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료의 공동보존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6초

도서관 자료의 공동보존과 활용을 위한 관종별 사서 인식조사 분석 (Analysis of the Perception Surveys on Librarians by Type of Library for the Collaborativ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Library Materials)

  • 신배재;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59-280
    • /
    • 2021
  • 본 연구는 도서관 자료의 공동보존과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수립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관종별 사서(사서교사 포함)들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서들의 공동보존자료관에 대한 종합적 인지도는 관종별 특성과 관계없이 높게 나타났으며 광역단위 공동보존 운영주체로는 지역대표도서관이 관종을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대표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에 관한 연구 - 부산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a Collaborative Repository of the Regional Central Library: Focused on the Busan Metropolitan Library)

  • 강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5-76
    • /
    • 2022
  •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는 공공도서관의 공통적인 문제로 장서수장문제가 부각됨에 따라 지역 단위 공동보존서고 설치를 통한 공간확보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도서관법」 및 「도서관법시행령」 역시 지역 도서관 자료에 대한 통합적 관리의 책임을 지역대표도서관에 부과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 중 본격적으로 공동보존서고를 운영하고 있는 부산도서관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공동보존서고의 운영현황과 공동보존서고에 대한 관내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설문조사와 인터뷰, 현장조사, 내부자료 분석 등을 통하여 입수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부산도서관 공동보존서고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적인 데이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타지역 대표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에 참고할 만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지역 거점형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 방안 - 부산시를 사례로 하여 - (Developing Strategies for a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y at a Regional Level -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

  • 노지현;조용완;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7-195
    • /
    • 2013
  • 현행 "도서관법" 및 "도서관법 시행령"에서는 지역 도서관 자료에 대한 통합적 관리의 책임을 '지역대표도서관'에 부과하고 있다. 이는 지역의 도서관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수장공간의 부족 문제를 '공동보존서고'의 설치를 통해 해결하도록 유인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실정법에 따라 지역대표도서관을 설립하였거나 지정하고 있는 광역자치단체에서는 빠른 시일내에 공동보존서고의 건립과 운영을 위한 종합적인 계획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부산시'를 사례로 하여 도서관의 수장공간 부족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공동보존서고가 갖는 의미를 세밀히 검토하고, 공공도서관 중심의 '지역 거점형'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부산시 공공도서관의 수장공간의 부족 정도를 객관적으로 산출하고, (2) 공동보존서고에 대한 부산시 공공도서관 사서와 이용자의 요구를 조사한 다음, (3) 국내외의 대표적인 공동보존서고 사례를 참조해 가면서 부산시에 가장 적합한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안)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 공동보존서고 건립 방안 연구 - 서울특별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ooperative Shared Storage for Public Libraries in Seoul Metro Area)

  • 윤희윤;장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285-303
    • /
    • 2021
  • 공공도서관 소장자료의 효율적 관리와 새로운 서비스 공간 확보를 위하여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공동보존서고는 단위 공공도서관의 보존공간 확충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고, 도서관들이 오랜 기간 소장해온 저이용 자료 등을 이관함으로써 공간의 효율과 서비스의 집중도를 제고하기 위한 것으로, 결과적으로 도서관들은 보존 프로그램을 통합 운영하고 도서관별 필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시설, 정보자원, 인력의 공동 활용 및 효율성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역의 대표도서관들을 중심으로 자료수장공간의 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동보존서고 운영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그 일환으로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지역대표도서관이 주도하는 공동보존서고 건립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 공공도서관 소장장서의 향후 규모를 예측하고, 이를 근거로 적절한 공동보존서고의 규모와 시설안을 제안하였다.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설립.운영모형 연구 (A Model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7-61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을 위한 공동보존서고 설립 운영모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공동보존서고 설립 운영환경인 도서관의 시도별 및 설립주체별 현황, 권역별 및 연도별 수장공간의 부족률, 공동보존서고의 입지조건과 후보지 평가기준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권역별 공동보존서고 설립 운영을 위한 지향성과 기본원칙, 공동보존서고가 수행해야 할 주요 기능과 업무, 수장방식별(고정서가시스템, 밀집배가시스템, 자동서고시스템) 수장공간 규모 및 연면적 산출, 이관할 자료의 기준 및 소유권 귀속모형, 바람직한 관리운영 주체와 조직체계를 제시하였다.

충청북도교육청 공동보존자료관 설립에 대한 현장 인력의 인식 분석 (A Study on the Survey of the Level of Book Saturation in Chungcheongbuk-do Libraries)

  • 노영희;강봉숙;곽승진;장인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139-159
    • /
    • 2023
  • 본 연구는 충청북도교육청을 중심으로 한 공동보존관의 설립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통한 실태조사와 인식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충북교육청 공동보존자료관의 기능은 귀중자료의 보존과 충북교육 및 학교 특성화 자료 구축에 중점을 두되, 이관자료 중 중요한 자료의 디지털화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공의 기능을 중점 수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향후 이관하고자 하는 자료 기준은 원형보존과 매체변환 등이 필요한 자료를 우선적으로 이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향후 이관하고자 하는 자료 유형은 운영 계획 시 단행본 유형을 중점적으로 고려하되 그 외의 유형에 대한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자료 이관 시 자료의 소유권의 경우, 공동보존자료관 운영 위원회를 통해 충북교육청과 개별 도서관과의 논의를 거쳐 소유권을 포함한 세부적인 이관 지침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설립 및 운영 방안 연구 - 미국 ReCAP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Administration Strategies of Shared Repositories for Academic Libraries: Focus on the US ReCAP Project)

  • 장윤금;전경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13-229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공동보존서고 설립 및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미국의 대표적인 공동보존서고 ReCAP(Research Collections and Preservation Consortium)의 운영 사례를 통해 국내 적용 가능한 공동보존서고 설립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ReCAP 공동보존서고 및 참여기관인 콜럼비아대학교 도서관, 프린스턴대학교 도서관, 뉴욕공공도서관, 하버드대학교 도서관을 방문 조사하였고, ReCAP 업무 담당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동보존서고는 보존시설에 대한 공유에서 공유 장서(shared collection)와 공유 이용(shared use)으로 확대 발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장기적인 공동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및 초기 예상보다 빠른 보존공간의 한계에 따른 이관자료지침수립 및 공동장서개발 정책 수립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충청북도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 장서 및 보존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rvey of the Level of Book Saturation in Chungcheongbuk-do Libraries)

  • 노영희;강봉숙;곽승진;장인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27-45
    • /
    • 2024
  • 충청북도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장서 소장 및 보존현황, 장서관리의 어려움, 장서 포화에 대한 예측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충청북도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은 극심한 장서 포화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어 신속한 공동보존자료관의 체계적인 운영 증대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다. 향후 공동보존자료관으로 이관 시 도서 위주 자료 이관이 주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단위 도서관에 보존을 위한 시설을 갖추기 어려운 상황으로 희귀서, 특화자료 등 보존가치가 있는 자료는 공동보존자료관으로 이관이 필요하며, 자료보존 관련 정책 및 규정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며, 특히 공동보존자료관으로 자료 이관 시 단순한 이용률 저하 자료 등에 대한 이관 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자체 소속 공공도서관들의 장서 포화 상태도 조사함으로써 충청북도 전체 공공도서관 자료의 공동보존 방안 모색을 논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공공도서관 공동보존서고 건립모형 연구 (A Model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51-7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도서관을 위한 공동보존서고 건립모형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공동보존서고 건립환경인 공공도서관 수장공간 부족률, 시도별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우선순위, 수행해야 할 주요 기능과 업무, 바람직한 입지조건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기본원칙, 건축규모, 공공도서관의 이관자료 기준과 소유권 문제, 바람직한 관리운영 주체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정부와 모든 광역시도는 조속히 공동보존서고를 설립 운영해야 한다.

충청북도 학교도서관 장서 및 보존 현황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Book Saturation and Preservation Status in School Libraries in Chungcheongbuk-do)

  • 노영희;강봉숙;곽승진;장인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83-97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교육청을 중심으로 한 공동보존관의 설립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학교도서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사대상 학교도서관들은 이미 포화도가 극에 달해 개별 도서관은 장서 포화도의 관리와 적정 장서 수의 관리를 요구받는 상황이었다. 둘째, 장서보존을 위한 시설을 갖추고 있는 도서관이 거의 없었다. 셋째, 78%의 학교도서관에서 장서포화도가 이미 75% 이상을 넘고 있고, 이로 인해, 매년 폐기 장서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신속한 공동보존 자료관의 체계적인 운영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단위 도서관에 보존을 위한 시설을 갖추기 어려운 상황으로 희귀서, 특화자료 등 보존가치가 있는 자료는 공동보존자료관으로 이관이 필요하며, 자료보존 관련 정책 및 규정도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