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ed Effect of Family Support in Influence Route of Health Condition and Self-integration of Old People -Focused on Difference by Age Group-

노인의 건강성과 자아통합감의 영향경로에서 가족지지 매개효과 -연령집단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2.09.11
  • Accepted : 2012.10.18
  • Published : 2012.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 among health condition of physicalness, psychology and society, family support, and self-integration in age group of old people and to analysis if there are any mediated effect of family support in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dition and self-integration. For that, the survey was conducted people aged 65 or older living in B city. First, the levels of heath condition of physicalness, psychology and society, and self-integration in 'old people aged between 65 and 74' were high, the level was getting lower in the oldest aged. Second, for the aged groups between 65 and 74, and aged group between 75 and 84, health condition of society and psychology influenced meaningfully with a factor of self-integration, and for the people aged 85 or older, health condition of society and psychology influenced meaningfully. Third, all aged groups had the mediated effect of family support through self-integration in heath condition. Therefore, health promotion for the elderly age group according to a variety of family support intervention and self-integrated sense of improvement in the system by age category providing differentiated services and social assistance strategy is necessary.

본 연구는 노인들의 연령집단별 신체 심리 사회 건강성, 가족지지, 자아통합감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건강성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B광역시의 65세 이상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신체 심리 사회 건강성, 가족지지, 자아통합감은 '전기노인' 집단이 모두 높았고 '초고령'으로 갈수록 낮아졌다. 둘째, 전기, 후기 연령집단은 사회건강성과 심리건강성이 자아통합감에, 또 85세 이상 초고령집단은 심리건강성과 신체건강성이 자아통합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모든 연령집단에서 건강성과 자아통합감 영향경로에 가족지지 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노인연령 집단에 따른 가족지지의 다양한 개입과 자아통합감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시스템에서 연령범주별 차별화된 서비스제공과 사회원조전략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K. W. Schaie, and S. Willis, Adult development and aging. NY: Harper Collins, 1996.
  2. P. A. Baur and M. A. Okun, "Stability of life satisfaction in later life," The Gerontologist, Vol.23, No.3, pp.261-265, 1983. https://doi.org/10.1093/geront/23.3.261
  3. R. Larson, "Thirty years of research of the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Americans," Journal of Gerontology, Vol.33, No.1, pp.109-129, 1978. https://doi.org/10.1093/geronj/33.1.109
  4. S. C. Albecht, Social psychology. N.J.: Englewood Cliffs, 1980.
  5. 신진주, 노인의 자아통합감 형성 영향요인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6. 안해용,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사회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 김창범, 홀로된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8. 최윤진, 연령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9. W. Aquilino and K. Supple, "Parent-child relations and parental satisfaction with living arrangements when adult children live at hom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53, pp.13-27, 1991. https://doi.org/10.2307/353130
  10. 한경혜, 윤순덕, "자녀와의 동.별거가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노인과 Technology), 2001.
  11. E. H. Erikson, Childhood and society(2nd ed), New York: Norton, 1963.
  12. 박형규,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에 관한연구, 강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3. 김희경, "노인의 자아통합감 영향요인", 노인간호학회, 제8권, 제1호, pp.24-35, 2006.
  14. M. L. Bruce, "Depression and disability in later lif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9, pp.102-112, 2001. https://doi.org/10.1097/00019442-200105000-00003
  15. 최흥권, 노인의 정신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6. 이미란, 이기숙, "고령자통계로 살펴본 노인 연령구분 현황",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추계연합학술대회 발표자료, 미간행, 2009.
  17. B. L. Neugarten, "Age groups in American society and the rise of the young-old," Annuals of American Academy of Politics and Social Science, Vol.415, pp.187-198, 1974. https://doi.org/10.1177/000271627441500114
  18. 이금룡, "한국사회의 노년기 연령규범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6권, 제1호, pp.143-159, 2006.
  19. 배나래, 박충선,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 권, 제2호, pp.761-779, 2009.
  20. M. Holmes and J. Dickerson, "The quality of life: Design and evolution of a self-assessment instrument for use with cancer patient," International Journal Nursing Studies, Vol.24, pp.44-57, 1987.
  21. 장혜경, 오원옥, "재가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제18권, 제4 호, pp.529-537, 2011.
  22. 김정연, 이석구, 이성국, "노인에서 건강행태, 건강수준, 일상생활수행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계", 한국노년학, 제30권, 제2호, pp.471-484, 2010.
  23. 김남희, 최수일, "여성노인의 신체적.사회적 특성이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241-252, 2011.
  24. E. Cumming and W. E. Henry, Growing old: The Process of disengagement. New York: Humanities Press, 1979.
  25. 박선영, "일 지역사회 저소득 노인의 우울, 일상 생활수행능력과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3권, 제1호, pp.78-90, 2009.
  26. B. J. Fenton, "Do the sources of the urban elderly social support determine its psychological consequences?," Psychology and Aging, Vol.7, No.1, pp.89-97, 1992. https://doi.org/10.1037/0882-7974.7.1.89
  27. P. K. Adelmann, "Multiple rol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 national sample of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Vol.49, No.6, pp.277-285, 1994.
  28. B. M. Newman and P. R. Newman, Development through life: A Psychosocial Approach(5th ed.). California: Brooks & Cole Publishing Company, 1991.
  29. 배진희, "고령노인의 일상생활기능 저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9권, 제1호, pp.353- 368, 2009.
  30. 이금재, 박혜숙, "재가 도시 노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2권, 제3호, pp.221-230, 2006.
  31. 윤재희, 장년기 역할활동이 노년기 자아통합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주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2. 김영범, 이승훈, "한국 노인의 사회활동과 주관적 안녕감", 한국노년학, 제28권, 제1호, pp.1-18, 2008.
  33. 강호정, 김경식, "노인의 사회체육활동과 사회적 지지 및 고독감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11호, pp.280-288, 2007.
  34. 이한숙, 윤영선, "사회체육활동 참여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정신건강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5권, 제1호, pp.647-660, 2009.
  35. B. Heady and A. Wearing, Understanding happiness: A theory of subjective welling -being. Melbourne Longman Cheshire, 1992.
  36. T. A. Glass, "Social and productive activities in elderly people: Author's reply," British Medical Journal, Vol.320, No.7228, p.184, 2000. https://doi.org/10.1136/bmj.320.7228.184
  37. 황성용, 재가노인을 위한 복지서비스와 여가활동 서비스가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8. 김양례, "생활체육 참가가 행복한 삶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1권, 제1호, pp.151- 172, 2008.
  39. K. M. Everard, H. W. Lach, E. B. Fisher, and M. C. Baum, "Relationship of activity and social support to functional health of older adults," Journals of Gerontology, Vol.55b, No.4,pp.208-212, 2000. https://doi.org/10.1093/geronb/55.4.S208
  40. J. S. House, Social support, and the quality and quantity of Life. Presented at 4th Annual ISR Founders Symposium, 1993.
  41. N. Krause, A. R. Herzog, and E. Baker, "Providing support to others and well-being in later life," Journal of Gerontology, Vol.47, No.5, pp.300-311, 1992. https://doi.org/10.1093/geronj/47.5.P300
  42. D. W. Russell and C. E. Cutrona, "Social support,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y: Test of a process model," Psychology and Aging, Vol.6, No.2, pp.190-201, 1991. https://doi.org/10.1037/0882-7974.6.2.190
  43. N. Krause, "Social support, stress, and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Vol.41, No.1, pp.512-519, 1986. https://doi.org/10.1093/geronj/41.4.512
  44. P. A. Thoits,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problem in studying social support as a buffer against life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3, pp.34-57, 1982.
  45. J. S. Norbeck, A. M. Lindsey, and V. L. Carrier,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ocial support," Nursing Research, Vol.30, No.5, pp.264-269, 1981.
  46. 김정순,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8.
  47.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s medicine, Vol.38, No.5, pp.300-314, 1976.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48. 강현숙, 재활강화교육이 편마비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49. 이영자, 한국노인의 건강사정도구 개발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50. 최영희, 김문실̣, 변영순, 원종순, "한국노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0권, 제3호, pp.307-323, 1990.
  51.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Social Psychology, Dec,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52. C. L. Johnson and B. M. Barber, Life beyond 85 years: the aura of survivorship, New York : Springer, 1996.
  53. P. B. Baltes, "On the incomplete architecture of human ontogeny: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as a foundation of developmental theory," American Psychologist, Vol.52, pp.366-380, 1997. https://doi.org/10.1037/0003-066X.52.4.366
  54. C. N. Bull and J. B. Aucoin, "Voluntary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A Replication Note," Journal of Gerontology, Vol.30, No.1, pp.73-76, 1975. https://doi.org/10.1093/geronj/30.1.73

Cited by

  1. Factors Related to Participation of Elderly in Volunteer Activities vol.13, pp.4,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