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은 규모의 현상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lectromagnetic Transient and Harmonic Simulation Using Vector Fitting (벡터 적합을 이용한 전자기 과도현상 및 고조파 시뮬레이션)

  • Wang, Yong-Peel;Ahn, Joon-Ho;Park, Min-Young;Kim, Kyoung-Hoon;Hur, Dong-Ryo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25_126
    • /
    • 2009
  • 전력시스템 전자기 과도현상은 시간 영역에서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해속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대규모 전력시스템을 상세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계산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력시스템 과도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전력시스템의 작은 부분은 상세하게 표현하고, 나머지 부분은 효과적으로 등가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모든 주파수 영역에서 등가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벡터 적합을 이용하여 Z 영역 유리함수 계수를 추정하여 주파수 의존 등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FDNE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테스트 시스템에 적용하여 시스템이 고장시 전자기 과도현상 및 고조파 평가를 비교 검토하였다.

  • PDF

Modeling of Frequency Dependent Network Equivalent using Vector Fitting (Vector Fitting을 이용한 주파수 의존 등가시스템 모델링)

  • Wang, Yongl-Peel;Choi, Sun-Young;Kim, K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280-281
    • /
    • 2008
  • 전력시스템 전자기 과도현상은 시간 영역에서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대규모 전력시스템을 상세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계산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력시스템 과도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전력시스템의 작은 부분은 상세하게 표현하고, 나머지 부분은 효과적으로 등가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모든 주파수 영역에서 등가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벡터 적합을 이용하여 S 영역 유리함수 계수를 추정하고, 과거항과 순간항을 고려한 주파수 의존 등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FDNE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테스트 시스템에 적용하여 시스템이 고장시 전자기 과도현상을 비교, 검토하였다.

  • PDF

Enhanced Deep Learning for Animal Image Patch Classification (동물 이미지 패치 분류를 위한 향상된 딥 러닝)

  • Shin, Seong-Yoon;Lee, Hyun-Chang;Shin, Kwang-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389-39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동물 이미지 분류를 위한 작은 데이터 세트를 기반으로 하는 향상된 딥 러닝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CNN을 사용하여 작은 데이터 세트에 대한 훈련 모델을 구축한다. 데이터 증대를 사용하여 훈련 세트의 데이터 샘플을 확장한다. 다음으로, VGG16과 같은 대규모 데이터 세트에서 사전 훈련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작은 데이터 세트의 병목 현상 기능을 추출한다. 그리하여 두 개의 NumPy 파일에 새로운 훈련 데이터 세트 및 테스트 데이터 세트로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완전히 연결된 네트워크를 훈련시킨다.

  • PDF

K-Nearest Interest Management in Onlina Game Server (온라인 게임서버에서의 k-최근접 관심영역 관리기법)

  • 박일규;심광현;김종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547-549
    • /
    • 2001
  • 대규모 온라인 게임과 같이 수많은 사용자를 수용하는 클라이언트/서버 방식 응용에서는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 클라이언트의 관심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만을 보내어 트래픽을 줄이는 방법을 관심영역 관리라 하며, 클래스기반, 영역 기반, 격자기반 등 여러 가지의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작은 영역에서 거리 기반으로 관심영역을 정하는 관심영역 관리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참가자가 편중된 영역에서 생기는 트래픽 집중 현상을 해소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The Impact of Spatio-temporal Resolution of GEO-KOMPSAT-2A Rapid Scan Imagery on the Retrieval of Mesoscale Atmospheric Motion Vector (천리안위성 2A호 고속 관측 영상의 시·공간 해상도가 중규모 대기운동벡터 산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Hee-Ae;Chung, Sung-Rae;Oh, Soo Min;Lee, Byung-Il;Shin, In-Chul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5_1
    • /
    • pp.885-901
    • /
    • 2021
  • This paper illustratesthe impact of the temporal gap between satellite images and targetsize in mesoscale atmospheric motion vector (AMV) algorithm. A test has been performed using GEO-KOMPSAT-2A (GK2A) rapid-scan data sets with a temporal gap varying between 2 and 10 minutes and a targetsize between 8×8 and 40×40. Resultsshow the variation of the number of AMVs produced, mean AMV speed, and validation scores as a function of temporal gap and target size. As a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the number of vectors and the normalized root-mean squared vector difference (NRMSVD) became more pronounced when smaller targets are used. In addition, it was advantageous to use shorter temporal gap and smaller target size for the AMV calculation in the lower layer, where the average speed is low and the spatio-temporal scale of atmospheric phenomena is small. The temporal gap and the targetsize are closely related to the spatial and temporalscale of the atmospheric circulation to be observed with AMVs. Thus, selecting the target size and temporal gap for an optimum calculation of AMVsrequires considering them. This paper recommendsthat the optimized configuration to be used operationally for the near-real time analysis of mesoscale meteorological phenomena is 4-min temporal gap and 16×16 pixel target size, respectively.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and Commercial Space in Jeonju :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전주의 금융ㆍ상업공간의 형성과 변화 -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

  • 박선희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5
    • /
    • pp.754-76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financial and commercial space in Jeonju had changed after Japanese rule. The biggest local bank was located near the Chungangdong post office in Taisyoudoori and the other bank facilities were located near the Jeonrabuk-do provincial office and Nammun market. Periodic markets and permanent stores were major commercial activities in Jeonju. Many stores and commercial companies established by many Chosun merchants near Nammun markets. Chosun commercial companies were superior to Japanese commercial companies in both number and capital scale. Japanese commercial companies were concentrated on Taisyoudoori(Jungang Road). Commercial activities in Jeonju were segregated by ethnic group. Financial and commercial activities were concentrated on Taisyoudoori and Ekimaedoori(Nammun Road).

Test and Analysis for Comovement-Locomotive Hypothesis (동조화 현상의 견인차 가설 검정과 분석)

  • Kim, Tae-Ho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4 no.2
    • /
    • pp.239-251
    • /
    • 2011
  • The need for statistical analysis to discern the existence and the type of international business comovement has increased as business and economic variations in one country is directly transmitted to business and financial market conditions in another without a long lag. This study performs the statistical tests for th locomotive hypothesi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character of the long-run mechanism among Korea-US current and future business movements and the domestic stock market. The U.S. future business prospect, rather than the US current and the domestic current and future business conditions, appears to signi cantl a ect the domestic stock market movement.

현상설계경기 - 판문점 '자유의 집'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8 s.328
    • /
    • pp.102-107
    • /
    • 1996
  • 판문점 '자유의 집' 설계경기 결과가 지난 6월 20일 공식 발표되었다. 조달청이 통일원의 '자유의 집' 개축 결정에 따라 지난 1월 설계를 공모하고 3월 29일까지 총 12개의 작품을 접수받은 결과 주.담건축(오평국)의 안이 당선작으로 선정되었으며, 주.모양건축(곽동희), 한메건축(이충기)안이 우수작으로 선정되었다. 이번 설계경기의 심사는 정명현(홍익대 심사위원장), 이선구(숭실대), 조대성(성균관대), 이호진(건국대)교수와 이준구(남북회담 사무국 실장)씨 등 5명이 맡았다. 당선된 주.담건축의 인은 자유의 집이라는 건물의 특성에 부합하도록 통일을 소망하는 의미로 두 손을 합장한 형태로 하였으며, 지붕은 강토를 수호한다는 취지로 방패연 모양을 형상화하였다. 1층에는 남측출입구와 이산가족 면회실이, 2층에는 남북통로 및 회의실, 3층에는 남북연락사무소와 다목적 예비실, 4층에는 90층 규모의 전망대가 위치할 예정이다. 오는 7월 실시설계안이 확정되면 97년쯤이면 판문점 자유의 집이 통일의 소망을 안고, 단아하고도 힘 있는 모습으로 자리잡을 것이다.

  • PDF

Optimization of spatial zoning for topographical analy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forest (산림생태계 특성의 지형학적 분석을 위한 공간구획의 최적화)

  • Kim, Tae-Min;Choi, Hyun-Ah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201-206
    • /
    • 2008
  • 방위, 경사, 고도 와 같은 지형인자는 생태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환경인자로, 생태현상을 파악 및 예측하기 위해서는 이들 지형인자의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지형인자 분석에 앞서 이용자료의 격자크기를 결정해야한다. 본 연구는 소나무의 공간분포와 출현패턴을 생태학적으로 잘 설명하기 위한 DEM의 최적 격자크기를 제안하고, 궁극적으로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최적의 공간구획방법을 찾고자하였다. 그 결과, 200m의 격자크기를 갖는 DEM은 주능선에 의해 방위를 동, 서, 남으로만 구분한 반면, 1m 격자크기의 DEM은 작은 부능선들에 의해 방위를 동, 서, 남, 북으로 구분하였다. 일정규모 이하의 격자크기에서 소나무는 모든 방위에 나타났지만, 격자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북쪽과 남쪽 사면에서의 출현빈도는 점차 감소하였다. 또한, 200m 격자크기에서의 빈도분석은 육안분석에서처럼 소나무가 주로 서쪽과 동쪽 사면에 출현한다는 것을 보였다. 능선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소나무 출현빈도는 60m이상의 거리를 두고 분석하였을 때, 육안분석과 같이 소나무가 능선주변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Optimization of spatial zoning for analyzing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소나무의 공간분포 특성분석을 위한 공간구획의 최적화)

  • Kim, Tae-Min;Lee, Woo-Kyun;Jung, Sung-Eun;Kwak, Han-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45-452
    • /
    • 2008
  • 생태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환경인자로 방위, 경사, 고도 와 같은 지형인자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생태현상의 파악 및 예측을 위해서는 이들 지형인자의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지형인자 분석에 앞서 이용자료의 격자크기를 결정해야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소나무 공간분포와 출현패턴을 생태학적으로 잘 설명하기 위한 DEM의 최적 격자크기를 제안하고, 궁극적으로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최적의 공간구획방법을 찾고자하였다. 그 결과, 200m의 격자크기를 갖는 DEM은 주능선에 의해 방위를 동, 서, 남 또는 동, 남으로만 구분한 반면, 1m 격자크기의 DEM은 작은 주능선들에 의해 방위를 동, 서, 남, 북으로 구분하였다. 소나무는 일정규모 이하의 격자크기에서 모든 방위에 나타났지만, 격자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북쪽과 남쪽 사면에서의 출현빈도는 점차 감소하였다. 또한, 200m 격자크기에서의 빈도분석은 육안분석에서처럼 소나무가 주로 서쪽과 동쪽 사면에 출현한다는 것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