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관리 효능감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31초

시간관리 프로그램의 적용이 문제음주 대학생들의 음주습관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Time Management Program on Drinking-Habit and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 With Problematic Drinking)

  • 박영주;김유석;박수정;박지연;방지현;송지원;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7-66
    • /
    • 2015
  • 목적 : 시간관리 프로그램의 적용이 문제음주 대학생들의 음주습관 개선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문제음주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두 집단 사전-사후 검사로 진행되었다. 두 집단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로 나눈 후 실험군은 주 2회, 5주간 총 10회기 동안 시간관리 프로그램 중재를 받았고 대조군은 중재를 받지 않았다. 연구도구로 음주습관 개선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 알코올사용장애 선별검사를 사용하였고 자기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중재 후 두 집단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의 한국형 알코올 사용장애 선별검사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집단 내 중재 전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에서는 한국형 알코올 사용장애 선별검사와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대조군에서는 한국형 알코올 사용장애 선별검사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 : 시간관리 프로그램은 문제음주 대학생의 음주습관 개선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

개인특성과 상사의 신뢰가 판매원의 노력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Supervisory Trust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Salesperson's Efforts and Performance)

  • 김이태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1권
    • /
    • pp.21-41
    • /
    • 2003
  • 본 연구는 판매원의 판매노력이 판매원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판매원의 판매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특성변수로서 자기효능감, 경쟁심, 역할명료성과 판매관리자의 신뢰도를 선정하여 검증하였다. 대형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218부를 실증분석한 결과 첫째, 판매원의 판매노력 중 열심히 일함만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열심히일함에서는 자기효능감과 경쟁심, 판매관리자의 신뢰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효율적일함에서는 자기효능감, 판매관리자의 신뢰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역할명료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판매원의 성과에는 자기효능감, 역할명료성, 경쟁심과 판매관리자의 신뢰 모두 직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 효과는 자기효능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역할명료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특성변수나 판매관리자의 신뢰도가 직접적으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 판매원의 노력을 매개로 해야만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판매원들이 열심히 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어야 하고, 그러나 다분히 열심히라는 말보다는 구체적으로 판매원들에게 목표를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중소기업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열의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구조모형분석-인공신경망 분석의 적용 (The Impact of Self-efficacy on Job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of SMEs' Members: SEM-ANN Analysis)

  • 강태원;이용기;이용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6호
    • /
    • pp.155-16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열의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SEM-AN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Artificial Neural Network) 분석을 적용하여 성별 (Ggender)과 결혼 여부의 변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400명의 중소기업 조직구성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285명의 유효표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은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그리고 과제난이도 선호의 세 가지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그리고 과제난이도 선호 등의 자기효능감은 직무열의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효능감 중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은 직무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과제난이도 선호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열의는 직무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혼 남성은 과제난이도 선호, 기혼 남성은 자기조절효능감을 가장 중요시하나, 여성은 결혼 여부에 관계없이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주로 교육 및 서비스업종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를 다차원으로 측정하여, 중소기업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효능감-직무열의-직무성과 간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기업들이 조직구성원의 성별, 결혼 여부에 따른 조직구성원 관리의 근거를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SEM-ANN 분석 과정은 지금까지 SEM을 이용한 선형적(보상적) 관계에서 영향 또는 기준 변수들의 조합을 분석할 수 있는 비선형적 (비보상적) 관계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에너지·환경분야 연구자의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ergy and Environment R&D Researchers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 유현희;현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41-350
    • /
    • 2019
  • 본 연구는 에너지 환경 분야 연구자의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가설들을 수립하고 실증분석을 추진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는 약 3주 동안 회수된 200건의 설문지 중 에너지, 환경 분야 연구자 165명의 설문결과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신뢰도, 빈도,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Sobel-test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자의 셀프리더십은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연구자의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은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과 직무성과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연구자의 직무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 제고를 위한 소속 기관의 인적자원관리 제도 마련과 교육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 연구자가 직무에 대한 즐거움, 만족감, 신뢰 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보상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자기효능감은 직무성과에 대해 매우 중요한 영향 인자이므로 연구자의 자기효능감 강화를 위한 기관 차원의 전략마련이 요구된다.

SNS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사용자 인지요인이 SNS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User's Cognitive Factors on Reuse Intention of SNS)

  • 이홍재;최문형;박미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45-16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SNS에 대한 개인적 특성과 사용자 인지요인, 그리고 SNS 재사용 의도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NS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인지된 즐거움과 유용성, 사용 용이성 등의 사용자 인지요인이 SNS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자기효능감이 인지된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 그리고 인지된 즐거움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인지요인 간의 관계에서는 인지된 즐거움과 인지된 사용 용이성 모두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NS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인지된 즐거움, 그리고 인지된 유용성은 SNS 재사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SNS 재사용 의도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수면부족과 대인관계를 매개로 하여 (The Convergence Research Regarding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s on Self-Efficacy: Lack of Sleep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the Parameters)

  • 이현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315-323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수면부족과 대인관계를 매개로 하여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융합적 연구이다. J도 소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263부의 설문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수면부족과는 정(+)의 상관관계, 대인관계 및 자기효능감과는 각각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스마트폰 중독은 수면부족과 대인관계를 매개로 하여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부족을 관리하고 예방하며, 대인관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계획과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호텔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직무성과 간의 관계 연구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Hotel Managers on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 서예정;한진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33-44
    • /
    • 2019
  • 시시각각 급변하는 현시대의 무한경쟁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업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내적 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서비스 산업은 호텔 종사원이 직접 대면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종사원의 태도는 고객이 지각하는 서비스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결과적으로 조직의 생존 및 발전에 직결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원이 지각하는 자기효능감, 조직에 대한 몰입, 그리고 직무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호텔 산업에서 관리자의 리더십 발휘에 대한 이론적·실무적인 관점에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분석 결과에 따르면,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조직몰입은 직무성과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텔 관리자는 강력한 비전을 제시해야 하고, 목적의식을 강조하며 종사원에 대해 끊임없는 개별적인 배려를 통해 자발적인 참여와 창의성을 이끌어내야 한다.

대학생의 진로목표지향성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areer Goal Orientation on Career Identify : According to Life Styl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a Medium)

  • 이현숙;양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205-213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목표지향성이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J도에 위치한 대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331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SPSS win 24.0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목표지향성, 대학생활 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은 각각의 변수 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분석 결과 진로목표지향성은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진로목표지향성, 대학생활 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과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학생의 운동수행여부, 건강에 대한 생각에 따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활력정도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Self Efficacy, Self-esteem and Vitality according to the Physical Exercise, Thinking about Health of Nursing Students)

  • 정계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17-125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운동수행여부, 건강에 대한 생각에 따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활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디자인은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였으며 카이제곱-test, t-test가 사용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로 K시에서 수집되었다.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23.7살이었다. 대상자 중 187명(85.0%)은 여자, 99명(45.0%)은 운동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138명(62.7%)은 자신들이 건강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변수들에 대한 점수는; 건강자기효능감 2.93±0.35점; 신체자기효능감 3.16±0.37점; 자아존중감 2.94±0.43; 활력 3.78±0.52이다.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신체자기효능감(t=3.68, p=<.001); 운동적 기능(t=5.39, p<.001); 정신적 기능(t=2.10, p=.037), 영양적 기능(t=2.50, p=.013); 건강관리 효능감(t=2.37, p=.019) 그리고 활력(t=12.63,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자신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경우 건강자기효능감(t=3.73, p=<.001), 운동적 기능(t=3.29, p=.001); 정신적 기능(t=4.01, p<.001); 영양적 기능(t=2.62, p=.009), 건강관리 효능(t=2.51, p=.013); 건강자기효능감(t=2.59, p=.010); 자아존중감(t=3.91, p=<.001) 그리고 활력(t=2.92, p=.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운동 수행이 건강자기효능감과 활력을 높이는데 기여하였으며, 자신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신체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활력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건강인식, 운동욕구, 자기효능감이 당뇨병 환자의 운동빈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Perception, Exercise Needs, Self-Efficacy on the Frequency of Exercise among Diabetic Patient)

  • 박금옥;정수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37-44
    • /
    • 2020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건강인식, 운동욕구, 자기효능감이 운동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연구이다. 2018년 6월부터 7월에 걸쳐, A광역시에 속한 두 개의 대학병원 내분비내과 외래를 방문한 당뇨병 진단을 환자들 중에서 자발적으로 설문지를 작성할 수 있는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서술적 기술 통계량과 Pearson 상관계수, 단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운동빈도는 건강인식(r=..215, p=.043), 자기효능감(r=.440,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운동욕구(r=.144, p=.304)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운동빈도에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β=.440, p<.001)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18.4%(F=20.836, p<.00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자기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운동빈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의 건강인식을 높이는 중재와 자기효능감 강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당뇨병 환자의 운동빈동, 즉 실질적 운동 자기관리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