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Project Contents and Expected Effects of Urban Regeneration Pilot Projects

도시재생 선도지역의 사업내용 및 기대효과 유형 분류 및 분석 -근린재생형 도시재생 선도지역 마중물 사업을 대상으로-

  • 배민경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시계획및교통공학과) ;
  • 박승훈 (계명대학교 도시계획학전공)
  • Received : 2018.08.20
  • Accepted : 2018.10.17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Urban regeneration is a project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ntents and expected effect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is study, we classified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expected effects of the 11 neighborhood urban regeneration pilot projec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regeneration is the most popular in terms of project contents, and social approach is the most typical for the expected effects. Second, the project of social regeneration is mainly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residents. Third, the most expected effect of physical regeneration was about the improvement of landscape. Fourth, the most expected effect of social regeneration was the contents of residents' participation. Finally,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rojects that can expect a combination effects rather than a single effect.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projects that can have various effect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competitive urban contents.

도시는 다양한 콘텐츠를 담고 있는 유기적 존재로써 특히 최근에 관심을 받고 있는 도시재생은 콘텐츠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따라서 도시의 경쟁력 있는 콘텐츠 개발을 위해 도시재생 사업의 내용과 기대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1곳의 근린재생형 선도지역의 마중물 사업의 사업내용과 기대효과를 유형화하고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중물 사업의 사업내용은 물리적 재생이 가장 많으며 기대효과는 사회적 효과가 가장 많았다. 둘째, 사회적 재생의 사업은 주민의 역량강화를 위한 사업이 주를 이룬다. 셋째, 물리적 재생의 기대효과에서는 경관개선에 관한 기대효과가 많았으며, 넷째 사회적 기대효과에서는 도시재생의 기본 개념인 주민참여에 관한 내용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일 효과보다는 사업의 효과를 복합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사업개발이 필요하다. 향후 도시재생 뉴딜사업에서는 마을 고유의 자산을 활용하고 경쟁력 있는 도시콘텐츠 개발에 기반하며 다양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사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오동훈, 권구황, "도시재생전략으로서의 도시문화 마케팅 해외사례 연구," 국토계획, 제42권, 제5호, pp.109-128, 2007.
  2. 오동훈, "문화공간 조성을 활용한 선진 도시재생 성공사례 비교 연구 -벤쿠버 그랜빌아일랜드와 베를린 쿨트어브로이어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제23권, 제1호, pp.175-197, 2010.
  3. 변미리, "도시경쟁력과 문화가치," 문화정책, 제1권, pp.115-142, 2014.
  4. https://ko.dict.naver.com/seo.nhn?id=12544500
  5. http://www.city.go.kr/portal/info/policy/10/link.do
  6. http://www.city.go.kr/portal/info/policy/6/link.do
  7. 김륜희, 이종근, 이삼수, "도시재생사업의 모니터링 및 평가방안 연구 : 선도지역을 사례로," 도시정책연구, 제7권, 제1호, pp.5-22, 2015.
  8. 이종근, 김륜희, 김홍주, 이삼수, "도시재생사업의 모니터링.평가지표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도시정책연구, 제7권, 제1호, pp.5-22, 2016.
  9. 정광진, 전혜진, 정연우, 이삼수, "도시재생사업의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의 개발과 적용 - 도시재생 선도지역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52권, 제3호, pp.55-74, 2017.
  10. 이정동, 김영, 홍성실, "AHP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사업 평가지표 연구 -도시재생선도지역 사업을 대상으로-," 주거환경, 제15권, 제3호, pp.333-348, 2017.
  11. 정광진, 이종근, 이삼수, "도시재생 선도지역의 사업유형 및 재원조달 특성 분석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안)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8권, 제2호, pp.19-37, 2016.
  12. 강혜규, 엄태영, 류진아, "도시재생사업에서의 사회복지사업 유형 및 내용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31-43,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031
  13. 장진하, 황규홍, 이삼수, "도시재생사업의 부처협업 추진실태 분석 및 정책 제언 -도시재생 선도지역을 사례로," 국토계획, 제53권, 제3호, pp.19-36, 2018.
  14. 박성남, "연결망 분석을 통한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선도사업 정책 목표별 사업간 연계성 고찰,"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제19권, 제4호, pp.41-56, 2018.
  15. 윤병훈, 남진, "사업연관분석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의 경제적 효과," 부동산학보, 제73권, 제1호, pp.72-85, 2018.
  16. 한동운, 김태영, 주수민, 김혜주, 홍명기, 백종인, 반영운, "도시재생사업 효과 분석 -청주시 중앙동을 중심으로-," 지역연구, 제34권, 제1호, pp.61-75, 2018. https://doi.org/10.22669/KRSA.2018.34.1.061
  17. 김영환, 박상준, "도시재생사업에서 저탄소 녹색계획요소 활용 및 탄소 저감 효과에 대한 연구 - 청주시 도심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67-182, 2014.
  18. 박기용, 이상, 박희경, "도시재생사업 적용에 따른 탄소저감 효과 -전주 TB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36권, 제1호, pp.65-74, 2016. https://doi.org/10.12652/KSCE.2016.36.1.0065
  19. 이나영, 안재섭,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에 관한 사례 연구 -서울 창신.숭인 도시재생 선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제26권, 제2호, pp.111-126, 2016.
  20. 이선영, 남진, "도시재생 수단으로서 지역자산의 의미와 활용실태 분석," 국토계획, 제50권, 제3호, pp.123-151, 2015. https://doi.org/10.17208/jkpa.2015.04.50.3.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