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회용기저귀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6초

유아용 일회용 기저귀의 다이옥신 분석 (Determination of PCDD/Fs in Disposable Diaper for Infant)

  • 신정화;안윤경;서정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14-824
    • /
    • 2005
  • This study analyzed and standardized the harmful substances of organic compounds(dioxins) in disposable diapers for infant's clothing. Commercial samples obtained from Korea, Japan, America and German were determined by HRGC/HRMS. Experimental Methods were consisted of comparision of extracting solvent, analysis of PCDD/Fs, and analysis of PCDD/Fs of extraction in disposable diap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No high TEQ values in TCDD(1), PCDD(0.5) and HxCDD(0.1) were found for commercial disposable diapers from country Korea, Japan, U.S.A and German. In extraction for 6hrs experiments, HpCDD and OCDD were detected in disposable diapers of U1, U2 and G2, respectively. In extraction fur 24hrs experiments, HpCDD, OCDD and OCDF were detected in disposable diapers of J3, U1, U2 and U3. So we need to set standards of measurement for harmful materials contained in textile goods. This will make a safe and comfortable clothing environment for all users, regardless of age.

기저귀용 부직포의 촉감에 미치는 마찰과 함수의 영향 (Effect of Abrasion and Absorption on the Handle of Nonwovens for disposable diaper)

  • 홍경화;강태진;오경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2-118
    • /
    • 2004
  • Recently, as the percentage of women employment has been growing, the demand for various facilities and services regarding household duties and infant rearing is increasing and so do the amount of the disposable diaper used. Among the components of disposable diaper, the top sheet contacting with infant skin directly is usually made with nonwoven textiles. Therefore, the mechanical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nonwovens used in disposable diaper are important for the skin health of infants. In this study, we have explored the mechanical and surface properties, such as friction coefficient, fluid permeability and strength, of the nonwovens used for disposable diaper top sheet and observed the variation of their properties with abrasion cycles. Nonwoven materials examined in this study are 100% cotton spunlace, 100% tencel spunlace, 100% polypropylene (PP) thermal bonding and 100% PP air through (Thru-air bonded carded web). From the result of KES-F analysis, we've found that 100% PP air through type nonwoven had a low friction coefficient and showed a little change in surface properties as increasing abrasion cycles. Moreover, it revealed superior fluid permeability and quick-drying character. On the other hand, though showing an excellent absorption force, the spun lace type nonwoven made of 100% cotton and 100% tencel displayed relatively low abrasion strength especially in wetting condition.

유아용 일회용 기저귀의 유해성 평가 (Hazardous Substance Analysis of Disposable Diaper for Infant)

  • 신정화;윤혜온;박미애;안윤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5-171
    • /
    • 2004
  • The analytical method of toxic heavy metals in disposable diapers was developed. Disposable diapers obtained from Korea, Japan, America and German were determinated and quantified. Sample treatment (Total Digestion) was wet chemical acid digestion for extraction of nine hazardous inorganic elements (Sb, As, Pb, Cd, Cr, Co, Cu, Ni, Hg) in disposable diapers.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ICP-MS)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 (ICP-AES) have been used for analyzing nine hazardous inorganic elem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concentration of extractable Sb which was treated for 3 hours with artificial urine and disposable diapers was higher than those of 6 hours and 24 hours. The concentration of extractable Cr was same as Sb. On the other hands, the behavior of Cu and Ni were different from Sb and Cr. Concentrations of extractable Cu and Ni increased as increasing the reaction time between artificial urine and disposable diapers.

유소아에서 일회용 기저귀를 이용한 소변 채취 방법 (Urine Collection from Disposable Diapers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 김미정;김지혜;임형은;강희;은백린;유기환;홍영숙;이주원;권정아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9권2호
    • /
    • pp.128-136
    • /
    • 2005
  • 목 적 : 기저귀를 사용하는 어린 유소아들의 소변검체를 얻기 위해 멸균 비닐백을 이용하고 있으나 현실적인 불편함 때문에 보다 간단한 채뇨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인 선별검사를 위해 일회용 기저귀를 이용한 소변채취 방법이 기존의 멸균 비닐백을 이용한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 법 : 9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중간뇨(이하 신선뇨) 60 mL을 채취하여 절반은 고분자 흡수체가 포함되지 않은 일회용 기저귀에 흡수시킨 다음 압착하여 소변검체(이하 재수거뇨)를 얻고 나머지 신선뇨와 함께 일반 소변검사, 현미경적 요 세포검사 및 요 화학검사 등을 시험하였다. 결 과 : 신선뇨 99개와 재수거뇨 99개를 검사하였으며 요 비중, 요 산도, 요 당, 요 단백, 요 잠혈 등은 상관분석 결과 높은 상관관계(R>0.930, P<0.001)를 보였으며 요 백혈구(R=0.738, P<0.001)는 상대적으로 상관관계가 낮았지만 요 나트륨, 요 칼륨, 요 염소 및 요 크레아티닌 등은 두 방법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R>0.995, P<0.001). 현미경적 요 세포검사에서는 적혈구(R=0.740, P<0.001)와 백혈구(R=0.602, P<0.001) 모두 상대적으로 상관관계가 낮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결 론 : 일회용 기저귀를 이용해 채취한 재수거뇨는 신선뇨보다 세포성분의 손실은 있지만 신선뇨의 일반 소변검사 및 요 화학검사 결과를 잘 반영하고 있어 일차적인 선별검사 목적의 채뇨방법으로 유용할 것이다.

  • PDF

흡열제가 첨가된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이 유아의 온열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earing disposable diaper with the endothermic agent on thermal responses of infant)

  • 성유진;이수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99-509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earing disposable diaper with the endothermic agent on thermoregulatory response of infant. Five healthy female infants aged about 5 months were taken as a subject of this experiment. Experimental diapers were six kinds of disposable diaper constructed of nonwoven tissue, fluff pulp, super absorbent polymer, back sheet film, leg elastic, and 0g urea(A) 1g urea(B) , 2g urea(C), 3g urea (D), 4g urea(E) 5g, urea(F) respectively. Urea(98% or over purity) was used as an endothermic agent. Experiment was proceeded while infants were sleeping at 27.5$\pm$0.5$^{\circ}C$, 50$\pm$5% R.H, 0.04m/sec. Each disposable diaper's properties was tested. During the experiment rectal temperature skin temperature of 9 areas temperature inside the disposable diapers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iapers in absorption capacity retention capacity and rewet(p=0.05). The absorption under load was showed to A, B,

  • PDF

국내 유통 위생용품 중 포름알데히드 잔류량 모니터링 (Formaldehyde Monitoring of Hygiene Products in Domestic Market)

  • 나영란;권현정;조현노;김현진;박연경;박성아;이승주;강정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25-233
    • /
    • 2020
  • 위생용품의 기준 및 규격서에는 포름알데히드 함량 시험법이 위생용품 유형별로 다르게 규정되어 있다. 위생용품 유형별로 미용티슈, 기저귀 안감 및 방수층, 팬티라이너를 대표 시료로 하여, 2,4-DNPH/HPLC법, 아세틸아세톤/분광광도계법, 아세틸아세톤/HPLC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험방법의 유효성 확인을 위하여 위생용품 유형별로 직선성과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 반복성 등을 검토하였다. 포름알데히드 표준용액으로 검량선을 작성 한 결과 3가지 시험방법에서 모두 상관계수(R2)가 0.999이상이었고,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위생용품의 기준 및 규격에 규정된 각각의 최대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evel, MRL)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80%이상의 양호한 회수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반복성(repeatability)도 20% 이내에 해당하여 양호하였다. 분석장비 별 비교에서는 분광광도계에 비하여 HPLC는 낮은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를 나타내어 정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도체화 후 차광을 유지하면서 분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었다. 유도체화 시액별 시간 경과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2,4-DNPH와 아세틸아세톤으로 유도체화 한 후 0, 3, 6, 9, 24, 48 시간에 HPLC로 포름알데히드를 분석하였다. 2,4-DNPH로 유도체화 된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피크면적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P>0.05). 반면, 아세틸아세톤의 경우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P<0.01), 아세틸아세톤-포름알데히드 면적과 시간과는 음의 상관계수(r)를 보였다. 최초로 측정된 포름알데히드 피크면적평균 대비 시간대 별 피크면적평균 비교에서는 2,4-DNPH 시액으로 유도체화 한 경우에는 면적비의 특별한 증감이 관찰되지 않아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세틸아세톤으로 유도체화한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 경향을 보이다가 48시간 경과 후에는 81.3-95.2%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생용품은 대부분 일회용으로 제조가 용이한 종이와 부직포 재질로 만드는 경우가 많고, 제조과정 중 접착제를 사용한다. 따라서 위생용품 최종제품에도 포름알데히드가 잔존할 가능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위생용품관리법으로 위생용품 중의 포름알데히드 기준을 마련하여 관리하고 있으나 시행 초기로 국내 유통 제품에 대한 포름알데히드 잔류 실태조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에서 유통 중인 위생용품 총 205건을 대상으로 포름알데히드 함량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일회용 기저귀 74건 중 73건에서 0.13-29.87 mg/kg의 수준으로 낮은 농도의 포름알데히드가 잔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일회용 기저귀는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화장지 78건, 일회용 타월 27건, 일회용 행주 12건, 종이컵 7건, 일회용 종이냅킨 6건, 종이빨대 1건에서는 포름알데히드가 모두 검출되지 않아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생용품 중 포름알데히드 잔류량 실태 조사 (Survey on Residue Level of Formaldehyde in Hygiene Products)

  • 송서현;윤희정;박성희;장미경;채선영;전종섭;이명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6-54
    • /
    • 2023
  • 경기도에서 유통 중인 위생용품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포름알데히드 잔류량에 대해 조사하였다. 포름알데히드는 위생용품에 잔류할 수 있는 유해물질 중 하나이다. 일회용 빨대(종이제) 6건, 일회용 종이냅킨 9건, 화장지 21건, 일회용 행주 13건, 일회용 타월 16건, 식품접객업소용 물티슈 32건, 일회용 면봉 25건, 일회용 기저귀 100건 등 총 222건에 대한 검사 결과, 식품접객업소용 물티슈 3건(1.87-4.45 mg/kg)에서 검출되었으며 규격(20 mg/kg) 대비 약 9-22% 수준이었다. 연구 대상 위생용품은 모두 포름알데히드 개별규격에 적합하였고 안전한 제품이 유통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생용품의 기준 및 규격」 중 포름알데히드 시험법은 유형에 따라 세가지로 구분하여 적용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제1법 또는 제2법을 적용하는 유형으로 각 시험법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검출한계, 정량한계, 직선성, 회수율을 검토하였다. 제1법은 제2법에 비해 검출한계와 정량한계가 낮게 나타나 저농도의 포름알데히드 정량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두 시험법은 모두 상관계수(R2)가 0.9999이상, 회수율이 80%이상, 반복성도 양호한 수준이었다. 제2법 적용 시 일회용 면봉과 일회용 기저귀 중 일부 시료에서 불순물의 영향으로 분석 파장에서 간섭이 확인된 경우가 있어 제1법으로 분석 후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1법은 제2법에 비해 불순물의 간섭 없이 분석이 가능하였고, 저농도의 포름알데히드를 검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위생용품의 종류에 따라 시험법을 구분하여 적용하지 않고 일원화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남성 일회용 요실금 제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le Disposable Product for Urinary Incontinence)

  • 이정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61-73
    • /
    • 2014
  • Urinary Incontinence is any leakage of urine against their will. It is not a life threatening illness but it causes negative effects both socially and psychologically. Based on many previous studies, 20-40% of adult female and 30% of men in their sixties have experienced symptoms of urinary incontinence. As the number of active aged people experiencing the symptoms increases, demand for specialized product is grow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search the types and features of male disposable products for urinary incontinence on the market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better product. Products from 6 brands (Tena, Depend, Carnation, Keepers, Molimed, Abrimen) with high brand awareness both in online and offline were selected and analyzed. And product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male in their sixties with light symptom of urinary incontin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three types of male products for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diaper and pad. Among the 6 brands, the subject of analysis, only Depend from Yuhan Kimberly produces male panties while others make ones for unisex. There is no diaper product only for male, and Tena, Molimed, Abrimen have pad type products for male. Male panties from Depend emphasizes their design considering male's physical characteristics. Male pad is differentiated with female one by having different designs like triangular or pocket type which is more comforting to men. As a result of product evaluation, wearable panties similar to normal underwear were highly appreciated and satisfactory. Among various shapes of pads, 25cm long pad with wide width of front and narrow back was valued to be comfortable.

  • PDF

일회용 기저귀의 Formaldehyde 함량과 인지도 및 소비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posable Diapers for Formaldehyde Content and its Recognizability and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Products)

  • 남상우;이선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01-109
    • /
    • 198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amount of formaldehyde in the disposable diapers of seven different products. It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actual situation of the diaper consumption and to relate it to the amount of formaldehyde measured. The degree of recognizability on the harmfulness of formaldehyde was also studied. The amount of formaldehyde was measured by means of the Acetyl Acetone method. The a ual situation of consumption and the recognizability of the formaldehyde were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In the survey, the subjects had their babies aged from 0$\~$3 years and lived in Seoul.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simple frequency and chi-squa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mong seven (7) different disposable diapers, two were found to have less amount of formaldehyde than the Japanese regulation. 2) From the survey on the actual situation of consumption most respondents ($53.7\%$) experienced the dermatological problem after using the disposable diapers. Actually for the diapers which had a lot of formaldehyde, the respondents experienced the problems more severely. 3) The recognizability of formaldehyde was very low. The recognizability on the harnfulness of formaldehyde was lower, which represented the consumers had least or no knowledge about the formaldehyde release probl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