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아관련성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29초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자아탄력성과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Women's Lif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lasticity and Coping stances)

  • 최재훈;김은혜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4호
    • /
    • pp.63-72
    • /
    • 2020
  •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에 자아탄력성과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에 거주하는 30~60대 기혼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2일~15일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상관관계,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obel test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는 여러 원인 중에서도 경제문제, 자녀관계, 고부갈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파악되었고, 생활만족도와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생활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가 관련성이 있으며, 생활만족도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영향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대처방식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로써 자아탄력성과 대처방식을 향상할 경우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를 완화하여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노인의 건강성과 자아통합감의 영향경로에서 가족지지 매개효과 -연령집단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Mediated Effect of Family Support in Influence Route of Health Condition and Self-integration of Old People -Focused on Difference by Age Group-)

  • 이미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80-290
    • /
    • 2012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연령집단별 신체 심리 사회 건강성, 가족지지, 자아통합감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건강성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B광역시의 65세 이상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신체 심리 사회 건강성, 가족지지, 자아통합감은 '전기노인' 집단이 모두 높았고 '초고령'으로 갈수록 낮아졌다. 둘째, 전기, 후기 연령집단은 사회건강성과 심리건강성이 자아통합감에, 또 85세 이상 초고령집단은 심리건강성과 신체건강성이 자아통합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모든 연령집단에서 건강성과 자아통합감 영향경로에 가족지지 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노인연령 집단에 따른 가족지지의 다양한 개입과 자아통합감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시스템에서 연령범주별 차별화된 서비스제공과 사회원조전략이 필요하다.

위암환자의 건강증진행위 및 관련 요인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Stomach Cancer Patients)

  • 윤혜민;김건엽;이태용;김현지;김광환;김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513-4522
    • /
    • 2011
  • 본 연구는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 정도와 건강신념,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등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08년 6월부터 7월까지 대전광역시의 2개 병원에 내원한 위암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위암질환 관련 특성, 질환에 대한 건강신념 및 가족지지, 자아존중감에 관하여 면담 설문조사를 하였다.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으로는 연령, 치료방법, 유익성, 장애성, 가족지지, 자아존중감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66.6%이었다. 위암환자들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익성과 가족지지, 자아존중감은 높이고, 장애성은 낮추는 보건의료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학계 대학생과 공학계 직장인의 주체성-관계성과 나의식-우리의식, 자아정체감 및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 (A Study on Subjectivity-Relatedness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ity-Relatedness and I Consciousness-We Consciousness, Self-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College Engineering Students and Engineering Workers)

  • 김현수;김미정;김수정;김해룡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36-143
    • /
    • 2012
  • 본 연구는 주체성과 관계성이 나의식-우리의식, 자아정체감 및 대인관계능력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연구의 결과가 공학계 대학생 및 직장인들의 대인관계능력 개선 활동에 활용되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대상의 연령층은 10대에서 60대까지였으며, 직업은 공학계 대학생과 공학계 직장인 492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주체성은 나의식과 자아정체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관계성은 우리의식과 대인관계능력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검증하는 것을 연구문제로 삼았다. 분석방법은 주체성과 나의식, 주체성과 자아정체감, 그리고 관계성과 우리의식, 관계성과 자아정체감 간의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주체성은 나의식과 자아정체감과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계성은 우리의식, 대인관계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 간의 융합 관련성 (Convergence between Ego-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 이경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97-30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 간의 융합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G 지역에 소재하는 일 대학교의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183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료는 SPSS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임상수행능력은 자아탄력성 (r=.446, p<.000), 전공만족도(r=.439, p<.000)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전공만족도는 자아탄력성(r=.310, p<.000)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은 자아탄력성과 전공만족도이었으며, 설명력은 29.1%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 그리고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융합적 교육프로그램으로의 개선과 교수학습방법의 다양화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초등학생의 공격신념과 공격성에 대한 융합 연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convergence study of beliefs supporting aggression and aggression in elementary stud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 유선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327-334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공격신념, 자아존중감, 공격성을 확인하고 관련성을 분석하여 아동의 공격성을 조절하고 효과적인 대처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시와 C도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184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공격성은 공격신념(r=.39,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자아존중감(r=-.46,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초등학생의 공격신념은 자아존중감(${\beta}=.26$, p<.001)을 매개로 하여 공격성에 영향을 미쳤다. 즉 공격신념이 높게 되면 공격성이 높아지며, 자아존중감은 이들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초등학생의 공격성을 조절하기 위한 중재방안을 마련할 때 공격신념을 조절하고,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전략도 함께 모색해야 한다.

유아의 사회적 선호도 및 영향력과 공감능력,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의 관련성 (Influence of Empathy, Aggression, Self-Esteem on Social Preference and Social Impact in Preschoolers)

  • 오명자;신유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1-182
    • /
    • 2019
  • 본 연구는 유아기 또래관계에서 사회적 선호도와 사회적 영향력을 측정하고 공감능력,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유아 307명이다. 사회측정법을 사용하여 유아의 사회적 선호도 및 사회적 영향력을 측정하였고 자기 보고법으로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으며 교사 보고법으로 공감능력과 공격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사회적 선호도가 높을수록 공감능력이 높고 공격성은 낮았으며, 사회적 영향력이 높을수록 공격성의 정도가 높았다. 또한 공감능력은 사회적 선호도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은 변인이었고 관계적 공격성은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은 변인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선호를 높이기 위해 공격성의 억제뿐만 아니라 공감능력과 같은 긍정적 특성을 발달시키는 개입방안이 필요하며, 더불어 학급에서 공격적인 행동들이 엄격한 규칙으로 금지되지 않고 또래들에 의해 사회적 영향력으로 평가되는 양상을 관찰해볼 필요가 있다.

유아의 자기 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아의 놀이성,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Preschoolers' Self-determination: Focus on their Playfulness,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 박근주;서소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489-511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관련된 주요 변인으로 자율성을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자아존중감, 놀이성 및 자기조절력으로 구성하였으며, 특히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결정력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4,5세 유아 126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자기결정력, 자기조절력은 교사가 관찰한 경험을 근거로 설문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은 담임교사가 유아에게 직접 질문하여 평정하였고, 유아의 놀이성은 연구자에 의해 현장 관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은 유아의 자아존중감, 놀이성, 자기조절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결정력 사이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지역 종합병원 행정직원의 조직공정성,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분석 (Analysis of Convergent Influence of Organizational Justice, Self Esteem and Self Efficacy on Occupational Stress among Some Regional General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 배상윤;김승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309-315
    • /
    • 2018
  • 본 조사는 일부지역 종합병원 행정직원들의 조직공정성,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11월 1일부터 2017년 1월 31일까지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하여 시행되었으며, 조사대상은 임의로 선정된 J시의 11개 종합병원 행정직원 221명으로 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조직공정성의 절차공정성과 분배공정성,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분산구조분석 결과, 종합병원 행정직원들의 조직공정성,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조직공정성의 절차공정성 및 분배공정성이 높아질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종합병원 행정직원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조직공정성,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을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분석결과는 종합병원 행정직원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는 조직 및 인사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 추후연구에서는 종합병원 행정직원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융복합적인 추가요인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여대생의 성역할고정관념이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Gender-Role Stereotype on Sexual Assertiveness: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이혜림;한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54-460
    • /
    • 2021
  •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성문화와 높아지고 있는 여성의 성적 권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여대생들의 성적 권리 보호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우리 사회의 성역할고정관념에 대해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자아존중감의 영향력 또한 함께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성적자기주장과 성역할고정관념, 자아존중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82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여대생의 성적자기주장, 성역할고정관념,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여대생의 성역할고정관념이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여대생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소벨 테스트(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성역할고정관념, 성적자기주장,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역할고정관념은 자아존중감(r=-.24, p<.01), 성적자기주장(r=-.39, p<.01)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아존중감은 성적자기주장(r=.20, p<.01)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여대생의 성역할고정관념과 성적자기주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역할고정관념이 성적자기주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β=.45, p<.001)을 미칠 때, 자아존중감이 부분 매개(β=.42, p<.001)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Sobel test: Z.=9.16, p<.05). 따라서 여대생의 성적자기주장 능력 향상을 위해 성역할고정관념의 영향력에 대한 대처 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성역활 관련 교육 프로그램이나 자아존중감 관련 상담의 필요성을 시사 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