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입면구성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1초

픽셀화기법을 통한 건축물 외벽의 하자와 입면 구성 요소 간의 관계 분석 (Correlation between Building Facade Elements and Defects through "Pixelization Method")

  • 김우람;전용덕;신정란;정기창;이재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40-48
    • /
    • 2016
  • 건설산업은 수요층의 질적 성장에 따른 건축물 설계의 다양화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중 장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하자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오히려 건축물의 가치가 하락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때문에 건축물의 특성과 하자에 대한 관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개념을 건축물 외부에 적용하여 건축물 입면 요소와 하자에 대한 관계를 정량화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기존에 정성적, 경험적으로 인지했던 입면 요소와 하자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여 명확한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이를 픽셀화기법이라 지칭하였으며, 이는 건축물의 입면을 단위구획으로 구분하여 단위구획의 특성에 따른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데이터화하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픽셀화기법을 통해 건축물 입면 요소와 하자에 대한 관계를 정량화하고, 이에 대한 능동적 대처 방안의 기틀을 구축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시화학 측면에서의 한국전통건축 입면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ev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Visual Perception)

  • 장석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7-27
    • /
    • 1997
  • This thesis is concerned with a study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visual perception. This study, therefore has been made of principles of visual perception. range of visual perception in architectural environment, spat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example case studies are exhibited.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al principles of parts selected in process of study could be selected to facilitate comparison with the perceptual psycholog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construct Korean architectural plans. elevations. form and spatial and order pertinent to human understandings and existances on the priority of wholeness and the relationship of parts to visual perception.

  • PDF

한국전통 실내공간의 구성방법과 요소 분석을 통한 의미 고찰 - 조선조 추사고택을 중심으로 - (An evaluation of the composition and elements in Korean traditional interior space - On Choosa-Gotack in the Chosun dynasty -)

  • 천진희
    • 디자인학연구
    • /
    • 16호
    • /
    • pp.101-110
    • /
    • 1996
  • 추사고택은 조선조 상류주택의 전형적인 사례로서 실내공간의 구성방법과 요소를 분석해 본 결과 다양한 요인을 배경으로 한 분화과정 속에서 다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융통성을 가진 전형화 된 공간의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고 요약할 수 있다. 계단식의 입면을 구성하는 엄격한 계층성에 의한 장소 성을 표현되는 일례가 되며, 마루와 온돌의 높이는 신분상의 위계질서와 음양사상을 나타내고 있다. 입면을 구성하는 목가구식 구조의 노출천장과 창호는 4계절의 기후변화 속에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에 적합하며, 자연미와 전통적 조형미가 어우러져 한옥 고유 미를 창조하고 있다. 추사고택에서 천장 고와 입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치수를 조사해본 결과, 대청의 입면 적 척도는 각 부재의 치수와 함께 사용자의 인체치수와 관계가 있었다. 평면 구성상의 특징은 규격화이며, 이것은 칸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둥 간격 차이는 성별, 인체 치수 차이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1칸을 기본 모듈로 하여 규칙적인 공간 단위를 병렬로 증식시켜 확장한 것은 주인의 일상생활이 하인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졌기 때문에 동선을 그리 중요하게 여기지 않은 결과이다. 추사고택 안채는 폐쇄적인 ㅁ 자형, 사랑채는 개방적인 ㄱ 자형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이는 조선조의 남녀 지위차등과 내외사상, 그리고 자연 환경 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주거의 평면 구성에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가 조선시대 상류 주택 중 한 사례에 한정되었으므로, 현존하는 많은 사례 조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본 연구의 미비점이 보완되어 더욱 체계적인 연구가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파사드의 형태적 연속성에 따른 색채분석 (The Color Analysis Based on Formative Continuity of the Facade)

  • 송인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245-252
    • /
    • 2000
  • 건축물의 파사드는 상업공간인 경우, 매장의 일부이며 가로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요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그 기능적인 문제와 표현상의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매장과 가로공간의 양측면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연구는 도시의 가로 공간의 구성요소인 파사드와 색채의 상호연관성의 고찰을 통하여 사인물을 비롯한 매장의 디자인 나아가 건축디자인의 색채계획에 있어 형태적 특성에 따른 접근 방법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개별 건축물의 특성보다는 2차원적인 건축물의 입면이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명동을 조사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입면 유형에 따른 종횡방향의 연속성과 입면 구성요소의 색채분석을 실시하여 상호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앞으로 도시환경의 색채계획은 결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개개의 강조보다는 건축물의 형태적 특성에서 비롯되는 관련성을 고려한 전체 틀 속에서 검토되어야하며, 이는 곧 쾌적한 도시환경을 창조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 PDF

울산지역 누정의 공간구성과 형태특성 분석 (Analysis for Form and Space Composition of Traditional Pavilion in Ulsan Province)

  • 이재현;이창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82-491
    • /
    • 2011
  • 본 연구는 울산지역 누정(樓亭)의 특성을 현장 문헌조사 통해 고찰하였으며, 목적은 울산지역 누정의 규모 형태 입면 구조 등을 분석하여 형태특성을 규명하여 누정의 콘텐츠화에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울산은 1960년대 이후 공업화의 일변도를 걷다가 최근 생태와 문화에 관련하여 관심이 고조되고, 특히 영남의 3대루 중의 하나였던 태화루와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는 언양읍성의 영화루 복원 등 누정에 대한 콘텐츠 개발에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울산의 누정에 대한 조사가 미흡하여, 기초자료 확보 및 울산 누정의 특성을 파악하지 못하였다. 이에 이번의 연구가 있었고, 그 조사결과 울산의 누정은 경주지역의 정면3칸 후면부진입형 강변입지형 누정과 유사함을 찾아내었다. 이는 울산이 고대로부터 경주문화권에 속해있었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누정이 인접지역간 콘텐츠 융합의 좋은 대상이라는 점을 찾아낸 것에 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FACADE특성에 따른 매장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The Visual Expression in a Store by the Characteristics of Facade)

  • 송인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1-20
    • /
    • 1998
  • 상업공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는 현대의 고도 산업사회에서는 대량생산, 대량유통체계의 판매촉진수단으로서 극히 중요한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뿐만아니라 생활의 질적 향상으로 인해 다양화, 개성 화되고 있는 고객들의 요구를 만족시켜주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서 그 역학이 한층 중요시되고 있다. 더욱이 상업건축물의 입면은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있어서 매장의 레이아웃을 비롯한 전시공간 설정 및 표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매장의 입면 유형은 정보를 제공하는 선전 소구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외부공간구성의 중요한 요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입면을 이루고 있는 도입부공간은 매장의 일부이며 가로(街路)공간과도 관련되어 있어 그 기능적인 문제와 표현상의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 매장과 가로의 양측 면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내부와 외부의 절충공간으로서의 도입공간을 중심으로 매장에 있어 서 입면이 갖는 제반 특성을 파악하고 각 특성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하였으며, 매장의 입면유형이 매장환경에 미치는 제반요소인 구획, 유도계획, 배치계획 등과의 관계를 제 조명하려 하였다. 따라서 서울 명동소재의 패션전문매장이 현황조사를 통해 입면 유형과 비주얼 프리젠테이션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개념에 입각한 공간구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1950·60년대 김한섭 건축에 나타난 입면구성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facade expression designed by Kim. Han-sup in the 1950's to 1960')

  • 김명선;김용춘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19-128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acade expression designed by Kim. Han-sup, a key architect in the regional modern architecture movement in Gwang-ju and Jeonnam from the 1950's to 1960's. The study begins with the architectural background and thoughts of Kim. Han-sup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introduces an interview with Han. chong-un, a former college student and employee of Kim, which explains the aesthetic architecture that appeared in his design of facades that was reasonably applied to materials, technology, structure and function in line with the economically tough period in Korea. Furthermo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his facade expression, detailed analysis items will be derived from precedent studies. This study will attempt to conclude with statements that his aesthetic architecture can be defined as an emphasis on formative mass by contrasting between basic rectangular forms, implementation with detailed three-dimensional facade by extruding differently vertical and horizontal structural lines and with the pursuit of decoration through compartmental faces on his 12 representative architectural works.

2000 년대 초등학교 교사 입면의 디자인 구성요소에 의한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by Design Component Elements of the Facade in Elementary School Buildings in the 2000's)

  • 서희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38-4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by design component elements of the facade in elementary school buildings after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choose twenty five elementary school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among many elevations of building, an elevation that is alongside of the schoolyard is chosen because this elevation has the highest visual influence on passers-by. To begin with, this elevation is divided into the roof and the surface of a wall, The roof is divided into roof styles, existence of roof and materials. The surface of a wall is divided into design principles(balance, contrast, rhythm), the formal organization(basic elements and form, and transformation of form), the ornamental composition, materials and colo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motifs of classical architecture were well expressed in this period and postmodern tendency had been shown until 2005. After Build Transfer Lease(BTL), however, tendency of classical architecture, contrast by the size of the form and base element by point disappeared. Instead, asymmetrical and flat tendency is expressed. Also, emphasized design of the building elevation appear by basic colors of Munsell, not motifs of classical architecture.

도시환경 이미지 조성을 위한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Facade와 Sign(옥외광고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osition factors for making-up Urban imag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facade and sign)

  • 우영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33-143
    • /
    • 2000
  • 최근 들어 지방자치제 활성화 방침과 더불어 도시의 특성화가 활발해지고 있다. 도시의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가로 경관이 절대적인 요인이 된다고 볼 수 있고, 또한 많은 가로가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디자인되어지고 있다. 가로경관을 특성화하는 데는 여러 요인이 포함되나, 그 중 파사드(가로입면)는 가장 일차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각 지역의 바람직한 특성으로 정체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찾아내기 위함이고, 이를 위하여 지역별 가로의 입면이 조사분석 되었다. 조사대상 지역으로는 가로의 기능과 성격이 서로 상이하여 가로의 특성화가 나타날 것이라 예상되는 전통가로지역(서울, 종로구, 인사동), 아파트 주거단지 상가지역(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개발 신도시지역(대전, 서구, 둔산동)을 선정하였고, 이들 각 지역의 조사 분석된 건물입면 요소는 창문, 입구, 사인물, 쇼윈도우, 출입문, 차양 등이며, 각 요소별로 색상, 재질, 형태, 구조 등의 유형분석이 이루어졌다.

  • PDF

한국 전통건축 입면구성의 시지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Elevation Composition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 장석하;최태봉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33-43
    • /
    • 2001
  •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omposition relation of a form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rough the viewpoint of visual perception and through the analysis by the number and quantity, and to analyze and implied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the principles of perception in the contemporary viewpoint by reviewing all the aspects on how to be perceived. Architecture has been studied in the relationship of the form and the space both existing together, so has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But in the present condition with the construction norm of the traditional architecture-well known for its beauty in shape-and documents not existing, so that the study o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the aspects of the form has to be undertaken on the basis of researching the existing architecture theoretically and architecture-relating documents actually.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review the mathematical principle and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ose days, and the attitude of ancestors treatment to the architecture by researching the existing architectural figure. Using mathematical analysis method with the basis of the above synthetically, this study aims at the analysis in the aspects of the visual perception on the form of Korea an traditional architec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