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입지와 공간배치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5초

선운사 입지의 공간구성과 가람 배치 (Space Composition and Layout of the Location of Seon-Un Temple)

  • 배영한;박정해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137-151
    • /
    • 2024
  • 본 연구는 고창 도솔산(兜率山) 선운사(禪雲寺) 입지에 대한 풍수적인 특징을 현장조사와 문헌고찰을 통해 형세론적 관점과 이기론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풍수가 갖는 특징적인 요소는 자연과 조화를 최우선 하며 합리적인 방법을 통하여 입지선정의 기준점으로 삼았다. 신라시대 입당승들은 형세풍수가 처음 나타난 강서지역에 유학을 하였는데, 강서지법의 형세풍수가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사찰의 입지선정과 가람배치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선운사는 도솔산 아래에 입지하여 그 의미가 클 수밖에 없었고, 부처님의 나라로 들어가는 도솔천(兜率川)과 도솔암(兜率庵)을 통한 불교적 완성을 이루고자 하는 바람의 실천이었다. 따라서 고창 도솔산(兜率山) 아래에 자리한 선운사 입지에는 다양한 풍수적 특징이 반영되었는데, 특히 도솔산 선운사의 입지에는 풍수가 가지고 있는 특징과 의미를 논리적으로 사용하였고, 불교의 가장 신성한 의미를 갖는 불교 교리와 사상 전파를 목적으로 하는 자연과 하나되는 모습을 실천하였다.

조선-일제강점기 동래읍성 경관변화 연구 (A Study on the Historical Landscape of Dongrae Ciy-wall in Busan)

  • 김기혁;김성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17-336
    • /
    • 2002
  • 본 연구는 동래 읍성의 입지, 성곽 형태 및 도로망. 관아 및 가옥분포 토지이용 등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의 경관 복원을 시도한 후. 일제강점기에 나타난 변화를 파악하여 이를 사회ㆍ문화적인 측면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가야시대부터 취락이 형성되었던 현재의 장소에 고려말 읍성이 이전 입지한 것은 해안방어 요충지와의 접근성을 최대로 하기 위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읍성이 위치한 장소는 동래부의 중심 공간으로 등장하였다. 이와 같은 입지 특성은 4대문 위치 및 성안의 도로망 분포 등에 영향을 주었다. 관아시설의 배치는 중앙 권력의 상징. 읍성 군사 방어 기능과 관련되어 배치되었다. 객사 입지는 중심공간에 지형을 이용하여 권력 질서의 위계를 반영하였으며. 좌측에 동헌. 우측에 향청 및 군사 기능이 배치되었다. 읍성내 취락은 남문을 중심으로 분포하였고. 산록부는 농경지로 이용되었다. 일제 강점기 중 1920년대 시행된 시구개정사업으로 성벽이 철거되었고, 성안에 격자상의 도로망이 신설되었다. 평지에 있던 성벽 자리는 도로용지나 주택지로 이용되었다. 객사와 동헌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성안의 공간구조가 변화되었고. 관아건물은 공공기관으로 사용되거나, 민간인에게 불하되어 다른 용도로 이용되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읍성이 위치하였던 장소의 상징적 의미는 쇠퇴되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읍성은 부산시민에게 역사적인 중심공간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현재 남아 있는 일부 경관을 중심으로 복원작업이 시도되고 있다. 연구 결과는 읍성이 단순히 건축물이 아닌 당시대의 사회문화가 투영된 경관이며, 각지방에 소재한 읍성은 새로운 시각으로서 재조명되어야 할 것임을 보여준다.

화이트 스페이스를 활용한 슈퍼 와이파이 시설의 효율적 배치를 위한 공간 입지 모델링 (Spatial Location Modeling for the Efficient Placements of the Super WiFi Facilities Utilizing White Spaces)

  • 이건학;김감영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59-271
    • /
    • 2013
  • 본 연구는 차세대 '정보 고속도로'로 각광받고 있는 슈퍼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도입을 위한 효율적 시설물 배치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슈퍼 와이파이는 기존 TV 방송의 유휴 주파수 대역인 화이트 스페이스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넓은 지리적 서비스 범위를 가지기 때문에 인구 저밀도 지역이나 산간 지역에 대한 인터넷 접근성의 격차를 해소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슈퍼 와이파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공간 계획을 탐색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전라남도 구례군을 대상으로 최적 입지 커버링 모델들을 적용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상이한 입지 모델(LSCP, MCLP)에 따른 최적화된 슈퍼 와이파이 입지 지점들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시설물 수에 따른 커버리지 상쇄효과, 한계 커버리지와 같은 슈퍼 와이파이 네트워크 구축에 있어 유의미한 분석 결과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시내 무선 네트워크의 확장이나 지역 무선 인프라 시설 구축에 슈퍼 와이파이를 도입하고자 하는 의사결정자에게 매우 유용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제주도 정의향교의 유교문화경관에 대한 공간분석 (Spatial Analysis of the Confucian Cultural Landscapes at Jeongeuihyanggyo, Jeju Island)

  • 이행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42
    • /
    • 2017
  • 제주도 소재 정의향교는 전통적인 유교 예제건축으로 유교문화경관을 표상하는 사례가 된다. 조선 태종16년(1416)에 정의현 설치와 함께 성산읍 고성리에 처음 세워졌으나 헌종 15년(1849)에 성내 서쪽으로 이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 유구한 역사를 가진 곳이다. 향교가 가지는 문화경관 자원의 특성을 공간구성과 유교의 공간예제 적용방식을 통하여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하여 정의향교가 가지고 있는 유교문화경관의 공간구조와 유교예제에 관한 특징을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분석하였다. 즉 정의향교의 건립과 이건에 따른 변화과정, 고지도를 통한 입지적인 해석, 정의향교의 유교적 상징요소, 공간구성과 배치형태, 물리적 구조, 주요건축물, 지형면에서의 입지특성, 축선의 변화, 그리고 대성전 전면공간의 위요감(D/H비) 등을 통하여 유교예제가 공간구조에 나타나는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정의향교는 제주도라는 단절된 섬 지역에서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유교적 교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건립되었으며, 성내 입지라는 한정된 공간 조건 가운데서도 수평적, 수직적으로 다양한 배치기법을 통하여 유교 특유의 공간예제를 적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되살려서 정의향교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유교문화경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철도역 개발특성을 통한 역광장 배치유형 계획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ayout patterns of railway station squar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ailway station)

  • 양승희;이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71-581
    • /
    • 2016
  • 본 연구는 철도역과 주변부의 효율적인 환승 및 연계를 위해, 철도역 역광장 배치유형에 따른 계획특성 도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관련 문헌 및 현황자료를 바탕으로 철도역 및 역광장의 개념 및 계획특성을 살펴보고, 철도역 역광장의 배치 유형을 도출하였다. 철도역 역광장 배치유형에 따른 역광장 계획특성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 철도역은 도심형 입지(59.3%)와 지상역(43.7%) 및 선상역(40.6%)의 역 형식이 높은 구성을 보이고 있다. 둘째, 철도역 역광장은 교통공간과 환경공간으로 구성되며, 회차형(PC), 전면 정차형(PS-1), 측면 정차형(PS-2), 순환형(PI)으로 유형화 할 수 있다. 셋째, 입지에 따른 철도역의 역광장 배치유형별 평균 규모는 도심형($16,882.3m^2$), 도시외곽형($37,698.9m^2$)으로 도시외곽형이 약 2.2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입지에 따른 철도역의 역광장 형상은 도심형(1.00:0.73), 도시외곽형(1.00:0.37)으로 분석되었다.

도심활성화를 위한 용도별 지역연계 공영주차장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산타바바라시의 공영주차장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District Respectable Public Parking Planning for Urban Revitalization -Comparison of Santa Barbara Public Parking System-)

  • 오준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84-691
    • /
    • 2016
  • 본 연구는 도심활성화를 위한 기본적 인프라인 공영주차장의 특성과 역할을 도시, 건축적 관점을 통하여 도심의 일반적 용도인 상업업무지역, 문화관광지역, 판매시장지역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지역과 연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공영주차장의 문제점과 계획전략을 산타바바라시의 사례와 국내사례의 비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공영주차장의 입지와 배치계획은 도시와의 연계성을 존중하여 출입구를 배치하여야 한다. 둘째, 공영주차장은 지역의 특성과 사용의 편의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공공에서의 공영주차장 설치도 중요하지만 지역의 공공과 민간 협력에 의한 공영주차장의 계획은 산타바바라시의 사례처럼 보다 성공적인 결과를 나타낸다. 셋째, 공영주차장의 성공적인 계획은 대상지역의 가로와 보행공간의 활성화로 이어진다는 점이며 이는 지역 경제와 도심활성화로 귀결된다.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SML을 이용한 남제주 지역의 임상분류 기법 개발 (Developing the forest classification technique in Namjeju area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SML (Spatial Modeling Language))

  • 조명희;조윤원;김성재;송완영;정영교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9-364
    • /
    • 2006
  • 최근 GIS를 비롯한 공간정보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국토전반에 대한 정보화와 과학적인 관리기법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효율적인 산림관리를 위하여 위성영상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산림정보가 구축되고 있으나, 산림지역이라는 지리특성상 현장 출입이 제한적이고 위험하여 정보수집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산림정보구축을 위하여 남제주군을 대상으로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공간정보추출언어인 SML(Spatial Modeler Language)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델별 산림지역의 임상정보를 추출, 임상분류를 위한 모델링 기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l/5,000도엽을 기준으로 표본점을 배치하고 임상, 하층식생, 입지 및 토양에 대한 현지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추출자료와의 상관성 분석 및 검증을 통하여 공간정보 기술을 이용한 산림정보 구축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서남해 연안 해상풍력 발전단지 지리적 적합지 선정 및 최적배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Site Selection by Constraint Mapping and Park Optimization for Offshore Wind Farm in the Southwest Coastal Area )

  • 김중호;류건화;손홍철;김영곤;문채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145-1156
    • /
    • 2022
  •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개발을 위한 입지 적합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발로 인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사회적·생태적·경제적 핵심가치에 대한 편익 상충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또한 해양공간계획상 타 용도구역과 충돌하지 않도록 입지 적정성에 대한 사전검토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추가로 전남 해역 인근의 풍력자원을 포함한 국지적인 기상 특성 분석도 사업타당성 조사 이전에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영광군 안마도 인근 왕등여에 설치된 기상탑의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풍력자원분석을 수행하였고, 해상풍력 단지 입지 관련 지리적 제약조건을 배제한 후 최적 입지구역을 선정하였다. 또한, 국지적 풍력자원 특성에 적합한 풍력단지 최적배치 결과를 WindSim 기반으로 도출하여 연간발전량을 산출하였으며, 향후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입지발굴 및 적합지 선정에 기초연구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예산 정동호가옥의 입지와 공간배치에 대한 연구 - 풍수 형세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ocation and Space Layout of Traditional House of Jeong Dong-Ho - Focused on the Hyungsei-ron of Pungsu(Fengshui) -)

  • 한종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9-26
    • /
    • 2019
  • Pungsu theory is important one in the site selection and lay-out of traditional Korean village and house. In this aspect, Study with a view of Pungsu theory might be used as a proper method for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in Korea.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Jeong, Dong-Ho's house which is designated no. 19 as an important folk cultural heritage, located in Jigok Ochu-gil 133-62, Godeok-myon, Yesan-gun, Chungnam province. The analysis of the site and space lay-out is carried out by Yong(Dragon), Hyoel(Auspicious Spot), Sa(Sands), Su(Water) aspects of the Pungsu(Fengshui) Hyungsei-ron. The house is depending upon soft dragon vein connecting with a earth type rear mountain. It looks southeast direction, Gonjwasonhyang(乾坐巽向). The hyeolseong(穴星) has classical venus shape, and there is no faults relatively. The Sasinsa condition is almost perfect that right blue dragon and left white tiger surround the hyeol with 3-4 layers and the facing mountain covers the front open area. The water flowing from inside of left and right mountain is joined in front of the house so it could stop flowing out of vital energy. Bibo forest(裨補樹) is placed properly to protect the easy disclose of water outlet. The house is well organized western house(西四宅) by analysis of Dongseosataek-ron(東西四宅論). Through the analysis, I found that the house has good Pungsu(Fengshui) environment fitted with Pungsu Hyungsei-ron. The house composed of small thatched roof is enclosed several times by low hills of back, left and right side. So it is believed that the site might be carefully evaluated by Yong, Hyoel, Sa, Su of Hyeongsei-ron for knowing whether the site condition could minimize the demage by strong winds and protect from the winter cold wind and secure water for drinking and farming and then selected. The method of Pungsu for evaluating the geographical condition of surrounding of a site is used as a traditional site analysis method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long-term well and safe residence.

공공도서관의 공간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Public Library Space Management)

  • 서혜란;김선애;강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1-156
    • /
    • 2008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공간운영 실태조사를 통해 공간운영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해 결해야 할 문제점을 도출, 이를 바탕으로 발전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이 공공도서관 신축 및 공간배치 등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전국 524개 공공도서관에 설문지가 배포되었으며, 설문에 응답한 167개관(31.87%)을 대상으로 공간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간부족, 노년층과 신체적 약자 등 지식정보 취약계층을 위한 시설과 서비스의 부족, 지역사회 문화공간으로서의 시설 부족, 접근성이 저하된 도서관의 입지조건 등이 현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공간운영상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