은 일부 지역에서 발생한 홍수 피해를 평균적인 측면에서 산정하였기 때문에 그 타당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강의 일부 유역을 대상으로 수자원 장기종합계획에서 제시했던 방법론과 실제 홍수위험지역을 반영한 홍수피해잠재능을 산정한 후 비교 및 고찰하였다.

  • PDF

A Study of Database Setup for River Infrastructure Maintenance (하천 기반시설의 유지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성에 관한 연구)

  • Kim, Kyoung-Min;Jung, Jae-Hoon;Lee, Tae-Hoon;Kim, Tae-Jeong;Lee, Seu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71-371
    • /
    • 2022
  •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RIMGIS)은 하천정보의 표준화 및 전산화를 통한 정보제공과 하천에 관련한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으로 5개의 지방국토관리청에서 관리하고 있는 하천대장 및 부도, 구조물도 등의 다양한 하천 관련 정보를 정보화하여 인허가 및 하천기본계획 등의 하천업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다. 국가 주요 기반시설을 생애주기 관점에서 관리하고 소요재원의 확보근거를 마련하고자 "지속 가능한 기반시설 관리 기본법"이 제정되었고 최근에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국토안전관리원에서는 도로·철도·철도 하천 등과 같은 사회기반시설(15종)의 노후화에 대비하여 전략적인 투자와 관리방식 도입을 목적으로 인프라 총조사 사업을 진하천 등과 같은 사회기반시설(15종)의 노후화에 대비하여 전략적인 투자와 관리방식 도입을 목적으로 인프라 총조사 사업을 진행하고 관리를 위해서 기반터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과 기반터 시스템은 하천 기반시설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서 다뤄진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기반터 시스템은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과 달리 유지관리 측면에 대한 필요한 보수 주기, 필요 예산 등과 같은 정보를 산정할 수 있도록 프레임워크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하천과 기반시설의 코드를 연결하는 작업들은 현재 상황에서는 미흡한 실정이고, 유지관리와 시설물의 노후화를 가속화하는 홍수와 침수피해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천 기반시설의 유지관리를 위해 하천, 제방, 인명에 대한 위험지수를 고려한 잠재 인명피해 위험도와 잠재 홍수피해 위험도를 평가기준으로 설정하고 적용하였다. 또한 이를 포함시킨 투자우선순위 평가기법을 도입하여 감가상각과 위험요소 등을 고려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