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간호실무 연구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8초

PC와 스마트 폰 기반 임상간호분류체계 교육 코스웨어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 Courseware for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PC and Smartphone)

  • 홍해숙;이인근;조훈;김화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9-56
    • /
    • 2011
  •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을 활용하여 간호사나 간호학생들의 평생교육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분류체계를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실무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북 가이드라인과 개발된 PC 기반 가이드라인의 검색 시간을 비교한 결과 3.5배 이상 빠른 결과를 획득하였다. 오류율도 4배 이상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 실무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중재 및 평가 가이드라인에 접근하므로 환자에게 정확한 중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전국 의료기관의 냉 요법 실무지침 및 임상간호사의 냉 요법 실무 현황 (Nursing Protocols of Cold Application in Different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 신용순
    • 임상간호연구
    • /
    • 제21권3호
    • /
    • pp.355-365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ursing protocols for superficial cryotherapy in different medical institution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The medical institutions including general hospitals, hospitals, and geriatric hospitals were randomly selected. A total of 435 nurses from 126 institutions completed a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4 to June 2015. Results: Forty-two institutions (39.5%) had nursing protocol for cryotherapy. The nurses reported that durations of cold application were 2 minutes to 5 hours. Frequently used cold therapy devices in order of frequency were frozen gel packs, ice packs, and frozen IV fluid bags. There were variances in the duration of cold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institution ($x^2=7.78$, p=.020) and nursing units ($x^2=26.42$, p<.001). In addition, intervals of cold applicatio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rsing units (x=12.23, p=.032). There were differences in cold application instruments by regional groups (x=70.38, p<.001). Most of the nurses (95.6%) responded that national nursing protocol for superficial cryotherapy were needed. Conclusion: There were difficulties in providing consistent nursing interventions because of the practical differences and absence of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cryotherapy. The researchers recommend that basic studies with various instruments be conducted and proper nursing protocols be developed for cryotherapy.

국내 근거기반 임상간호실무지침의 주제 선정 (Topics for Evidence-Based Clinical Nursing Practice Guidelines in Korea)

  • 구미옥;조명숙;조용애;정재심;정인숙;박정숙;김혜정;은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17권3호
    • /
    • pp.307-318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opics for evidence-based clinical nursing practice guidelines in Kore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30 staff nurses from 10 general hospitals and 53 nurses in charge of nursing education in 110 hospitals with over 500 beds. Using open questions, the nurses identified activities which could not be verified, which lacked consistency among nurses, clinical units and/or hospitals, which were not based on the up-to-date knowledge and which needed reform. The data were analysed by content analysis using a qualitative methodology. Results: Collected data consisted of 1882 clinical topics, which were classified into 50 topics, 207 mid-categories, and 456 sub-categories. The most frequent topics in order of frequency were medications, central line management, intravenous injections, urinary catheterization, perioperative nursing care, skin tests, pressure ulcer care, blood transfusions, laboratory examination-culture, respiratory care which were performed routinely in clinical setting by staff nurses. Conclusion: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e urgent need to develop evidence-based clinical nursing practice guidelines related to these research finding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opics related to health promotion, and symptom/management of health problem.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셀프리더십, 돌봄인성이 실무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Nursing Professional, Self-Leadership and Caring-character on Nursing Practice Readiness among Nursing Students)

  • 장희정;모문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943-951
    • /
    • 2024
  •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셀프리더십, 돌봄 인성이 실무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실무준비도를 높이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23년 4월 10일부터 5월 12일까지 2개 지역의 4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임상실습 경험이 최소 1년 이상이 있는 4학년 18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증, 일원분산분석, Scheffe 사후검증, Pearson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실무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돌봄인성(β=0.72, p<0.001)으로 변수 설명력은 51.3%였다(F=189.41, p<0.001). 이상의 결과 돌봄인성이 실무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는 간호대학생의 실무준비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돌봄 인성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간호 대학생이 인식하는 실무현장의 효과적 환경을 위한 간호리더자의 역할유형분석 (The role type analysis of nursing leader for effective environment at the practice field that nursing students recognize - Q methodology -)

  • 심인옥;송건우;이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801-7811
    • /
    • 2015
  • 간호 대학생은 임상실습기간동안 실무현장에서 다양한 학습을 하게 되며 특히 간호 리더자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과 그 효과에 대해 인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이 실습 과정에서 경험한 효과적 실무환경을 위해 간호리더자의 역할에서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그 유형을 분류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방법은 간호 대학생이 심층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Q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간호대학생으로 실습 경험이 있는 자로 30명으로 구성하였고, Q표본은 간호리더자의 역할유형과 관련된 문헌,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과의 인터뷰를 통해 최종 표본을 36개의 진술문으로 구성 하였으며, QUANL PC프로그램으로 주요인을 분석하여 관련 유형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로 간호학생들이 인식하는 간호리더자의 역할유형은 4개의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제1유형은 "정의와 냉철함 유지형", 제2유형은 "동기부여를 위한 환경조성 형", 제3유형은 "인격존중 및 능력신장형", 제4유형은 "신뢰성을 통한 인간관계 중심형"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해 간호학생이 실습과정에서 경험하는 실무현장의 효과적 환경을 위해 간호 리더자의 역할을 파악하여 추후 실무 환경을 위해 리더자의 역할의 중요성을 제안하고 이를 개선하는데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한국어판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측정도구(S-EBPQ)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tudent Evidence-Based Practice Questionnairs(S-EBPQ))

  • 김선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35-43
    • /
    • 2020
  • 본 연구는 Upton, Scurlock-Evans 와 Upton 이 개발한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측정도구(S-EBPQ)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학습 경험과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 209명의 자료를 데이터 분석에 활용하였다. 구성타당도를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기존의 도구와 동일한 4 요인, 21 문항이 확인되었다. 도구의 설명력은 67% 였고 도구 전체의 신뢰도는 .927 이였다. 한국어판 S-EBPQ는 우리나라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역량을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것이다. 또한 도구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간호대학의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를 평가하는데 활용 될 수 있을것이며 이는 간호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근거기반 중심정맥 주입요법 간호실무지침 개정 (Updates of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s for Central Venous Infusion Therapy)

  • 임경춘;정재심;김경숙;김현림;김현정;김동연;이미정;이주현
    • 임상간호연구
    • /
    • 제29권1호
    • /
    • pp.42-55
    • /
    • 202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pdate nursing practice guidelines for intravenous infusion published in 2017. Methods: The guideline update process was carried out using 22 steps developed by NICE and SIGN. It was agreed to update domains related to central venous infusion therapy. Contents related to peripheral infusion would be updated later. Results: Updated guidelines for central venous infusion therapy consisted of 6 domains and 195 recommendations.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by domain was 11 for general instruction, 14 for central vascular access devices (CVAD) and add-on devices, 13 for nursing management before insertion of CVAD, 30 for management during insertion of CVAD, 51 for management after insertion of CVAD, and 76 for complications. A grade was 29 (14.9%), B grade was 87 (44.6%), and C grade was 79 (40.5%) in the strength of recommendations. A total of 37 (19.0%) recommendations were newly developed and 23 (12.3%) previous recommendations have been modified. The newly developed recommendations were mainly related to the infection control methods. Conclusion: The updated guideline is focused on safe maintenance of central venous infusion therapy. Through this guideline, it is hoped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and improve the standardization and efficiency of nursing practice.

간호사의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이 간호실무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on Nursing Practice Competence)

  • 최준희;정정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17권1호
    • /
    • pp.16-26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urses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its correlations with nursing practice competence in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Methods: A cross sectional survey design was utilized to assess nurses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job performanc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286 nurses who have been working on general ward for over 1 year. Data were analyzed by 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AS 9.1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is 3.56 and that of nursing practice competence is 2.71. The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and clinical work experience. Nursing practice competence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clinical work experience, marital status, age, and working division. The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nursing practice competence seem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each other (r=.555, p<.001). The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explains 32.0% of nursing practice competence (F=20.20, p<.001).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rogram development for enhancing the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is needed to improve nursing practice competence. We also need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nurses initiatives and creativity.

첫 임상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역할갈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Change i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ir first Clinical Experience)

  • 박은희;황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593-601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이 첫 임상실습을 경험한 후 달라진 전문직관, 직무만족, 역할갈등의 변화를 파악하며 간호학생의 임상 실습교육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자고 시도되었다. 첫 임상실습 후 간호학생의 전무직관(t=-2.184, p=.031), 직무만족(t=-2.068, p>.001)은 상승하였다. 그러나 부정적 요소인 역할갈등(t=-3.729, p>.001) 역시 상승하였다. 즉, 간호학생은 첫 임상실습을 통해 예비간호전문인으로서 바른 전문직관을 세우고 자신의 업무에 대해 만족감을 느꼈다. 그러나 간호학생은 첫 임상실습을 통해 임상에서의 현실적인 간호사 역할을 경험한 후, 오히려 심각하게 자신의 미래 직업에 대한 고민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역할갈등의 하부영역 중 개인 내 갈등(t=-3.729, p>.001), 역할모호성(t=-5.720, p>.001)에서 심각한 갈등을 느끼므로, 간호학생을 위한 업무기준과 직준표준안 마련에 대해 간호교육계 및 임상실무 현장 전반에 걸쳐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 대학생의 응급실 관찰 경험 (The Study about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n Emergency Room Environment Observation)

  • 김혜옥;서봉화;남문희;박은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589-59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응급실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 대학생의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고 서술함으로써 간호교육에서 효과적인 임상교육 전략을 개발하고 임상실습의 질을 향상하기 위함이다. 4학년 간호 대학생 30명에게 응급실 임상실습 동안 응급실의 상황에 대한 관찰경험을 서술하도록 한 후 서술 내용을 분석하여 의미를 도출하고 실행학습을 통하여 성찰학습의 의미로 분석하였다. 간호 대학생들의 응급실 임상실습 참여관찰 경험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도출된 주제는 '역동적인 간호사', '응급상황에 맞는 의사소통', '응급실 간호사는 교통정리 담당자'라는 긍정적인 주제와 '임시방편적인 사고', '환자보호자와 간호사의 갈등', '기계적인 움직임' 등의 부정적인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의 활용과 관련하여 간호 대학생들의 응급실 관찰경험은 간호학생 측면에서는 자신의 미래 모습을 구체적으로 생각해보고 올바른 간호중재법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며, 간호교육측면에서는 효과적인 임상실무교육 전략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