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원개발역량

Search Result 33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ompetency Theory and Practice for Developing a Extension Competency Model (농촌지도 역량모델 개발을 위한 이론과 실제)

  • Shim, Mi-Ok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5 no.1
    • /
    • pp.75-111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 농촌지도인력 역량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역량의 정의, 역량모델 개발방법,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역량모델 활용 현황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역량은 사용되는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서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어 사전적인정의와 다양한 연구자들의 역량의 정의에 대한 이론, 특정한 조직이나 직업군에서 사용되고 있는 역량의 정의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역량은 개인의 역할 수행과 직무성과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훈련과 개발을 통하여 개선되어질 수 있는 관련된 지식, 기술, 태도의 집합체로 정의하였다.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방법도 다양한데, 초기단계에서는 탁월한 직원과 일반직원의 특정한 업무추진사례를 인터뷰와 관찰을 통하여 분석하여 이들 간에 차이를 가져오는 특성이나 행동을 추출하는 직무역량진단법이 주로 활용되었다. 이 방법에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어 이를 간소화한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었다. 또한 기존 직원 특성 분석보다 다양한 정보원과 미래에 대한 가정을 활용하여 바람직한 직무 결과와 역량, 역할을 추출하는 방법도 개발되었으며 직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적인 특성상 이런 방법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런 다양한 방법 중 역량 모델을 활용할 직무나 조직의 특성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역량모델을 활용한 인적자원개발을 통하여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조직에서도 효율적인 직원 역량 개발, 개인과 조직의 성과 향상 등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 농촌지도조직에서도 지도인력 역량 개발과 지도사업의 효율성을 향상을 위하여 역량모델을 개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 PDF

Convergence of Social Workers' Resource Development Capabilit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Fusion Age (융합시대를 위한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융합연구)

  • Kim, Jeoung-Yeoul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2
    • /
    • pp.45-50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135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hasize the enhancement of resource development capac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ocial work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attitude of resource development competency has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knowledge has a static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value and technology have no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value and knowledge of resource development competenc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ttitude and technology have nega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value of resource development competence did not affect turnover intention and attitude had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echnolog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Knowledge has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s. Therefore, if we try to increase the value, attitude, technology, knowledge, which is the resource development capacity of social worker, the degree of intention to go down or leave work is rising,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needs to be supported and endeavored to improve it.

A Study on the Effects of SEMs R&D Capabilities and Resource Allocation Capabilities on Product Performance (중소제조기업의 연구개발역량과 자원배분역량이 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

  • Jong-Seo Jung;Young-Wook Seo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8 no.1
    • /
    • pp.69-82
    • /
    • 2023
  •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R&D capabilities and resource allocation capabilities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and the effect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n product performance. The effect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was verified by using commercialization speed, market scope, and technology breadth as variabl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employees of SMEs companies, and the model and hypotheses of the study were verified using SPSS 25 and Smart PLS 3.0. It was confirmed that R&D capabilities and resource allocation capab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pany's product performanc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engthening a company's R&D capabilities and resource distribution capabilities from a resource-based perspective expand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such as commercialization speed, market scope, and technology breadth, and strengthening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affects product performance of a company. It is meaningful in providing implications for the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of companies by revealing the impact.

A Study on the Capabilities of Developing New Products and the Sources of Ideas by the Types of Firms (기업형태에 따른 신제품 개발역량과 아이디어의 원천)

  • Park, Sun-Young;Park, Hyun-Woo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9 no.3
    • /
    • pp.412-434
    • /
    • 2006
  • Investigation into the sources of firms' idea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capabilities of developing new products determine the competitiveness of a firm. This study aims at drawing th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in terms of the autonomy and the size of firms.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s how the capabilities of developing new products and the sources of ideas are different by the types of firms. More concretely, it compares differences in the capabilities of developing new products between types of firms, and in the sources of idea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between internal sources and external sources.

  • PDF

Linking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Cases Focused on the Competency/Career Development (지식경영과 인적자원개발의 연계: 역량/정력 개발과의 연계 사례들을 중심으로)

  • Hong, Jin-Won;Ku, Tristan;Suh, Woo-Jong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0 no.3
    • /
    • pp.65-87
    • /
    • 2008
  • Knowledge management is an innovation paradigm to improve organizations competitiveness by strengthening organization's knowledge competency. Most organizations which have implemented knowledge management have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in improving organization's knowledge competency, and so they have strived to find solutions. For the problems, it may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approach to link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is study introduces two real cases adopting such approach focusing on competency development and career development which are primary area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presents a model structuring core mechanisms which can be found in the cases. The model focuses on creating synergy effects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nd workforces' competency development. The cases and the model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enhancing organizational competency and the performance of knowledge management.

신임 해상교통관제사의 역량모델 개발

  • Jang, Eun-Gyu;Kim, J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289-289
    • /
    • 2018
  • 해상교통관제사의 역량기반 교육훈련의 실시를 위해 개인의 역량을 파악하고 조직이 요구하는 수준에 대하여 개인에게 필요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해상교통안전을 증진시키고 조직 내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를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임 해상교통관제사의 역량기반 교육훈련 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npetency Standards)과 IALA 권고서 V-103/1에서 제시된 해상교통관제사의 직무역량을 통합하여 하나의 역량모델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 PDF

신제품 개발조직의 지식역량 향상에 관한 연구

  • 김형준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 no.4
    • /
    • pp.47-75
    • /
    • 1999
  • 지식사회, 지식경제의 등장과 더불어 기업의 자원으로서 지식(knowledge)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마케팅 전략의 한 분야로서의 신제품 전략에서도 신제품 개발과정에 있어 기업(혹은 신제품 개발 팀)의 지식과 지식의 활용 능력을 어떻게 확장할 것인가가 중요한 전략적 이슈(issue)가 된다.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불확실성-시장 불확실성과 기술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정보와 지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기업내의 다양한 조직-특히 R&D, 생산, 마케팅-과의 지식공유·통합과정이 중요시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기업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제품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이 신제품 개발(New Product Development; NPD)과정이며 구체화 과정에서 개발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둘째, 기존의 신제품 성과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많은 요인들을 '지식역량(knowledge competence)'의 개념으로 정리하고 이러한 지식 역량과 신제품 경쟁우위 간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신제품 경쟁우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셋째 신제품 개발조직의 지식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 기업을 지식의 결집체로 인식하고 있는 지식거점관점(knowledge based perspective)과 이러한 지식자원의 활용에 초점을 맞춘 조직학습(organizational learning) 이론 그리고 심리학에서 다루고 있는 분산된 인지이론(distributed cognition theory)을 활용한다.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Integration Capability of Product Development and Quality Management upon the Success of the Localization of Weapon System (제품개발과 품질경영 통합 역량이 무기체계 국산화 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eung, Chang-Gyun;Yang, Hae-Soo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9
    • /
    • pp.89-100
    • /
    • 2012
  •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whether the integration of product development and quality management have influence on the success of localization of weapon system. To that end, empiric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on a total of 110 systematic major defense contractors, their subcontractors and small-and-medium sized defense contractors. The result shows that success of the localization of weapons system, as well as the price of localization, manufacturing time, and quality turn out to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actors of quality management capabilities including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apability, organizational capability and process capability and R&D development factors including human resources capabilities, capability to accumulate technology and internal/external collaborative capabilities. To sum up,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gration of quality management and product development continuously provides a competitive strength in developing new product by a non-defense company as well as localization of core parts of weapon system.

Analysis on Resources technology's demands based on Customer needs' Factors (고객요구 속성에 기반하는 자원기술 수요 도출 연구)

  • Lee, Ok-S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319-322
    • /
    • 2012
  • 초기 기술개발주체는 일원적인 기술진보 방향을 따랐으나 R&D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고객요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하지만 3세대 R&D와 같이 고객수요에만 중심을 둘 경우 기술혁신을 꾀하기 힘들어, 현재 보유한 기술개발역량 분석을 바탕으로 시장요구를 이해하고 다른 기술개발주체와 협력할 수 있는 기술투자전략이 요구된다. 광물자원, 에너지자원 기술과 같이 산업경제 및 국민 삶과 직결된, 경제사회 문제해결형 자원기술 개발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증대하지만 공적 목표와 기술목표를 결합하는 것이 쉽지 않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론 제시가 필요하다. 즉 효과적인 기술개발 우선순위 및 기술개발 투자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기술개발역량 분석뿐만 아니라 정확한 고객수요 분석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고객요구 속성을 고려한 사회적 기대 도출방법을 활용하여 3단계 수준의 자원기술 수요를 도출하였으며 수요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3년후/5년후의 수요중요도를 측정하였다.

  • PDF

Exploring Competencies of Professors in NCS (직무능력표준 운영을 위한 교수자 역량 탐색)

  • Kim, ji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69-170
    • /
    • 2016
  • 평생학습사회를 지향하는 교육정책이 고등교육의 변화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그 중심에 국가직무능력표준이 있으며, 교육과 산업현장에 필요한 역량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다양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NCS의 연구가 교육과정개발 사례에 초점을 두고 있는 한계점을 지적하며, 지속가능한 NCS의 운영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전문가인 교수자에 두고 논의한다. 이를 위해 교수자의 역할과 역량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직무역량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자질을 인적자원개발(HRD)관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