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s of Culture and Arts Viewing Activities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문화예술관람이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준 (호산대학교 뮤지컬과) ;
  • 최배석 (단국대학교 문화예술학과)
  • Received : 2018.09.10
  • Accepted : 2018.10.25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ulture and arts viewing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o put it concrete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ulture and arts viewing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it examines whether the indirect effect of culture and arts viewing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esteem is significant.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quota sampling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250 questionnaires in Seoul, Daegu and Busan metropolitan cities, respectively.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13 days, from June 18 to 30, 2018. A total of 604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ince 224, 181 and 199 responses were respectively collected from Seoul, Daegu and Busan.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showed that self-esteem increased with more culture and arts viewing and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more culture and arts viewing activities. The study results also showed that life satisfaction increased with higher self-estee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indirect effect of increased culture and arts viewing on higher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esteem is significant.

본 연구는 문화예술관람이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예술관람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문화예술관람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문화예술관람이 자아존중감의 매개를 통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한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에 각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할당 표본 추출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기간은 2018년 6월 18일부터 6월 30일까지 13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서울지역에서 224부 회수, 대구지역에서 181부 회수, 부산지역에서 199부가 회수되어 전체 60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예술관람을 많이 할수록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예술관람을 많이 할수록 삶의 만족도도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문화예술관람을 많이 할수록 자아존중감의 매개를 통해 삶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간접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황향희, 정현국, 강종학, "중국 여가 동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2권, 제1호, pp.319-330, 2013.
  2. 서혜정, 직장인의 문화예술 여가활동 참가가 여가만족과 직무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기업지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 김승현, 여가활동 참여 대학생들의 여가정체성 및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용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4. 김창연, 문화가 있는 날의 문화예술 관람동기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5. 유대우, 중.고령자의 여가문화 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6. 이민영, 문화예술 활동이 중년 여성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성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7. 문화체육관광부, 2016 국민여가활동조사, 2016.
  8. 김윤정, 청소년의 문화예술 활동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9. N. McCarty, "The Appointments Dilemma,"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48, No.3, pp.413-428, 2004. https://doi.org/10.1111/j.0092-5853.2004.00078.x
  10. 김소정, 청소년 문화예술활동 만족도가 내면화 문제행동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1. 장보민, 문학 중심의 융합 문화예술교육 효과: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2. 오은경, 원예치료가 주간보호센터에서 뇌졸중 후 편마비 및 퇴행성관절염 어르신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3. 임정순, "여가활동프로그램이 농촌여성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농촌간호학회지, 제2권, 제2호, pp.120-126, 2007.
  14. 정용, "음악을 활용한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입원노인의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제15권, 제3호, pp.75-84, 2009.
  15. 안영희, "음악.동작치료 프로그램이 만성질환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제28권, pp.69-81, 2012.
  16. H. Read, Erziegung durch Kunst, Droemer : Muunchen, 1968.
  17. J. Dewey, Art as experence, 이제언 역, 경험으로서의 예술, 서울 : 책 세상, 2003.
  18. 박은영, 한국의 미술교육 정책 분석 연구,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19. 박은희, 한국 성인들의 예술문화소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0. 박미현, 중년여성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1. 이재연, 중년여성의 한국무용 공연 참여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2. 방현미,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3. 양보람,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계발활동 무용수업 참여정도가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4. 이인숙, 음악치료 프로그램 적용이 학습부진아의 자신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5. 최현묵, 문화예술교육이 문화복지로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6. 하미경, 윤동열, "문화예술학습활동이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및 개방성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0권, 제5호, pp.157-177, 2013.
  27. 송병식, 문화적 여가활동 참여유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 강남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8. 조복희, 정옥분, 유가효, 인간발달, 서울 : 교문사, 1998.
  29. M. Ros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_image, Princeton, NJ:Princeton, 1965.
  30. S. Coopersmith,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H. Freeman, 1965.
  31. 최병철, 음악치료학, 서울:학지사, 2006.
  32. 최소림, 노래를 중심으로 한 집단음악치료 활동이 장애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불안감소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3. 지명원, 조태영,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여가만족,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제36권, 제6호, pp.145-165, 2012.
  34. 김혜수,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적응 매개효과, 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5. 김현종, 예술인파견지원 사업 참여예술인의 직무만족감,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36. 박혜미, 직장인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7. 권한경, 중년여성이 인지하고 있는 삶의 질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8. 원경혜,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변인 분석 : 주관적 건강인식의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9. 최태을, 도시지역 베이비붐세대의 노후준비 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40. 이설림,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1. 김양순,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2. 김영길, "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4권, 제1호, pp.44-55, 2008.
  43. 하유진, 자아 존중감 및 내외 통제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20, 30대 성인 남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4. 양명순, 자아해석 양식과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의 안정성의 매개 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5. 정봉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6. 이주영,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47. 조수정,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성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8. 박윤진,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9. 박지연, 자아 존중감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0. R. J. Havighurst, Personality and patterns of aging, The Gerontologist, 1968.
  51. M. J. Sigy, "The quality-of-life (QOL) research movement: Past, present, and future,"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76, No.3, pp.343-466, 2006. https://doi.org/10.1007/s11205-005-2877-8
  52. 위세아, 노숙인의 문화여가활동이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통합감의 매개효과-,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3. 정명숙, 강석임, "시설거주 정신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24권, pp.81-108, 2010.
  54. 조성자, 노년기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55. 최은화,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56. 강윤아, 부모 및 자녀 삶의 만족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인과관계 분석: 잠재성장모형, 잠재계층 분석, 잠재전이분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57. 김응경, 기혼여성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천안과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8. 전병제, 자아존중감; 측정검사, 연세논총, 1974.
  59. 윤석주, 전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양육태도의 조절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60. B. C. Diner, P. J. Holcomb, and R. A. Dykman, P300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Psychiatry Research, 1985.
  61. 이원남, 발달장애 성인자녀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사회적 지지, 가족탄력성,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62. 김계수,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2008.
  63. 김대업, Amos A to 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파주시: 학현사, 2008.
  64. 이학식, 임지훈,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7.0, 파주시: 법문사, 2008.
  65.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