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아 존중 감

검색결과 1,868건 처리시간 0.032초

중학생의 정서적 외상경험이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Emotional Trauma to Internet·Smart Phone Addic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 최은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75-38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정서적 외상경험이 인터넷 스마트폰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정서적 외상경험을 독립변인, 자아존중감을 조절변인, 인터넷 스마트폰중독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조절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645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외상경험, 자아존중감, 인터넷 스마트폰중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외상경험은 자아존중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인터넷 스마트폰중독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정서적 외상경험과 인터넷 스마트폰중독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의 수준에 따라 정서적 외상경험과 인터넷 스마트폰중독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정서적 외상경험이 인터넷 스마트폰 중독의 원인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정서적 외상경험의 부정적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자아존중감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문화예술관람이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Culture and Arts Viewing Activities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 김준;최배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45-557
    • /
    • 2018
  • 본 연구는 문화예술관람이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예술관람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문화예술관람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문화예술관람이 자아존중감의 매개를 통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한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에 각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할당 표본 추출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기간은 2018년 6월 18일부터 6월 30일까지 13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서울지역에서 224부 회수, 대구지역에서 181부 회수, 부산지역에서 199부가 회수되어 전체 60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예술관람을 많이 할수록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예술관람을 많이 할수록 삶의 만족도도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문화예술관람을 많이 할수록 자아존중감의 매개를 통해 삶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간접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피해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and grit between human rights victimization and self-esteem)

  • 이창식;박지영;난제 바코마 다니엘;실비아 엔곤데;아쿠네 페이쓰;메디키 어거스틴 에보카;마 엔수메 파멜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15-21
    • /
    • 2017
  • 본 연구는 인권피해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는 임의표집한 대학생 233명을 대상으로 설문으로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 분석 및 Macro Process을 수행하였고,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랩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피해는 자아존중감, 성장 마인드셋, 그릿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자아존중감은 성장 마인드셋 및 그릿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Macro Process를 이용한 경로분석 결과 인권피해는 자아존중감, 성장 마인드셋 및 그릿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은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은 인권피해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권 피해를 당한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을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초등학생의 방과후교실 이용 여부에 따른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의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Differences and Effect of After-School Class Experiences on Elementary Students' Sociality and Self-Esteem)

  • 박경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45-56
    • /
    • 2014
  • 본 연구는 현재의 방과후교실이 아동의 사회성 및 자아존중감 발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입장에서 방과후 교실을 이용하는 아동과 이용하고 있지 않은 아동의 사회성 및 자아존중감을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방과후교실을 이용하는 아동과 이용하지 않는 아동의 사회성에 관한 차이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방과후 교실을 이용하고 있는 아동이 이용하고 있지 않은 아동보다 사회성이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아동의 방과후교실 이용 여부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방과후교실을 이용하고 있는 아동이 이용하고 있지 않는 아동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방과후교실을 이용하는 아동의 사회성이나 자아존중감이 이용하지 않은 아동에 비해 낮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방과후교실을 이용하는 아동의 사회성이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방과후교실이 아동의 안전한 보호와 지도 등 본래의 목적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을 높여주고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도입이 시행되어야 하겠다.

식생활 교육활동이 교육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Dietary Education Activity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Self-Respect)

  • 한지수;김성수;고미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6-250
    • /
    • 2015
  • 본 연구는 식생활 교육활동과 교육만족도를 학력증진, 심리-정서발달로, 자아존중감으로 구성하였으며, 식생활 교육 지식 정도, 교육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한 부문인 식생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식생활 교육에 대한연구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식생활 교육활동이 교육만족도 중 '학력증진', '심리-정서발달'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만족도 중 '학력증진'과 '심리-정서발달'은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생활 교육활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식생활 교육활동은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정뿐 아니라, 학교 교육과정,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식생활 교육을 실시하여, 단순한 지식의 전달이 아닌 청소년들의 식에 대한 올바른 지식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하며, 이를 통한 자아존중감이 형성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일부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with Depressive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 지은미;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996-3006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 가정생활, 학교생활 및 건강관련행위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및 우울수준을 파악하고, 특히 자아 존중감 및 사회적지지와 우울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 충청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47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3년 4월 23일부터 약 2주에 걸쳐 표준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에 따른 우울 수준은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p=0.000), 사회적지지가 낮을수록(p=0.000) 우울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조사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는 우울수준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조사대상자들의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체형에 대한 스트레스 유무, 주관적인 경제 상태, 공부시간,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지지가 유의한 요인으로 지적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3.8%이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조사대상 대학생들의 우울수준은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특히 우울수준은 사회적지지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운동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이 기본 심리욕구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on Self-esteem of the Exercise Participants)

  • 이건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490-498
    • /
    • 2016
  • 본 연구는 운동 참여자의 자아 존중감이 기본 심리욕구 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2014년 J도의 시지역에서 운동 참여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27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회수된 설문지는 Windows용 SPSS version 21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변인 간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영향력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 참여자의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기본 심리욕구 만족의 하위요인인 유능성, 관계성, 자율성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유능성, 관계성, 자율성에서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둘째, 운동참여자의 유능성, 자율성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서 정적(+)인 영향을, 부정적 자아존중감에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성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서 정적(+)인 영향을, 부정적 자아존중감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 참여자들이 운동을 지속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높여주고 참여자들의 기본적 심리욕구 충족에 대한 다양한 운동프로그램과 전략적인 지도활동이 전개될 필요가 있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안 (Self-Esteem and Stress-Coping Strategies of the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Public Health)

  • 유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25-236
    • /
    • 2009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대처방안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교생활과 진로지도에 관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호남지역에 위치한 6개의 보건계열 학과에 재학중이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대처 방식을 포함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기기입식 응답법으로 2008년 11월 1일부터 12월 21일까지 하였다.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들 중 자아존중감과는 종교가 있는 경우와 교우관계가 매우 원만한 경우에 높은것으로 나왔으며,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안과는 학년과 어머니의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안과는 종교가 있는 경우와 군지역에 거주하는 경우에 적극 활용한 것으로 나왔다. 적극적 스트레스대처(문제중심과 사회적 지지)가 잘 될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으며, 소극적 대처(정서완화와 소망대처)가 잘 될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와, 대학생들의 전반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안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보건계열 대학생들이 학업과 실습, 취업 등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안을 모색 할 있도록 자아존중감 향상 커리큐럼을 대학 정규 교육과정에 마련하고 학생 상호간의 유대관계 향상과 지도교수와 학생간의 정서적 교류체계를 형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리라 사려된다.

재활치료 중인 뇌졸중 환자의 자아존중감, 재활동기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elf-esteem, Rehabilitation Motivation on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eints with Rehabilitation Therapy)

  • 안은서;서순림;김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76-187
    • /
    • 2019
  • 본 논문은 재활전문기관에서 치료 중인 뇌졸중 환자의 자아존중감, 재활동기와 삶의 질의 정도를 조사하고, 제 변수들의 상관관계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16년 2월 22일부터 3월 20일까지 뇌졸중으로 입원 또는 통원 치료중인 환자 216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평균 3.09/5점, 재활동기는 3.60/5점, 그리고 삶의 질은 2.95/5점이었으며, 삶의 질은 자아존중감(r=.45, p<.001), 재활동기(r=.27,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삶의 질에 대한 예측변수로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일반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 간병인 유무, 직업유무와 질병 특성인 발병기간, 장애정도, 인지기능 그리고 자아존중감, 재활동기를 예측변수로 분석한 결과, 삶의 질에 대한 설명력은 일반적 특성, 질병 특성과 자아존중감, 재활동기를 모두 포함한 모형 3에서 43.6%(F=14.87 p=<.001)였으며, 회귀분석 결과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자아존중감, 발병기간, 장애정도(의존적), 인지기능이었다. 장기간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자아존중감이 중요한 요인을 알 수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의 증진으로 성공적인 재활을 도모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고령여성의 발레운동 참여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여가만족 및 삶의 질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omen's Participation of a Ballet Program)

  • 박선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61-170
    • /
    • 2020
  • 이 연구는 고령여성들의 발레운동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여가시간 활용에 대한 만족도 증대와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G광역시의 10개 무용 학원에 등록한 여성고령자 148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여가만족, 삶의 질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자료처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자아존중감과 여가만족 및 삶의 질 간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 결과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여가만족의 하위요인 모두와 삶의 질 하위요인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여가만족의 신체적 만족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 여가 만족의 사회적 만족과 삶의 질의 건강요인, 심리적 요인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여가만족 및 삶의 질 변인 간 연구모형의 적합도 가설검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여가만족과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여가만족이 높을수록 삶의 질 요인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고령여성의 발레운동 프로그램 참여는 고령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여가만족 및 삶의 질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꾸준한 신체 활동을 통한 발레운동은 고령자의 노후에 질병예방 및 건강증대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