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주도 학습력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4초

WebGIS을 이용한 고등학교 지리학습교재 개발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using WebGIS in the High School Geography Study)

  • 김남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81-290
    • /
    • 2006
  • 지도는 지표공간을 표현하기 위해 점 선 면의 그래픽 언어를 사용한다. 지도는 지리교육에서 지역학습과 도해력 향상을 위한 학습도구로서 이용되어 왔다. GIS와 인터넷이 급속히 발달하면서, 지도의 활용이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다. 본 논문은 WebGIS를 이용하여 자기주도적인 지리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웹기반 학습교재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학습도구로서, 충청북도 행정구역도, 1:25,000 조치원 수치지형도, 통계 자료 및 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도와 주제도를 위한 WebGIS가 구축되었다. WebGIS의 기능은 지역에 대한 정보 수집과 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공간현상의 지역적 차이를 파악할 수 있게 제작하였다. 인터넷을 이용한 개별 학습은 학습자중심 학습 및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정보사회의 청사진으로서 교육을 위한 한 방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을 통한 학습자 역량 분석 (Analysis of Learner Competencies through Digital Textbooks and Smart-Learning)

  • 한선관;김상홍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07-214
    • /
    • 2015
  • 본 연구는 수도권의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자 역량의 효과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학습자 역량인 창의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협업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습의 전 영역에서 2년차 연구학교 학생들이 1년차 학생들보다 역량을 높이 평가하였다. 둘째, 도시학생들이 농산어촌 학생들의 평균이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도시 학생들이 농산어촌의 학생들보다 학습자역량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급별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간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등학교와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수학 교과 재량활동시간의 효율적인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Discretion activity in Mathematics curriculum)

  • 김세라;김승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121-13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특색중의 하나인 교과재량활동시간의 효율적 운영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교과재량 활동시간에 '함께가자! 우리'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하여 다양한 수학에 대한 경험, 실생활을 소재로 한 수학문제, 수준별 협동학습 수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켰으며, 1:1 맞춤학습에 의한 부담 없는 질문과 학습의 분위기 조성 등이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 PDF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대학 수업에서 중국국제학생 자오밍의 수학학습과정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 Zh$\grave{a}$om$\acute{i}$ng's Learning Process, Using Technology in a University Class of Korea)

  • 고상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61-82
    • /
    • 2015
  • 다문화권 학생인 중국인 국제학생 자오밍의 대학 수학수업에서 학습의 방해요소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방해요소를 극복하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를 정성적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예비교사를 위해 2014년 2학기에 개설된 교수 학습을 위한 강좌에서 학습조력자에 의해 자오밍의 활동이 관찰되었고 학습과정의 자료들이 수집되었다. 방해요소로는 한국어 문장이해력 부족, 한국어수학어휘력 부족, 수학개념이해력 부족, 공학도구충실도의 부족으로 나타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이중언어 효과, 자기주도적 시각화표상활동, 반복활동, 조별활동을 통해 학습의 성취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자오밍의 학습의 성취는 학습조력자의 역할에 의해 가능했다고 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대학에서 영어가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자국어로 학습할 수 있는 이중언어강화 환경구성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개인 학습장 블로그를 활용한 학급 커뮤니케이션 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the Construction of the Cla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 the Private Learning Place, Blog)

  • 이지영;홍명희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95-604
    • /
    • 2004
  • 블로그는 개인의 사용과 타인의 접근이 모두 용이하여 정보를 쉽게 정리,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적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블로그의 주제별 컨텐츠 정리 기능과 RSS, 트랙백 기능은 괄목할 만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블로그를 개인학습장으로 활용하여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높일 수 있는 학급 커뮤니케이션 체제를 구축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블로그 네트워크라는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교사와 학생 모두가 블로거(blogger -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블로그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교육 전용 블로그를 설계하는데 밑받침이 되고자 한다.

  • PDF

자기 주도적 학습력 신장을 위한 교육용 Web 컨텐트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Web Contents for Self-directed Learning)

  • 김성희;김수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3-43
    • /
    • 1999
  • Most educational Web contents developed so far can be regarded' as another type of printed textbooks since they are made up of static lists of textual information. It results in a lack of capability in such educational viewpoints as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or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of individual students, and so on. This paper proposes a new style of Web contents, which can improve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as well as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with the topic of "the life cycle of frog" that the student studies in the third year of elementary school. It has been designed to provide BBS and a studying material appropriate to the achievement level of individual students, and implemented with DHTML and Java.

  • PDF

간호대학 신입생들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Freshmen Nursing Students)

  • 김윤민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0-197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which influence freshmen nursing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19 students by mean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measur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March 7th and 11th, 2010. Result: For problem solving ability categories, the level of problem discover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olution plan, problem definition, solution evaluation and solution implementati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nursing students wer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gender. Conclusion: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 foundation,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comprised of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self-directed skills for the improvement of nursing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It is also recommended that further studies be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comprehensive curriculum designs that allow for maximum accumulation of these proficiencies.

컴퓨터 원리 교육을 통한 초등 창의성 교재 개발 방안 (Method of Teaching Material to Develop Computer Creativity by Accessing to the Computer Principle in Elementary School)

  • 정은영;김종진;김종훈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81-288
    • /
    • 2004
  • 오늘날 IT의 급속한 진보는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단순한 자원이나 노동력보다는 첨단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얼마나 의미 있는 정보를 찾아내고 활용하는가에 따라 개인의 경쟁력이 좌우된다. 즉, 개개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지식, 정보의 생산과 활용이 앞으로의 국가경쟁력을 좌우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교육계에서도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인간상을 추구하고 있다. 전국의 초 중등학교가 정보인프라 구축으로 컴퓨터를 활용하는 교육이 가능하게 되었다. 비로소 미래사회를 대비하여 정보우수인력을 길러낼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초등 컴퓨터 교재는 소프트웨어의 활용법을 소개하는 데 그치고 있다. 컴퓨터 교육이 활용교육으로 치우치다 보니 창의력 제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부족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컴퓨터 활용법에만 두었던 기존의 교육방법을 탈피하여 체계적이고 쉬운 초등 컴퓨터 창의성 교재 개발 연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특히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네트워크 등의 동작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

  • PDF

스마트 메카트로닉스 창조인력양성 사업단 - 창원대학교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

  • 배동식
    • 세라미스트
    • /
    • 제19권4호
    • /
    • pp.74-79
    • /
    • 2016
  • 창원대학교 스마트융합 메카트로닉스 인력양성 사업단의 교육 목표는 1) 창조적 교육과정을 통한 지역거점 특성화, 2) 세계적인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기술 인력 양성, 3) 분석력, 창의력, 적응력 및 설계능력을 갖춘 능동적 기술인력 양성, 4) 시대의 환경변화를 선도하는 진취적 기술인력 양성, 5) 인재공급 및 취업률향상으로 정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전략은 1) Major전문성(메카트로닉스심화, 공통실험교육 강화), 2) Global국제적감각(팀기반능력, 근접학문이해능력), 3) Creative지속성장 (Capstone Design, 현장적응교육)으로 정하였다. 따라서 메카트로닉스공통융합심화트랙 교육과정으로 기계, 전기전자제어, 신소재분야의 공통트랙으로 이론 30학점, 실험 6학점(16과목, 36학점)을 신설하여 운영하였다. 수강지도를 통한 교차이수권장 학생들의 자율선택기반을 조성하고, 현장적응교육, 캡스톤 디자인 2과목 7학점을 수강하도록 하였다. 학생의 본인주도 학습권을 인정하여 2학년 진학 시 학생본인직접 100% 자기 전공 선택 기회 제공하는 구조조정을 실하고, 타 전공 관련정보 상호교류, 학문간 통합교육, 조직의 유연성확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교과목(정규/비정규)개편을 통해 개선된 현장 실무 형 내실화 교육의 실시하여 취업률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창원대학교 신소재공학부는 기계, 전기전자에 관련된 기본소양을 의무적으로 학습하기 때문에 메카트로닉스 분야에서 필요한 신소재공학도를 육성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학교내 무한상상실을 활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aker Education Program in School Maker Space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 손경옥;이형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1호
    • /
    • pp.55-6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maker education program in school maker space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For research, we secured 18 period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with 5 categorie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tudents, and integrated these activities into an elementary maker education program in school maker space. Pre and post tests were done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is maker education program to assess the changing in participa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ker education program meaningfully improved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maker education program meaningfully improve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interview with the students, we could know that this program made the students have self-confidence and gave them favorable im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