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외선 형광반응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6초

새로운 $Tb^{3+}$ 이온 활성 축광성 형광체의 발광 특성 (Luminescence properties of a new $Tb^{3+}$ ion activated long persistent phosphor)

  • 박병석;최종건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0-134
    • /
    • 2009
  • 새로운 $CaZrO_3$, 축광성 형광체를 고온의 약한 환원 분위기에서 전통적인 고상반응법으로 합성하였다 광발광 분석 결과 $Tb^{3+}$ 이온을 첨가한 $CaZrO_3$ 축광성 형광체는 $^5D_3$, $^5D_4$ 에너지 준위에서 $^7F_1{\sim}^7F_6$ 준위로의 전이에 의해 황녹색의 발광을 나타내며, 고온의 질소분위기에서 합성한 경우의 축광성 형광체에 대한 스펙트럼의 주 피크는 $^5D_4{\rightarrow}^7F_5$ 전이에 의한 542 nm의 발광 피크가 생성되었다. $CaZrO_3:Tb^{3+}$ 축광성 형광체의 잔광 발광 스펙트럼은 좁은 영역의 546 nm의 피크가 강하게 생성되었다 잔광 휘도는 254 nm 자외선을 조사하고 전원을 끈 후에 측정하였으며, 녹황색의 축광성 형광체가 사람이 어두운 곳에서 인지 가능한 $0.32\;mcd/m^2$까지 8시간 지속됨을 관찰하였다.

Zn$_2$SiO$_4$:Mn 녹색형광체의 입도제어 및 발광특성 (Control of Particle Size and Luminescence Property in Zn$_2$SiO$_4$:Mn Green Phosphor)

  • 성부용;정하균;박희동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8호
    • /
    • pp.636-640
    • /
    • 2001
  • PDP용 녹색 형광체의 발광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고안된 액상의 화학적 합성법을 사용하여 조성식이 $Zn_{2-x}$ $SiO_4$:xMn(x=0.05, 0.08)인 형광체를 입자크기가 0.5~2$\mu\textrm{m}$로 조절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형광체 입자는 구상이며 잘 분산된 형상을 봉주었고, 고상반응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1080^{\circ}C$에서 willemite구조의 단일상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진공 자외선 영역의 147 nm의 여기원을 사용하여 광발광 특성을 조사하였다. 입자의 크기가 1$\mu\textrm{m}$이고 Mn의 도핑양이 8mole%일 때, 상용 형광체와 비교하여 발광세기는 약 40% 향상되었고 색좌표는 x=0.24, y=0.69로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측정된 형광체의 잔광시간은 7.8ms이었다.

  • PDF

Zn$_2$SiO$_4$:Mn 녹색형광체의 입도제어 및 발광특성 (Control of Particle Size and Luminescence Property in Zn$_2$SiO$_4$:Mn Green Phosphor)

  • 성부용;정하균;박희동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8호
    • /
    • pp.363-363
    • /
    • 2001
  • PDP용 녹색 형광체의 발광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고안된 액상의 화학적 합성법을 사용하여 조성식이 $Zn_{2-x}$ $SiO_4$:xMn(x=0.05, 0.08)인 형광체를 입자크기가 0.5~2$\mu\textrm{m}$로 조절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형광체 입자는 구상이며 잘 분산된 형상을 봉주었고, 고상반응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1080^{\circ}C$에서 willemite구조의 단일상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진공 자외선 영역의 147 nm의 여기원을 사용하여 광발광 특성을 조사하였다. 입자의 크기가 1$\mu\textrm{m}$이고 Mn의 도핑양이 8mole%일 때, 상용 형광체와 비교하여 발광세기는 약 40% 향상되었고 색좌표는 x=0.24, y=0.69로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측정된 형광체의 잔광시간은 7.8ms이었다.

스컬용융법에 의한 CaZrO3:Pr3+ 형광체 합성 및 특성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aZrO3:Pr3+ phosphor by skull melting method)

  • 최현민;김영출;석정원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228-232
    • /
    • 2021
  •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는 Ca1-xZrO3:xPr 형광체를 스컬용융법으로 합성하였다. 합성한 형광체의 결정구조, 형태 및 광학적 특성은 XRD, SEM, 자외선 형광반응 및 광발광을 통해 분석하였다. XRD 측정에서는 CaZrO3:Pr3+의 단결정이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사방정계로 분석되었다. 합성된 형광체는 254 nm의 UV 광에 의해 여기 될 수 있고 방출 스펙트럼 결과는 506, 536 및 548 nm에서 전하전이 3P03H4, 3P13H53P03H5로 인해 CaZrO3:Pr3+는 녹색 발광이 우세하였다.

설태의 자외선 형광 반응을 이용한 설태 영역 추출 (Coated Tongue Region Extraction using the Fluorescence Response of the Tongue Coating by Ultraviolet Light Source)

  • 최창열;이우범;홍유식;이상석;남동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81-18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한방 의료의 설진에서 진단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설태 영역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설태의 자외선 광원에 의한 형광 반응 특성을 이용하여 기존의 설태 추출 방법의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진료 환경의 제약성 및 진료 결과의 객관성 부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처리 과정으로는 자외선 광원을 사용하여 설진 영상을 획득하고, 설질(Tongue body)과 설태(Tongue coating) 영역의 색차 크기에 상응하는 히스토그램(Histogram) 상의 골-포인트(Valley-points)를 임계 처리하여 이진화(Binarization)를 수행한다. 최종적으로 설진을 위하여 한의사에게 제공되는 진단 영상은 이진 영상에 케니-에지(Canny-Edge)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설태 윤곽 정보를 추출한 후에 환자의 원 혀 영상에 부과하여 제시한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혀 영상을 수집하고, 한의사가 수작업으로 설정한 설태 영역을 참영상(True image)으로 하여 제안한 방법으로 추출한 설태 영역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안한 방법은 87.87%의 추출률을 나타냈으며, 추출된 설태 영역의 형태 유사도도 높게 나타났다.

Rutile-$TiO_2$를 이용한 Mordant Yellow-12의 광촉매 분해반응 (Photocatalytic Destruction of a Mordant Yellow-12 Using Rutile-$TiO_2$)

  • 김창석;최인원
    • 분석과학
    • /
    • 제13권5호
    • /
    • pp.646-651
    • /
    • 2000
  • $TiO_2$ 촉매 하에 염료 Mordant Yellow-12를 광촉매 분해하였다. 이때 사용한 광원은 각각 15-W, 21-W와 26-W 형광 램프를 이용하였다. 분해 정도는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기와 pH 메타를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반응 1시간 후에 각 광원에 따라 각각 17%, 24%, 34% 이상의 분해를 보였고 완전히 분해되는데는 각각 3, 4, 5시간 걸렸다. pH의 변화는 흡광도의 변화와 같이 급격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분해 반응 속도는 15-W 보다 26-W에서 2배의 빠를 분해 반응속도를 보였다.

  • PDF

중파자외선에 대한 남극산 해조류의 광합성 및 자외선 흡수물질 형성 반응 (Photosynthesis and Formation of UV-absorbing Substances in Antarctic Macroalgae Under Different Levels of UV-B Radiation)

  • 한태준;박병직;한영석;강성호;이상훈
    • 환경생물
    • /
    • 제20권3호
    • /
    • pp.205-215
    • /
    • 2002
  • 남극에 생육하는 5종의 홍조류(Curdiea racouitzae, Gigartina skottsbergii, Mazzaella obovata, Myriogramme manginii, Palmaria decipiens)를 대상으로 인공 중파 자외선과 태양광선에 대한 종별 생리적 반응을 광합성이라는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실험실연구 결과, 종간에 중파 자외선에 대한 내성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각 종들이 채집되기 전에 서식하고 있었던 수심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20-30m의 수심에서 채집된 M. manginii와 P. decipiens의 자외선 내성이 다른 종들에 비하여 작게 나왔다. 본 연구 결과는 서식지 주변의 광환경이 해조류의 자외선 내성을 결정해 주는 한 요인이라는 가설을 입증해주었을 뿐 아니라 형광 변화를 이용한 광합성 측정법은 자외선 내성을 타진하는데 있어서 매우 신속하고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두 종의 흥조류(M. manginii, P. decipiens)를 대상으로 태양광선 하에서의 광합성 효율을 관찰한 결과, 정오에 최저 광합성을 보인 반면 저녁에는 광합성 능력이 회복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같은 동적인 광저해 현상(dynamic photoinhibition)은 일종의 광적응 능력으로서 식물이 비교적 강한 태양광선에 노출된 지역에 성공적으로 서식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태양광선내 중파자외선 포함 유무에 따라 광합성 회복 속도에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중파자외선이 포함된 태양 광선 하에서는 광합성의 회복이 느린 반면, 중파 자외선이 제거된 조건에서는 광합성이 비교적 빨리 회복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는 중파 자외선이 광합성 회복 기작을 지연시키는 작용을 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야외에서 자외선 민감성을 비교한 결과, P. decipiens가 M. manginii에 비하여 자외선 내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두 종 공히 조간대로부터 조하대 상부까지 서식하는 종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내성차이를 보인 이유는 자외선 흡수물질의 정량적인 차이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M. manginii와 P decipiens에서 발견된 자외선 흡수물질의 양은 약 1:2 정도의 비율을 보였는데 이러한 정량적 차이가 자외선 민감성에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계절별 그리고 채집 수심별로 자외선 흡수물질의 정량적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태양광선이 풍부한 여름철에 그리고 고광량이 도달되는 수심 얕은 곳에 서식하는 개체가 더욱 많은 양의 자외선 흡수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졸-겔법으로 제조한 Zn2SiO4:Mn, M(M=Cr, Ti) 녹색 형광체의 발광특성 (Luminescence Properties of Zn2SiO4:Mn, M(M=Cr, Ti) Green Phosphors Prepared by Sol-gel Method)

  • 안중인;한정화;박희동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637-643
    • /
    • 2003
  • PDP(Plasma Display Panel)용 녹색 형광체의 발광특성과 결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Zn$_2$SiO$_4$:Mn에 co-dopant로 Cr과 Ti 를 각각 첨가하여 졸-겔법으로 합성하였다. 이렇게 합성된 Zn$_2$SiO$_4$:Mn, M(M=Cr, Ti) 형광체는 고상반응의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110$0^{\circ}C$에서 willemite 구조의 단일상이 형성되었다. 제조된 Zn$_2$SiO$_4$:Mn, M(M=Cr, Ti) 형광체에 대하여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VUV) 영역의 147 nm 여기광원을 사용하여 발광특성을 조사하였다. Co-dopant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Mn의 농도는 2 ㏖%, $H_2O$/TEOS의 비율은 36.1로 고정하였고, 이때 Cr과 Ti 모두 0.1 ㏖%에서 가장 좋은 발광특성을 나타냈다. Cr이 co-doping된 경우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잔광시간은 짧아지나 발광강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Ti를 co-doping했을 때는 오히려 낮은 농도에서 발광강도의 증가를 보이며 2.0 ㏖%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Aflatoxin 존재하에서의 수용액중 Malonadehyde 의 광화학적 변화 (Photochemical Changes of Malonaldehyde by the Presence of Aflatoxins in Model Systems)

  • 권태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5-50
    • /
    • 1969
  • 자외부흡광 스펙트럼의 변화와 티 비 에이(TBA) 반응으로 살필 때, 수용액의 송에서의 말론알데하이드(malonaldehyde)는 과장 $260m/{\mu}$ 부근의 자외선조명에 의하여 광화학적 변화를 받는다. 이 용액에 아프라톡신(aflatoxin) 을 가하면 파장 $360m/{\mu}$ 부근의 광선에 의해서 이와 같은 변화가 재빨리 일어나며, 또 보통 형광등을 이용한 실험실의 조명에 의해서도 비록 그 변화는 느려지지만 마찬가지로 일어난다. 이과 같은 변화는 비가역적이며, 이 반응에서 아프라톡신은 다만 감광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 이 반응의 기작은 말론알데하이드 분자의 평행적 이중결합체 형성에 의한 것 같다.

  • PDF

$Tb^{3+}$ 와 Eu^{3+}$로 활성화시킨${Al_3}{GdB_4}{O_{12}}$ 형광체의 발광 특성 (Photoluminance Properties of ${Al_3}{GdB_4}{O_{12}}$ Phosphors Activated by $Tb^{3+} and Eu^{3+}$)

  • 김기운;강세선;이임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9-54
    • /
    • 2000
  • PDP용의 새로운 녹색 $Al_3GdB_4O_{12}:Tb^{3+} 형광체와 Al_3GdB_4O_{12}:Eu_{3+}$ 적색형광체를 제조한 후 광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형광체의 발광특성을 상용품인 $Zn_2SiO_4:Mn^{2+}$ 녹색 형광체와 $(Y,Gd)BO_3: Eu^{3+}$ 적색의 PDP 형광체와 상호 비교하였다. 형광체는 $1150^{\circ}C$에서 4시간 동안 공상 반응으로 제조하였다. 147nm의 진공자외선 조사시 $Al_3GdB_4O_{12}:Tb^{3+}$(15mol%) 녹색 형광체의 발광휘도는 상용품 $Zn_2SiO_4: Mn^{2+}$ 보다 증가하였으나 색좌표는 상대적으로 저하되었다. 한편 $Al_3GdB_4O_{12}:Eu^{3+}$(15mol%) 적색 형광체의 발광 휘도는 상용품$(Y,Gd)BO_3: Eu^{3+}$ 보다 작았으나 CIE 색좌표는 일부 개선되었다. $Al_3GdB_4O_{12}$ 형광체는 $\lambda=160nm$에서 모체 흡수에 의한 강한 여기밴드가 있으며, 진공자외선 영역에서 $Al_3GdB_4O_{12}:Tb^{3+}$ 녹색형광체의 여기강도는 $Zn_2SiO_4: Mn^{2+}$ 보다 컸으나 $Al_3GdB_4O_{12}:Eu^{3+}$ 적색 형광체의 여기강도는 $(Y,Gd)BO_3: Eu^{3+}$ 보다는 작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