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극성 섬유종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2초

자극성 섬유종에서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expression of mast cell and macrophage in irritation fibroma)

  • 한혜연;강남규;유미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74-180
    • /
    • 2013
  • 연구목적 : 자극성 섬유종은 만성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구강내 증식성 병변이다. 상처치유의 초기 과정에서는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가 섬유모세포의 이주, 증식, 아교질합성 등에 연관되어 있는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자들은 자극성 섬유종을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세분하고, 각각의 조직학적 아형에서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발현을 조사하여 자극성 섬유종의 발생 기전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82예의 자극성 섬유종을 조직 소견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자극성 섬유종과 10예의 정상 구강점막에 톨루이딘 블루 염색과 CD 68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계화하여 자극성 섬유종의 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분포 정도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 통계 결과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분포는 자극성 섬유종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Spearman 상관계수는 0.693이었다. 결론 : 조직의 섬유화에 관여하는 비만 세포는 자극성 섬유종의 cellular type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대식 세포도 자극성 섬유종의 모든 아형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자극성 섬유종의 형성 과정에는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상악 중절치의 이소맹출로 인해 발생한 자극성 섬유종 (Irritation Fibroma Associated with Ectopic Eruption of the Maxillary Incisor)

  • 정연욱;강정민;김승혜;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07-212
    • /
    • 2016
  • 자극성 섬유종은 만성적인 자극 또는 외상에 의해 발생하는 구강 내의 흔한 섬유증식성 병소이다. 자극성 섬유종과 유사한 형태의 다른 양성 또는 악성 연조직종양의 감별진단을 위해서는 병리조직학적 검사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엔젤만 증후군 환아에서 상악 좌측 중절치의 이소맹출로 인해 자극성 섬유종이 발생하여 미다졸람을 이용한 근육내 진정 하에 절제생검을 시행한 뒤, 병소의 재발 없이 양호한 치유 결과를 나타내고 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한 자극성 섬유종과 구강 백반증에서의 TGF-β1과 EGFR 발현 비교 연구 (Expression of TGF-β1 and EGFR in Irritation Fibroma and Oral Leukoplakia)

  • 유미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97-10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자극성 섬유종의 병인론을 이해하고자 1997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병리학교실에서 자극성 섬유종으로 진단된 88예와 구강 백반증으로 진단된 44예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상처 치유 기전에서 작용하는 인자 중 TGF-${\beta}1$과 EGFR에 대한 일차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TGF-${\beta}1$의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자극성 섬유종과 구강 백반증의 상피에서 TGF-${\beta}1$ 발현이 감소하였고 자극성 섬유종 종괴내 섬유아세포의 TGF-${\beta}1$ 발현이 증가하였다. 2. EGFR의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자극성 섬유종과 구강백반증 상피에서 EGFR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3. TGF-${\beta}1$과 EGFR간 피어슨 상관 계수를 구하였을 때 구강 백반증의 상피 조직에서 역상관관계의 발현 양상을나타내었다.

  • PDF

신생아의 치조제에 발생한 양성 종물 (BENIGN TUMORS IN THE ALVEOLAR RIDGE OF NEWBORNS)

  • 이제호;김소화;윤정훈;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0-315
    • /
    • 2001
  • 신생아에서 흔히 발생하는 연조직 종양으로는 신생아의 구개 및 치은 낭종(palatal & gingival cyst of the newborn), 선천성 치은종(congenital epulis), 혈관종(hemangioma), 기형종(teratoma), 화농성 육아종 및 자극성 섬유종(pyogenic granuloma & irritation fibroma)이 있다. 이렇게 신생아의 치조제에서 발생한 연조직 종양은 대부분 외과적으로 절제하여 치료하며, 치료하지 않는 경우 흡인(aspiration)으로 인한 기도 폐쇄 및 호흡 곤란, 구강으로 수유시 불편감, 비강으로 수유시 구토가 불가능해 흡인폐렴(aspiration pneumonia) 유발 가능성이 있다. 본 증례는 신생아의 치조제에 발생한 연조직 종양으로, 외과적으로 절제하여 치료하였으며, 조직 검사 소견상 화농성 육아종 및 자극성 섬유종과 유사하였지만 다핵형 거대세포(multinucleated giant cells)가 관찰되었고 선천적으로 발생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 종물의 병리 기전은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으며 어떤 특정 질환으로 포함시키는 데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이산화탄소 레이저($CO_2$ laser)를 이용한 치은에 발생한 자극성 섬유종의 치료 (Treatment of Gingival Irritation Fibroma Using $CO_2$ Laser)

  • 최영찬;박주현;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2호
    • /
    • pp.119-122
    • /
    • 2010
  • 이산화탄소 레이저(Carbondioxide laser, $CO_2$ laser)는 구강 연조직 수술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레이저의 한 종류로 수분이 많은 연조직에 특히 좋은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수술도, 열소작술, 냉동수술, 전기수술 같은 기존의 외과적 술식들과 비교했을 때, 우수한 지혈 효과, 술 후 부종 감소, 세균집락 감소, 봉합 필요성 감소, 반흔 형성 감소, 술 후 통증 감소 같은 많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30세 남자가 상악 우측 구치부 협측 치은 부위에 발생한 경계가 뚜렷한 유경형 섬유성 병소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방사선 사진 검사 상 특기할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레이저를 이용한 절제 생검 계획하에 $CO_2$ 레이저(Panalas $CO5{\Sigma}$, Panasonic, 4.0W, 연속파 조사 방식)를 이용하여 보존적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병소의 절제 시 최소한의 출혈 양상으로 인해 우수한 시야 확보와 좋은 접근성을 유지할 수 있었고, 술 후 양호한 치유 경과를 보였으며, 환자는 아무런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았다. 조직학적 진단은 "자극성 섬유종(Irritation fibroma)"이었다. $CO_2$ 레이저는 구강 내 병소의 외과적 치료에 적합한 많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으므로, 치과의사들이 레이저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레이저를 이용한 술기에 대한 지식을 적절히 습득하여 사용한다면, 구강 연조직 질환의 효율적인 치료를 위한 좋은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능형 산-감응 섬유웹을 위한 전기 방사 (Electrospinning for Smart Acid-Sensitive Fiber Webs)

  • 소정현;이선화;정재윤;윤기종;조재환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9-260
    • /
    • 2003
  • Smart 재료는 외부의 환경에 따라 재료 스스로 주어진 자극을 판단하여 응답할 수 있는 재료를 말한다. 기존의 재료들이 갖는 수동적 응답 기능을 넘어서 생물체처럼 환경에 반응한다는 점에서 뛰어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변색성 염료도 이러한 smart 재료 중의 하나로 광, 온도, 화학물질, 전기장 등의 외부 환경 조건의 변화에 따라 색상이 바뀌게 할 수 있다. 대부분의 변색성 염료는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섬유나 필름에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항상 내구성이나 안정성 등에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중략)

  • PDF

Styryl계 PMMA를 이용한 고분자 필름의 화학적 자극-응답 특성 (Chemical Stimuli-Responsible Characteristics of Polymer Films Using PMMA Containing Styryl Dye)

  • 이선화;이범훈;정재윤;윤기종;조재환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0-63
    • /
    • 2003
  • Smart 재료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자극을 받을 경우 형상, 색, 전기적 또는 광학적 특성 등이 변할 수 있는 소재를 말한다. 기존의 재료들은 단지 주어진 환경변화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데 대하여 smart 재료는 이런 한계를 넘어 생물체처럼 환경에 반응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새로운 소재로 각광받을 수 있을 것이다. 변색성 재료도 이와 같은 중요한 smart 소재에 해당하는데, 물질에 따라 광, 온도, 화학물질, 전기장 등의 외부 환경조건에 응답할 수 있다. (중략)

  • PDF

참개구리, 북방산개구리, 옴개구리 뇌에서 3가지 생식소 자극 호르몬 분비 호르몬(mGnRH, sGnRH, cGnRH II )의 분포 (Localization of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mGnRH, sGnRH and cGnRH II) in the Brain of three species of Frog, R. nigromaculata, R. dybowskii and R. rugosa)

  • 김정우;최완성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1-173
    • /
    • 1994
  • 면역효소법을 이용하여 3종의 한국산 개구리 참개구리(Rono nigromaculuto), 옴개구리(R. rugosa), 북방산개구리(R. 겨대bowskii)의 뇌에서 GnRH 뉴우런의 분포 부위와 GnRH의 종류 등을 연구하였다. 1차 항체로는 anti-rat GnRH, anti-salmon GnRH anti-chicken 11 GnRH 항체를 사용하였다. 3종의 개구리에서 mGnRH cGnRH 11와 sGnRH가 이둔 동정되었으나 3가지 항체에 대한 각 종의 면역 반응성은 종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mGnRH는 옴개구리와 참개구리에서, sGnRH는 북방산개구리에서 강한 면역 반응을 나타냈으며 cGnRH 11는 3종의 개구리에서 중간 정도의 면역 반응을 나타냈다. 각각의 GnRH의 상대적인 양에는 차이가 있으나 일부 경우를 제외하고는 뇌의 동일한 지역에 분포하였다. 참개구리에서는 GnRH가 중격 내측핵(NMS), Broca band 핵(NDB)에 집단으로 분포하였다. 북방산개구리에서는 GnRH가 중격 내측핵, Broca bnad 핵에서 등쪽에서 배쪽으로 길게 선상으로 가장 협소하게 분포하였으며, 번식기와 직전(1월-3월)에만 면역 반응을 나타냈다. 옴개구리의 뇌에서 가장 광범위한 지역, 즉 종뇌의 중격 내측핵, Broca band 핵, 아래 교차 지역(SCA)과 간뇌에 GnRH 신경세포가 분포하였으며. 제3뇌실 맥락얼기에서 mGnRH 신경세포가 처음으로 동정되었다. 3종에서 공통적으로 중격 내측핵과 Broca band 핵에서 유래한 신경섬유는 복측 시상하부를 거쳐 정중융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결과는 GnRH가 뇌하수체에서 생식소 자극 호르몬의 분비 조절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뜻한다.

  • PDF

아크릴 섬유의 개질에 의한 자극응답성 섬유 (Responsive fibers from Modification of Acrylic Fibers)

  • 윤기종;우종형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3-58
    • /
    • 2004
  • The preparation of responsive fibers from acrylic fibers is studied. Various responsive fibers, such as fibers which change their color on exposure to light or with change in temperature, have been developed and are used commercially However, the responsive material in these fibers are not the fiber itself but chemicals in microcapsules attached to the fibers by finishing, and few fibers exhibit responsive properties by itself. The partial hydrolysis of polyacrylonitrile fibers to obtain pH responsive fibers is presented in this paper. Partial hydrolysis was effected by control of the concentration of the sodium hydroxide used in the hydrolysis, hydrolysis temperature and time. The degree of hydrolysis was evaluated by nitrogen content of the hydrolyzed fibers and their response, change in length, to aqueous solutions of varying pH was studied by continually changing the pH. Significant changes in lengths with pH were observed and the gel transition behavior varied with the conditions of hydrolysis. The hysteresis of the length change was also studied to evaluate the possibilities of using hydrolyzed acrylic fibers as pH sens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