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극성 타액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초

Lavendar와 Jasmin으로 유발된 후각 강성에 대한 중추 및 자율신경계 반응 (Differences of central and autonomic responses between olfactory stimuli with Lavenar and Jasmin in human)

  • 백은주;이윤영;하태환;임재중;이배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 /
    • pp.158-162
    • /
    • 1998
  • 향에 의해 유발되는 감성에 대한 중추신경계 및 자율신경계의 반응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안정시키는 향과 각성시키는 향을 사용하여 주관적 평가와 동시에 시행하였다. 안정시키는 향으로 1% Lavendar 향을 사용하였고, 각성시키는 향으로 0.8% Jasmin 향을 사용하였으며, 안정상태를 향자극 전후에 측정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중추신경계의 지표로 뇌파측정을 하였고 뇌파의 전극은 international 10-20 system에서 4 채널을 사용하였으며, 자율신경계의 지표로는 심전도, heart rate, 피부저항, 피부온도를 기록하였다. 뇌파의 분석은 Fast Fourier Transform analysis의 power spectra로 하였고, 그 frequency bands는 theta(4-8Hz), alpha(8-l3Hz), beta(14-30Hz)로 하였다 또한 심전도를 이용하여 심전도 상의 연속적인 R-R peak간 시간간격을 시계열 데이터로 재구성한 Heart rate variability 분석도 하였다. HRV 분석을 보다 정확히 할 수 있도록 호흡이 심전도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호흡을 분당 20회로 일정하게 하였다 생체신호 측정과 동시에 실시한 주관적 검사에서 lavendar 향은 친숙하게, jasmin 향은 활기차고 상쾌하고 유쾌하게 평가되었다. 뇌파 분석에서 lavendar 향을 주었을 때 theta의 증가 양상을 보였으며, Jasmin 향을 주었을 때는 모든 채널에서 beta 파의 증가 양상을 보였다. 또한 HRV 분석 결과 부교삼신경의 활동성이 부각되는 HF/LF의 값이 lavendar에서는 대조 자극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jasmin에서는 대조자극보다 낮은 값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안정과 각성의 후각 자극으로 인한 감성의 변화를 뇌파와 자율신경계 등의 생체지표로 관찰할 수 있었다.정하는 감성요인의 차이를 알 수 있었으며 또한 essential oil에서는 성별 차이가 없는데 반해 페르몬 향의 경우 성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방법을 타액과 혈청내 testosterone 농도 측정에 응용하여 RIA의 결과와 비교하여 본 바 상관관계가 타액에서 r=0.969, 혈청에서 r=0.990으로 두 결과가 잘 일치하였다. 본 실험에서 측정된 한국인 여성의 타액내 testosterone농도는 107.7$\pm$12.0 pmol/l이었고, 남성의 타액내 농도는 274.2$\pm$22.1 pmol/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정립된 EIA 방법은 RIA를 대신하여 소규모의 실험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또한 상실기 이후 배아에서 합성되며, 발생시기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고 팽창과 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er Jobches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

  • PDF

근로자의 구강환경요인에 따른 구강세균 발생의 위험요인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oral bacteria in workers according to oral environment)

  • 홍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37-545
    • /
    • 2016
  • 본 연구는 구강환경요인을 살펴보고, 구강환경이 구강세균 검출에 미치는 위험요인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2월 15일~ 2월 28일까지 성인 근로자 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변수로는 안정시, 자극시 타액분비율, 타액완충능, 타액 pH, 설배와 설하 구강건조도, 구취 설태량을 측정하였다. 구강세균의 검출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안정시 타액분비율의 gDNA를 추출하여 균을 검출하였다. 그 결과, S.mutans균은 흡연자 15배, 자극시, 안정시 타액분비율 1.3~1.6배 위험도가 더 높았으며, P.intermedia는 흡연자 13배, 설하 구강건조도 4.3배, 설태량 4배 TM7은 설하 구강건조도 5.5배 더 높은 위험도를 나타냈다. 구강 내 세균을 줄이기 위해서는 타액분비율을 촉진시키는 습관을 형성하고, 금연교육을 시행함이 중요하다고 본다. 또한 구강위생이 깨끗하고 관리가 잘되는 성인에서는 구강세균이 많이 줄어들고, 구강질환을 좀 더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에서 기능적 매개변수 지표를 활용한 정량 분석의 유용성 (Usefulnes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by using the functional parameter index from dynamic salivary glands scintigraphy)

  • 신채호;김봉수;조용귀;조진우;진성은;표성재
    • 핵의학기술
    • /
    • 제19권2호
    • /
    • pp.81-86
    • /
    • 2015
  •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타액선의 기능을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타액선 신티그라피의 시간-방사능 곡선에서 다양한 기능적 매개변수지표를 측정하고 구강건조증 환자 그룹과 건강한 Control 그룹과 비교를 통해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구강 건조증으로 내원하여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를 시행한 환자 그룹 30명과 건강한 Control 그룹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방법은 370 MBq의 $^{99m}Tc$-과산화테크네슘을 정맥으로 순간 주사 후 약 30분간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를 연속 촬영하였으며, 주사 후 20분째에 최타 자극제로 비타민C 파우더를 이용하였다. 정량분석은 이하선과 악하선의 시간-방사능 곡선을 통해 기능적 매개변수 지표를 획득하고,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강 건조증 환자와 건강한 Control 그룹과 비교하였다.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에서 이하선과 악하선의 기능적 매개변수 지표인 섭취율(Uptake Ratio, UR), 최대 방사능 시간(Time at Maximum counts, Tmax), 최소 방사능 시간(Time at Minimum counts, Tmin), 최대 축적율(Maximum Accumulation, MA), 축적속도(Accumulation Velocity), 최대 배출율(Maximum Secretion, MS), 최대 자극 배출율(Maximum Stimulation Secretion, MSS), 배출속도(Secretion Velocity, SV)를 각각 측정하였다. 구강 건조증 환자와 건강한 Control 그룹간의 이하선과 악하선의 기능적 매개변수 지표 비교에서는 최소 방사능 시간을 제외한 모든 지표에서 건강한 Control 그룹이 환자 그룹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게 측정되었으며, 시간에 따른 변화량도 Control 그룹이 환자 그룹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변화량이 크게 측정 되었다.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에서 다양한 기능적 매개변수 지표를 이용한 정량분석은 구강 건조증 환자의 타액선 기능을 평가하는데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혼합치열기 어린이에서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sobrinus의 분포도 조사 (PREVALENCE OF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SOBRINUS IN CHILDREN WITH MIXED DENTITION)

  • 이명성;최성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47-254
    • /
    • 2007
  • 본 연구는 125명의 6-11세 혼합치열기 아동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라 초기 혼합치열기 A군(6-8세; 62명)과 후기 혼합치열기 B군(9-11세; 63명)으로 분류하고 유치의 dfs, 영구치의 DFS를 기록한 후 자극성 타액을 채취하여 TYCSB 배지에 배양해서 S. mutans와 S. sobrinus를 구분하였으며 PCR을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S. mutans와 S. sobrinus의 분포도와 치아우식증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 mutans와 S. sobrinus의 상관계수는 A군 0.70, B군 0.50로 두 군 모두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2. S. mutans와 치아우식증과의 관계는 A군(r=0.25)과 B군(r=0.34) 모두에서 약간의 관련성이 나타났다. 3. A군에서 S. sobrinus와 치아우식증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군(r=0.21)에서는 미약한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 4. S. mutans와 나이의 상관관계는 A군과 B군 모두에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S. sobrinus와 나이의 상관관계는 A군(r=0.32)에서는 약간의 관련성이 나타났고, B군에서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구내 건조증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역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 정적영상과의 비교 (Dynamic Salivary Gland Scintigraphy in Clinical Sicca Syndrome: Comparison with Static images)

  • 김의녕;손형선;최정은;김성훈;정용안;정수교;김춘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3-51
    • /
    • 2001
  • 목적: 이번 연구는 임상적으로 구내 건조증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Tc-99m pertechnetate를 사용하여 역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를 얻어 기능적 변수를 정량화 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적 타액선 신티그라피와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상적으로 구내 건조증을 호소하는 환자 26명의 52개의 이하선과 52개의 악하선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환자에서 역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와 정적 타액선 신티그라피를 얻었다. 비교를 위하여 10명의 정상 대조군에서 같은 방법으로 타액선 신티그라피를 획득하였다. 370 MBq Tc-99m pertechnetate를 정주한 다음 10분 후에 자극 전 정적영상을 획득하였고 이어서 20분간 역동적 영상을 획득하였는데 이때 최타 자극을 위해 레몬 주스를 사용하였다. 역동적 영상을 획득한 후에 정적영상을 다시 획득하여 재섭취 영상으로 하였다. 역동적 영상에서는 섭취율, 분비율 및 재섭취율과 같은 기능적 변수를 획득하여 정상과 비정상을 판별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적영상과 동적영상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모든 증례에서 역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에서 섭취율, 분비율 및 재섭취율을 성공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역동적 신티그라피에서 각각 52개의 이하선과 악하선 중 22개의 이하선과 22개의 악하선이 비정상으로 판독되었다. 정적 신티그라피에서는 다른 결과가 초래 되었는데 역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의 결과를 참조하여 그 원인을 추정할 수 있었다. 결론: Tc-99m perechnetate를 사용한 역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는 정적 신티그라피보다 타액선의 기능적인 평가에 더 유리하다고 생각되며 임상적으로 구강건조증이 있는 환자에서 타액선의 기능적인 변화를 평가하는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 PDF

다양한 구강안면통증환자의 혈장 및 타액에서의 신경성장인자와 감각성 신경펩티드 농도에 관한 연구 (Nerve Growth Factor and Sensory Neuropeptide Levels in Plasma and Saliva of Various Orofacial Pain Patients)

  • 장민욱;정성창;정진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4호
    • /
    • pp.387-395
    • /
    • 2009
  • 신경섬유 말단에서의 유해자극 인지과정에는 신경성장인자 (nerve growth factor [NGF])와 감각성 신경펩티드가 관여하고, 또한 이들은 중추신경계에도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인체 혈액과 타액에서 NGF와 감각성 신경펩티드(substance P [SP],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의 농도를 조사하여 다양한 구강안면통증 증상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67명의 구강안면통증 환자 (관절 통증, 치아 혹은 치주 통증, 점막 통증)와 36명의 건강한 성인에서 혈장과 안정시 전타액을 채취하여 효소면역분석법 (enzyme immunoassay)을 이용하여 NGF, SP, CGRP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만성통증척도 (Graded Chronic Pain Scale) 설문지를 이용하여 각 피실험자들의 통증강도를 조사하였으며 안정시 전타액의 타액분비율 또한 측정하였다. 관절 통증 환자군은 치아 통증 환자군, 점막 통증 환자군, 대조군 각각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혈장 내 NGF 농도를 나타내었다. 치아 통증 환자군의 혈장 내 NGF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치아 통증 환자군의 타액 내 SP 농도와 점막 통증 환자군의 타액 내 CGRP 농도 또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관절 통증 환자군의 혈장 및 타액 내 SP 농도는 통증 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치아 통증 환자군과 점막 통증 환자군에서, 혈장 내 SP 농도, 타액 내 SP 농도, 타액 내 CGRP 농도는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다. 혈장과 타액에서의 신경성장인자와 신경펩티드 검사는 다양한 구강안면통증의 특성과 예후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혼합치열기 어린이에서 mutans streptococci에 대한 자일리톨 껌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THE ANTICARIOGENIC EFFECTS OF XYLITOL ON MUTANS STREPTOCOCCI IN CHILDREN WITH MIXED DENTITION)

  • 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32-638
    • /
    • 2007
  • Xylitol 껌의 mutans streptococci(MS)에 대한 항균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6세${\sim}$11세 사이의 혼합치열기 어린이 62명을 선정하였다. 4개월 동안 1개의 xylitol 껌을 하루 3회 씹는군, 2개의 xylitol 껌을 하루 3회 씹는 군과 xylitol 껌을 씹지 않는 대조군으로 나누어 하루 3번 식후 최소 5분간 껌을 씹게 한 후 1개월 간격으로 자극성타액을 채취하여 선택배지(mitis salivarius kanamicin bacitracin agar)에 배양한 후 MS 군락 수의 감소를 평가하였다. 1회 1개의 xylitol 껌을 씹는 군에서는 MS의 감소를 보이지 않았고, 1회 2개의 xylitol 껌을 씹는 군에서 4개월째 MS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 < 0.05). 따라서 혼합치열기 어린이의 경우 하루 3회, 총 10g 정도의 xylitol을 4개월 이상 꾸준히 사용하였을 경우 치아우식증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타액 내 Streptococcus mutans 수준의 측정 (DETECTION OF SALIVARY STREPTOCOCCUS MUTANS LEVELS USING MONOCLONAL ANTIBODIES)

  • 김추성;김재곤;양연미;백병주;이경열;김미아;임수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86-192
    • /
    • 2010
  • Streptococcus mutans는 구강 내에 상존하는 치아우식증의 주요 원인균으로서 치면의 피막에 부착 후 glucan을 형성하여 세균의 군락을 이루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자당대사를 통하여 유기산을 생성함으로써 법랑질을 탈회시킨다. 치아우식 활성도의 평가를 위한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방법은 진료실에서 빠른 시간 내에 간편하게 타액에 존재하는 Streptococcus mutans의 정량분석이 가능한 방법이다. 이 연구는 3세에서 6세 사이의 어린이 15명을 대상으로 자극성 타액을 채취하여 시판 중인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Salivacheck$^{TM}$ Mutans, strip을 이용한 Dentocult$^{(R)}$-SM 그리고 MSB배지 배양법으로서 타액 내 Streptococcus mutans를 측정한 후 그 값을 우식경험치아수와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Saliva-check$^{TM}$ Mutans를 이용한 방법은 Dentocult$^{(R)}$-SM과 MSB배지법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p<0.05), MSB배지법은 어린이의 우식경험치아수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p=0.34).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의 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urning Mouth Syndrome)

  • Jin-Woo Chung;Ki-Yong Hyun;Sung-Woo L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9권2호
    • /
    • pp.7-23
    • /
    • 1994
  •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은 객관적 징후없이 구강점막에 작열감을 나타내는 만성동통장애이다. 다양한 원인요소들이 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하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강내 기능이상의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다양한 임상적 관찰과 원인요소의 분석등이 계속 연구 조사되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는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의 증상을 호소하는 112명의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대해 조사하고자, 환자군과 대조군에 대해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에 관한 설문조사 및 구강검사와 혈액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점도계를 사용하여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의 자극이 전타액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환자의 심리적 요인을 파악하고자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은 주로 페경기 전후의 여성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호발부위는 혀, 치주 및 치조점막, 구개, 협점막의 순이었다. 2.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에게서 대조군 비해 구강건조감, 미각 및 수면장애, 빈혈, 소화기 장애, 두통과 기타 다른 신체불편감의 호소 등이 더 많이 나타났다. 3. 혈액학적 검사결과,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중의 26%와 12%에서 각각 혈중 엽산농도와 철분농도의 저하를 나타냇다. 4. 자극시 분비된 전타액의 점도는 40대와 50대이상의 연령군에서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가 정상인에 비해 높았다.(p<0.01). 5.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군의 간이정신진단검사의 각 증상차원 및 전체지표의 T점수의 평균치는 정상범위내에 있었으며, 신체화(SOD)와 우울 (DEP)차원의 평균치가 가장 높았다.

  • PDF

구강 내 자당 및 포도당 잔류 경과 시간에 따른 칼륨과 마그네슘 농도 변화 (Survey on the Changes of Potassium and Magnesium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Retention Time After Rinse of Sucrose and Glucose in Oral)

  • 이혜진;양달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24-433
    • /
    • 2019
  • 본 논문은 설탕물 양치 전후, 타액 내 칼륨과 마그네슘의 농도 변화를 분석한 연구이다. 타액 샘플은 10% 자당(포도당) 용액으로 양치하기 전과 양치 직후부터 60분까지 채취하였고 이온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석하였다. 설탕물 양치 전 칼륨의 평균 농도는 274.3±77.9 mg/ℓ (279.2±62.1 mg/ℓ)이며, 마그네슘의 평균 농도는 4.5±2.5 mg/ℓ(4.8±2.0 mg/ℓ)이다. 설탕물 양치 직후, 칼륨과 마그네슘의 농도는 자당의 경우 143.9±55.4 mg/ℓ, 2.7±3.1 mg/ℓ이며, 포도당의 경우 150.9±64.2 mg/ℓ, 2.6±0.7 mg/ℓ로 대조군에 비해 급격히 낮아졌으나, 양치 후 60분에서 대조군의 이온 농도 수준으로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즉 설탕물 양치 직후에는 자극에 의해 타액 내 칼륨과 마그네슘 이온 농도가 낮아지나, 60분 후에는 타액의 자정작용으로 구강 내 향상성이 회복되었다. 본 논문은 타액에 관한 기초자료를 축적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 연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