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omen's Participation of a Ballet Program

고령여성의 발레운동 참여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여가만족 및 삶의 질의 관계 분석

  • 박선희 (송원대학교 공연(실용)예술학과)
  • Received : 2020.07.23
  • Accepted : 2020.08.27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atisfaction at using leisure time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omen's participation of a ballet program.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148 elderly women registering for 10 dance academies in G Metropolitan City in relation to self-esteem,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fter data process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elf-esteem and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were as follows. Positive self-esteem had positive effects on all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Negative self-esteem had negative effects on soci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and health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research model fit and hypothesis testing between self-esteem and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were as follows. Self-esteem had positive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nd high leisur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quality of life factors. In conclusion, the elderly women's participation in the ballet program improved their self-esteem an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ir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the elderly's ballet exercise through constant physical activity will prevent diseases and promote health in their old age.

이 연구는 고령여성들의 발레운동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여가시간 활용에 대한 만족도 증대와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G광역시의 10개 무용 학원에 등록한 여성고령자 148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여가만족, 삶의 질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자료처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자아존중감과 여가만족 및 삶의 질 간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 결과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여가만족의 하위요인 모두와 삶의 질 하위요인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여가만족의 신체적 만족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 여가 만족의 사회적 만족과 삶의 질의 건강요인, 심리적 요인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여가만족 및 삶의 질 변인 간 연구모형의 적합도 가설검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여가만족과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여가만족이 높을수록 삶의 질 요인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고령여성의 발레운동 프로그램 참여는 고령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여가만족 및 삶의 질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꾸준한 신체 활동을 통한 발레운동은 고령자의 노후에 질병예방 및 건강증대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merican Heart Association. Understand your risk of heart attack: Risk factors and coronary heart disease. http://www.heart.org/HEARTORG/Con ditions/HeartAttack/UnderstandYourRiskofHeartAttack/Understand-Your-Risk-of-Heart-Attack_UCM_002040_Article.jsp. 2020.06.22.
  2. M. K. Park, J. H. Kim.(2013). Effects of a Comprehensive Lifestyle Improvement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with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related Risk Factors. Journal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4(2): 111-122.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2.111
  3. Stirrat, C., & Mann, S.(2008). Perceptions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cardiology outpatients. Heart, Lung & Circulation, 17S2: S22-S23. https://doi.org/10.1016/j.hlc.2008.03.051
  4. Reeder, S. J., Martin, L. L. & Koniak, D.(1992). Marernity Nursing. Philadelphia: J. B. Lippincott.
  5. LaRocco, S. A., & Polit. D. F.(1980). Women's knowledge about the menopause. NR. 29(1): 10-13.
  6. 안용덕, 신정훈(2016). 중년여성의 건강생활습관에 따른 신체적 자아개념 및 건강증진행동과의 인과관계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4): 273-282.
  7. 김봉금(2018). 노인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9. Coopersmith.(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Francisco : Freeman.
  10. Maslow, A. H.(1974). Motivation and Personality. N. Y. Harper and Row Publisher.
  11. 박은희(2015).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서울기독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영욱(2009). 태권도 수련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 여가만족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Min, S. K., Lee, C. I., Kim, K. I., Suh, S. Y., & Kim,D. K.(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3), 571-579.
  14. Institute for the Future.(2000). Health & Health care 2010: The forecast, the challenge. Sen Francisco: Jossey-Bass.
  15. 박세윤, 류민정, 장정윤, 김준, Diane L-G.(2015). 한국판 삶의 질 척도(K-QoLS)의 예비타당화.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6(1): 61-72.
  16. Kirschman, K. J. B., Johnson, R., Bender, J. A., & Roberts, M. C.(2009). Positive Psycholog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Development, Prevention, and Promotion. Oxfor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2nd edn.
  17. 박선태(2012). 결혼이주여성의 역할 부담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double ABCX모델의 적용.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박소영, 윤정수, 하태균(2019). 8주간의 발레 운동과 식초섭취가 과체중 중년여성의 면역 기능 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6(3): 35-45. https://doi.org/10.21539/KSDS.2019.36.3.35
  19. 안나파스케브스카, 신정희 역(2000). 발레 예술과 과학. 서울 : 도서출판 금광.
  20. Curbow, A. B. & Somerfield, J.(1991). The scale of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653-662. https://doi.org/10.1037//0022-3514.52.4.653
  21. Beard, J. G. & Gagheb, M. G.(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 20-33. https://doi.org/10.1080/00222216.1980.11969416
  22. 김태영(2019). 여가스포츠 참여노인의 사회적 지지, 정신건강, 운동만족과 노년기 행복감 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서효민(2019). 스포츠이벤트품질이 참가자의 참여만족과 스포츠몰입,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생활스포츠이벤트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김현준(2015). 배드민턴 동호인의 성취목표성향이 내적동기 및 여가만족,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World Health Organization(1996). WHOQOLBREF: introduction, administration, scoring and generic version of the assessment: field trial vers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26. World Health Organization.(1998). WHOQOL User Manual: Programme on Mental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27. 노유자(1998). 서울지역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에 관한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정찬영(2018). 집단 춤동작치료가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서희정(2019). 노인의 여가문화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여가몰입과 자아탄력성 매개효과-. 칼빈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조은주(2009). 노인여가활동과 라이프스타일 및 삶의 질의 관계.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최원자(2020). 문화복지로소의 무용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Rowe, J. W., & Kahn, R. L.(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Random House.
  33. 김도형(2019). 여가활동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및 우울과의 상관성 연구-댄스문화를 즐기는 액티브시니어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김상룡(2009). 대학생의 여가레크리에이션 참여와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자아실현간의 관계.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김명숙, 고종욱(2013). 여가활동이 노인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지지의 매개역할. 노인복지연구. 60: 35-54.
  36. 홍민기(2019).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에 따른 여가만족과 정신건강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정찬영(2017). 집단 춤동작치료가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임영랑(2013). 무용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중증 우울증 중년여성의 우울증세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