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rmaldehyde Monitoring of Hygiene Products in Domestic Market

국내 유통 위생용품 중 포름알데히드 잔류량 모니터링

  • Na, Young-Ran (Busan Metropolitan City Health and Environment, Food Analysis Team) ;
  • Kwon, Hyeon-Jeong (Busan Metropolitan City Health and Environment, Food Analysis Team) ;
  • Cho, Hyun-Nho (Busan Metropolitan City Health and Environment, Food Analysis Team) ;
  • Kim, Hyeon-Jin (Busan Metropolitan City Health and Environment, Food Analysis Team) ;
  • Park, Yon-Koung (Busan Metropolitan City Health and Environment, Food Analysis Team) ;
  • Park, Sung-Ah (Busan Metropolitan City Health and Environment, Food Analysis Team) ;
  • Lee, Seong-Ju (Busan Metropolitan City Health and Environment, Food Analysis Team) ;
  • Kang, Jung-Mi (Busan Metropolitan City Health and Environment, Food Analysis Team)
  • 나영란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 권현정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 조현노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 김현진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 박연경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 박성아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 이승주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 강정미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Received : 2020.03.13
  • Accepted : 2020.04.17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By the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hygiene products, three test methods for formaldehyde are specified for each item type of hygiene product. After derivatization using acetylacetone and 2,4-dinitrophenylhydrazine (2,4-DNPH), formaldehyde is analyzed by spectrophotometer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Validation of the three test methods was performed on tissue, diaper lining and waterproof layer, and panty liner products. The results of linearity (R2),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recovery rate (%) and reproducibility (%), showed that all three methods are suitable for analyzing formaldehyde in hygiene products. After derivatization with 2,4-DNPH and cetylacetone, formaldehyde was analyzed at 0, 3, 6, 9, 24 and 48 hours by HPLC. Formaldehyde derivatized with 2,4-DNPH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formaldehyde peak area over time (P>0.05). But, acetylacetone-derivatizated formaldehyd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 (r) over time (P<0.01). We investigated the residual amounts of formaldehyde in 205 hygiene products distributed in Busan. Among 74 disposable diaper products tested, 73 had low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0.13-29.87 mg/kg). Moreover, formaldehyde was not detected in any of 78 tissue, 27 disposable paper towel, 12 disposable dishcloth, 7 paper cup, one brand of paper straw and 6 disposable napkin products.

위생용품의 기준 및 규격서에는 포름알데히드 함량 시험법이 위생용품 유형별로 다르게 규정되어 있다. 위생용품 유형별로 미용티슈, 기저귀 안감 및 방수층, 팬티라이너를 대표 시료로 하여, 2,4-DNPH/HPLC법, 아세틸아세톤/분광광도계법, 아세틸아세톤/HPLC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험방법의 유효성 확인을 위하여 위생용품 유형별로 직선성과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 반복성 등을 검토하였다. 포름알데히드 표준용액으로 검량선을 작성 한 결과 3가지 시험방법에서 모두 상관계수(R2)가 0.999이상이었고,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위생용품의 기준 및 규격에 규정된 각각의 최대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evel, MRL)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80%이상의 양호한 회수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반복성(repeatability)도 20% 이내에 해당하여 양호하였다. 분석장비 별 비교에서는 분광광도계에 비하여 HPLC는 낮은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를 나타내어 정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도체화 후 차광을 유지하면서 분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었다. 유도체화 시액별 시간 경과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2,4-DNPH와 아세틸아세톤으로 유도체화 한 후 0, 3, 6, 9, 24, 48 시간에 HPLC로 포름알데히드를 분석하였다. 2,4-DNPH로 유도체화 된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피크면적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P>0.05). 반면, 아세틸아세톤의 경우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P<0.01), 아세틸아세톤-포름알데히드 면적과 시간과는 음의 상관계수(r)를 보였다. 최초로 측정된 포름알데히드 피크면적평균 대비 시간대 별 피크면적평균 비교에서는 2,4-DNPH 시액으로 유도체화 한 경우에는 면적비의 특별한 증감이 관찰되지 않아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세틸아세톤으로 유도체화한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 경향을 보이다가 48시간 경과 후에는 81.3-95.2%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생용품은 대부분 일회용으로 제조가 용이한 종이와 부직포 재질로 만드는 경우가 많고, 제조과정 중 접착제를 사용한다. 따라서 위생용품 최종제품에도 포름알데히드가 잔존할 가능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위생용품관리법으로 위생용품 중의 포름알데히드 기준을 마련하여 관리하고 있으나 시행 초기로 국내 유통 제품에 대한 포름알데히드 잔류 실태조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에서 유통 중인 위생용품 총 205건을 대상으로 포름알데히드 함량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일회용 기저귀 74건 중 73건에서 0.13-29.87 mg/kg의 수준으로 낮은 농도의 포름알데히드가 잔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일회용 기저귀는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화장지 78건, 일회용 타월 27건, 일회용 행주 12건, 종이컵 7건, 일회용 종이냅킨 6건, 종이빨대 1건에서는 포름알데히드가 모두 검출되지 않아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Chung, K.C., 1995. Industry addiction handbook, Shinkwang Publish, Seoul. Korea, pp. 442-445.
  2. KFDA, 2016. Formaldehyde. Risk profile, KFDA, Chungbuk. Korea, pp. 4-9.
  3. Bin, S.I., Study on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of sanitary products, R&D Annual Report of KFDA, 22, 38-39 (2018).
  4. WHO, 2002. Formaldehyde. Concise international chemical assessment document 40,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5. Klassen C.D., 2001. The basic science of poisons. Toxicology, 6th edition, McGraw-Hill, New York, NY, USA, pp. 734-812.
  6. KFDA, 2018. Hygiene Products Control Act., Chungbuk, Korea.
  7. KFDA, 2019. Sanitary products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Chungbuk, Korea.
  8. Jang, M.S.,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new designated hygiene products and research on regulatory measures, R&D Annual Report of KFDA, 22, 215 (2018).
  9. Kim, H.A., Jang, J.W., Kim, D.H., Lee, H.J., Lee, S.M., Chang, H.W., Lee, K.S., Lee, C.H., Jang, Y.M., Kang, C.S., Analysis of formaldehyde in fisheries products, Korean J. Soc. Food Sci., 43(1), 17-22 (2010).
  10. Lee, Y.M., Kim, K.H., Choi, Y.S., Risk accessment and quantitation of non-intentional contaminant in drug - Formaldehyde, R&D Annual Report of KFDA, 19, 96-107 (2014).
  11. Nam, S.W., A Study on the amount of formaldehyde and the consumer's recognizability - on the basis of disposable napkins, Fam. Environ. Res., 26(2), 15-27 (1988).
  12. Kim, H.S., Park, W.H., Lee, C.Y., Han, E.J., Kim, N.Y., Moon, S.J., Hwang, I.S., Oh Y.H., Formaldehyde content and pH of panty liners, Report of S.I.H.E., 54, 142-148 (2018).
  13. Jung, B.K., Park, W.H., Kim, D.G., Choi, E.J., Kim, Y.C., Hwang, I.S., Chae Y.Z., Monitoring of formaldehyde in cosmetic produ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87, 51-55 (2012).
  14. Cho, S.J., Chang, M.S., Lee, H.K., Kim, J.Y., Cha, J.H., Kim, D.G., Lee S.D., Oh Y.H., Formaldehyde content of disposable diapers, Report of S.I.H.E., 54, 135-141 (2018).
  15. Kang, T.H., Comparison of formaldehyde contents in utensils, container and packing materials according to analysis methods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012).
  16. Kim, H.J., Cho, E.K., Quantitative analysis of formaldehyde on paper using instrument analysis. J. Korea TAPPI, 37, 240-247 (2005).
  17.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6. Guidelines for standard procedures for preparing food test methods, KFDA, Chungbuk, Korea, pp. 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