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당증체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32초

청보리 사일리지 및 목건초 급여가 엘크 사슴의 생산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eding Whole-crop Barley Silage and Grass Hay on Productivity and Economic Efficiency in Elk (Cervus canadensis))

  • 김상우;서상원;김동훈;김재환;김영신;김관우;윤세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2-57
    • /
    • 2013
  • 본 연구는 사슴의 조사료 원으로 엘크사슴에 대한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가 사슴의 사료섭취량, 체중변화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엘크사슴 21두를 공시하여 건초구, 청보리 사일리지구 및 건초+청보리 사일리지구로 나누어 농후사료를 3.7 kg 정량급여 하고 조사료는 자유채식 시켰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엘크사슴의 일당증체량은 건초구, 청보리 사일리지구 및 건초+청보리 사일리지구 혼합구가 각각 0.26, 0.36 및 0.44 kg으로 건초+청보리 혼합구가 가장 높았고, 엘크사슴의 청보리 사일리지 일일섭취량은 6.25~9.00 kg (풍건) 범위였으며, DM 섭취량은 건초구, 건초+청보리 사일리지 혼합구 및 청보리 사일리지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녹용 생산량은 건초구, 청보리 사일리지구 및 건초+청보리 사일리지구가 각각 8,037, 7,713 및 8,585 g으로 건초+청보리 사일리지 혼합구가 가장 많았다. 3개 처리구간 일당증체량, 녹용생산량 및 사료섭취량은 사슴의 개체차가 심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지만(p>0.05) 증체량 및 녹용산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제성 분석에서는 건초+청보리 사일리지 혼합구가 건초 및 청보리 사일리지 단독급여구보다 소득지수가 29~43%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사슴의 조사료 원으로 청보리 사일리지는 기호성에서 건초를 대체할 만큼의 섭취량을 가지므로 이용가능성이 있었으며, 조사료 원으로 연중 공급이 가능하고,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건초보다 유리하여 농가에서 사슴의 조사료 원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 시에는 청보리 사일리지 단독 급여보다는 청보리와 건초를 각각 50%씩 혼합 급여하는 것이 일당증체량, 증체, 녹용생산량 및 경제성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의 성장곡선의 모수추정과 연도별 효과 분석 (Estimation of growth curve parameters and analysis of year effect for body weight in Hanwoo)

  • 조광현;나승환;최재관;서강석;김시동;박병호;이영창;박종대;손삼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151-160
    • /
    • 2006
  • 본 연구는 유전능력의 검정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농가에서 편리하게 체중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 경영상 뚜렷한 개선을 제공하기 위하여 한우의 성장 단계별 발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자료의 구성은 1980~2004년의 남원, 대관령, 서산과 핵군농가의 자료로 암소 27,647개 비거세우 14,744개 거세우 1,290개를 이용하였다. 암소의 경우 시그모이드(sigmoid)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비거세우의 경우에도 거의 비슷한 분포를 보여주고 있으나 거세우의 경우에는 직선 회귀식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Gompertz 모형을 이용하여 년도별로 분석한 성장곡선은 암, 수소 모두 1990~1994년의 잔차값이 68.49와 54.29로 낮게 나타났으며, 모수 A, b, k의 경우 암소에서 각각 423.6±5.8, 2.387±0.064, 0.0908±0.0033로 추정되었고 수소에서 823.3±15.3, 3.584±0.070, 0.1139±0.0032로 추정되었다. 적합도가 Logistic 모형보다 좋은 Gompertz 모형을 이용하여 곡선추정을 하였으며, 추정된 암소의 월별추정값과 일별추정값은 379.3±7.509, 2.499±0.057, 0.114±0.0045와 367.1±1.9003, 2.3983±0.012, 0.004±0.00003이며, 오차의 평균 제곱합(Residual mean square)은 31.85, 998.4으로 추정되었다. 수소의 월별추정값과 일별추정값은 834.6±22.00, 3.319±0.062, 0.104±0.0037과 796.0±6.128, 3.184±0.014, 0.003±0.00003으로 오차의 평균 제곱합은 66.18, 2106.5로 추정되었으며, 거세우의 경우 1049.1±144.2, 3.024±0.008, 0.067±0.0096와 1505.1±176.6, 2.997±0.067, 0.001±0.0001이며, 오차의 평균 제곱합은 186.0, 1119.1이었다. 성장의 특성을 살펴보면 Gompertz 모형으로 추정할 때 암소의 변곡점(Inflection point)에서의 체중은 139.53kg 이었으며, 변곡점에서의 일당증체율은 0.52kg으로 추정되었다. 수소의 변곡점에서의 체중은 307.03kg 이었으며, 일당증체율은 1.04kg 이었다. 거세우의 경우 변곡점 체중은 385.94kg 이었고 성장속도가 최대인 지점의 순간적인 증체율은 두 모형에서 0.84kg을 나타내었다. 암소가 수소나 거세우에 비하여 성숙체중이 작고 변곡점까지의 도달일령이 빠르며 일당증체량도 작은 성장특성을 보였다.

사료용 벼 위주 TMR 급여가 거세 한우의 생장 능력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Feeding Effects of Whole Crop Rice based TMR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 김종근;;;;김학진;김경훈;안억근;민형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97-104
    • /
    • 2019
  • 본 시험은 사료용 벼 위주 TMR 사료의 급여가 가축 생산성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한 "영우" 품종을 황숙기에 수확하고 60일동안 저장하면서 사일리지 발효를 시켰다. 조단백질, ADF, NDF, IVDMD, TDN 및 RFV 함량은 각각 8.4 %, 28.0 %, 53.8 %, 72.4 %, 66.8 % 및 116이었다. 사일리지 품질에서 pH는 4.37이었고 젖산 함량은 DM에서 2.84 % 이었으며, 낙산함량(0.04 %)이 낮아 Clostridia에 의한 불량발효가 억제되었다. 총 16두의 거세한우(평균 8개월령)를 대조군(시중 판매 TMR 사료 급여군)과 WCR-TMR 급여군(사료용 벼 위주 TMR 사료 급여군)으로 나누고 30개월까지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다. WCR-TMR 급여군의 성장단계별 사료에는 사료용 벼 사일리지가 13~15% 정도 배합되었다. TMR 사료의 급여는 육성기(개시 ~ 14 개월), 비육 전기(15 개월 ~ 21 개월) 및 비육 후기(22 개월 ~ 30 개월)로 나누어 급여하였다. 체중에 있어서 대조군은 비육전기까지 높았지만 비육 후기 이후에는 WCR-TMR 급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일당증체량은 WCR-TMR 급여군이 비육 후기를 제외하고 매 생육단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0.66 vs 0.78 kg/두/일). 고기 특성에 있어서 출하체중과 도체중은 WCR-TMR 급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등지방두께(11.75 vs 13.00 mm), 등심단면적(88.00 vs $89.88cm^2$) 및 육량지수(65.87 vs 64.30)에서는 두 그룹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육량등급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A : B : C = 2 : 4 : 2). 한편 육질의 특성에서 근내 지방도(4.00 vs 4.13), 육색(4.75 vs 4.75), 지방색(3.13 vs 2.88), 조직감(1.25 vs 1.50) 및 성숙도(2.00 vs 2.00)는 두 그룹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육질등급에서도 두 그룹 모두 $1^{{+}{+}}:1^+:1:2:3=0:2:4:2:0$로 나타났다. 평균 출하가격은 WCR-TMR 급여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두당 353,550원이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사료용 벼 위주 TMR의 급여는 가축 생산성 측면에서 도체중과 일당증체에서 기존의 TMR 보다 우수하였다. 따라서 사료용 벼의 이용은 수입 조사료 대체와 정부의 쌀 생산 조정정책에 꼭 필요한 선택이라고 판단된다.

농후사료 급여수준 및 방목이 춘계분만 한우 암송아지의 성장발육, 번식능력 및 사료이용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Level of Concentrates and Pasture Grazing on Growth,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Feed Efficiency in Spring born Hanwoo Heifers)

  • 강수원;임석기;정종원;우제석;전기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101-112
    • /
    • 2003
  • 봄에 태어난 한우 암송아지 60두를 방목전의 농후사료 급여수준 및 개량초지에서의 방목유무에 따라 5개 처리(T1: 전기간 우사 내 사육, 농후사료 체중의 1.5%, T2: 방목전 농후사료 체중의 0.5%, 방목, T3: 방목전 농후사료 체중의 1.0%, 방목, T4: 방목전 농후사료 체중의 1.5%, 방목, T5 : 방목전 농후사료 체중의 2.0%, 방목)를 두어 450일간 사양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기간의 일당증체량은 T5, T4, T1, T3 및 T2가 각각 0.465, 0.428, 0.423, 0.387kg 및 0.322 kg으로 방목전 육성기의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방목기의 일당증체량도 방목전 육성기의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2. 공시기간 동안 kg 증체에 소요된 TDN량은 9.13-9.79kg(평균 9.49kg)이었고, T1, T3, T5, T4 및 T2의 순으로 사료이용성이 높았으며, 방목전 사사기의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TDN 이용성이 높았다. 방목기간의 처리구별 kg 증체에 소요된 TDN량은 12.39-12.98 kg(평균 12.68kg)으로 방목전의 농후사료 급여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축사내 사육시 보다 TDN 소요량이 15.6% 증가하였다. 그리고 전기간동안 농후사료에 대한 조사료비율은 57.8-73.6%(평균 63.7%)이었다. 3.성성숙기인 15개월령 체중은 201.2-237.3 kg(평균 223.8kg)으로 육성기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초임시기인 21개월령 체중은 270.2-331.4kg(평균 307.6kg)으로 방목전 사사기의 배합사료 급여수준이 체중대비 0.5% 증가할수록 20.4kg이 증가하였다. 또한 체중 225kg에 도달되는 시기는 14.0-17.6개월령(평균 15.3개월령), 그리고 체중 275 kg에 도달되는 시기는 17.9-21.7개월령(평균 19.4개월령)으로 육성기의 배합사료 급여수준이 체중 대비 0.5% 증가함에 따라 초임시기가 약 1.3개월씩 단축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봄에 태어난 한우 암송아지를 축사에서 볏짚 위주로 사육할 때의 농후사료 급여수준은 체중의 1.8% 그리고 개량초지에서 방목사육 할 때에는 체중의 1.5%가 적정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항생제 대체제(앤타시드-100)의 급여가 젖소 송아지 육성에 미친 영향 (Effect of Antibiotic Substrate(Antacid-100) on Performance of Dairy Calves)

  • 명윤아;박덕섭;이인덕;남명수;이형석;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34권2호
    • /
    • pp.143-150
    • /
    • 2007
  • 본 연구는 항생제를 대체할 목적으로 동물체의 활성을 가져오는 원료로 알려져 있는 활성탄과 목초액, sodium bentonite, 홍삼박, 생균제를 선별하여 이들 원료로 구성된 항생물질 대체제를 개발하여 홀스타인 수송아지에 급여하였을 때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송아지의 일당증체량은 대조구(1.01kg), 처리구(1.01kg)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P>0.05),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 3.24에 비하여 처리구 2.80로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개선효과를 나타냈다(P<0.05). 설사 발생률은 동일하였으나 분 상태는 처리구가 양호하였고, 호흡기 질병은 처리구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분 중 $NH_3$ 농도는 대조구(6.33 ppm)에 비하여 처리구(2.67 ppm)에서 뚜렷한 개선 효과를 보였고(P<0.05), 혈액 수치는 대조구와 처리구가 유사하였다. 항생물질 대체제를 급여한 처리구가 시판 항생제 첨가사료 급여군(대조구)에 비하여 증체에서는 다소 낮은 성적을 나타냈지만 질병 발생 없이 유사한 성적을 낸 것은 대체물질이 가축 소화기관의 활성화, 사료의 소화율 증진 등에 영향을 나타내어 동물의 활력이 증진되므로 항생제의 사용 없이도 양질의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결과를 얻었다.

  • PDF

돼지 사육밀도가 증체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cking Density of Pigs on Body Weight Gain and Carcass Traits)

  • 김문철;김규일;양영훈;김충남;김훈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1-60
    • /
    • 2006
  • 우리나라의 비육돈 성장단계별 돈사의 소요면적이 제주환경에서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시험이 성장 3단계별로 수행되었고 우리나라에서 추천된 육성돈 돈사의 바닥소요면적 $0.56m^2$을 중간 수준으로 하며 저 및 고밀도 3수준 4반복 난괴법으로 처리하여 일일증체량 및 육질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성장단계 1(체중 $43{\sim}65kg$ 범위)에서 중 밀도 구(돈사바닥 소요 면적, $0.56m^2/pig$)의 일일증체량은 저나 고 밀도 구 보다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P<0.05). 그러나 성장단계 2(체중$65{\sim}91kg$ 범위)와 3(체중 $91{\sim}105kg$ 범위)에서는 일일 증체량이 처리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 도살시 도체중이나 등 지방 두께는 저밀도구가 중이나 고밀도구 보다 높았다. 최종 육질 등급도 저밀도구에서 높은 추세였다. 결론적으로 볼 때 육성초기(체중 $43{\sim}65kg$ 범위)에는 중간 사육밀도가 다른 두 처리 보다 높은 일당증체량을 보였으나 그 이후는 처리간 사육밀도 차이를 얻지 못 했다.

  • PDF

제한 급여 방법이 비육돈의 성장, 도체특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tricted Feeding Method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Efficiency in Finishing Pigs)

  • 민예진;정현정;김기현;김조은;유동조;정용대;김영화;김두완;최요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394-401
    • /
    • 2019
  • 본 실험은 제한 급여에 따른 비육돈의 성장, 도체특성 및 경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개시체중이 평균 81.52±1.11 kg인 3원 교잡종(Landrace×Yorkshire×Duroc)의 비육돈 24두를 사용하였으며, 2처리 12반복, 반복당 1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여 27일간 진행하였다. 본 실험의 처리구는 무제한 급여(AF, ad libitum feeding)와 제한 급여(RF, restricted feeding)로 나누었으며, 제한 급여에서 증량이 필요한 경우 하루 전날 급여한 양의 10% 수준에서 증량하였다. 사양성적에서 RF의 일일사료섭취량이 AF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나(p<0.001), 일당증체량과 사료효율은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도체특성에서 도체중과 등지방두께는 AF와 RF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도체등급에 따른 경제성 평가에서 두당 총 지육단가는 AF와 RF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비에 따른 경제성 평가에서 RF의 총 사료섭취량과 총 사료섭취비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p<0.001), 1 kg 증체 사료비는 AF와 RF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비육기 제한 급여는 무제한 급여에 비해 총 사료섭취량과 총 사료섭취비를 개선시켜 사료비를 저감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Fish Oil의 첨가가 한우 거세우의 육성성적, 배최장근의 지방산 조성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sh Oil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Fatty Acid Composition of Longissimus Muscl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anwoo Steers)

  • 박병기;신종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51-58
    • /
    • 2007
  • 본 연구는 fish oil의 첨가가 한우거세우의 증체, 배최장근의 지방산 조성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평균체중 440.8±32.4kg의 한우거세우 20두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fish oil을 첨가하지 않는 FO-0구와 fish oil을 3% 첨가하는 FO-3구의 2처리로 하였다. 총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은 fish oil의 첨가에 관계없이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Fish oil의 첨가는 배최장근의 단백질, 지방 및 회분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배최장근의 isoleucine 및 glycine 함량은 fish oil의 첨가로 감소되었으나(p<0.05), cystein 함량은 증가되었다(p<0.05). Fish oil의 첨가는 배최장근의 myristic acid 및 eicosenoic acid 함량은 감소시켰으나(p<0.05), oleic acid 및 arachidonic acid 함량은 증가시켰다(p<0.05). 또한 배최장근의 EPA 및 DHA 함량은 fish oil의 첨가로 증가되었다(p<0.05). 도체중,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육량지수 및 육량등급은 fish oil의 첨가에 관계없이 두 처리구간에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육색은 fish oil의 첨가로 개선되었으며 (p<0.05), 육질 1등급 이상 출현두수는 fish oil의 첨가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한우거세우에 대한 fish oil의 첨가는 쇠고기의 지방산 중에서 풍미 및 기호성에 관여하는 oleic acid 함량, 인간의 건강과 관련이 있는 EPA 및 DHA 함량 및 육질 1등급 이상 출현두수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 송아지 이유시기가 증체, 사료섭취량, 질병발생 및 어미소의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eaning Age on Growth Performance, Feed Intake, Disease Occurrence of Hanwoo Calves and Reproductive Efficiency of Dams)

  • 권응기;박병기;조영무;한만희;최창용;이명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239-244
    • /
    • 2007
  • 본 연구는 한우 송아지의 이유시기별 발육, 사료섭취량, 질병발생 및 어미소의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축은 축산연구소에서 자체 생산된 한우 송아지 60두를 공시하여 이유시기별로 조기이유(EW, 생후 3개월령)와 관행이유(NW, 생후 4개월령)에 각각 29 및 31두씩 배치하여 두 개의 시험구를 두었다. 송아지의 포유기 및 이유후 체중과 일당증체량은 이유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05). 또한 인공유, 목건초,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섭취량도 이유시기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p>0.05). 어미소의 분만간격은 관행이유 시험구에 비해 조기이유 시험구에서 23일 정도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다(p>0.05). 한편 이유시기에 따른 발생 질병의 종류와 발병율은 시험구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유시기 단축이 한우 송아지의 성장, 사료섭취량 및 질병 발생에 미치는 부의 영향은 없었을 뿐만 아니라 어미소의 분만간격을 단축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양돈사료 첨가용 복합미생물 개발 (Development of Bio-Formula Complex for Domestic Animal Feeding)

  • 양영기;조정일;강희경;문명님;이용보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3-108
    • /
    • 2007
  • 본 연구에서 돼지 및 가축 사양농가의 최대 문제인 세균성 설사문제 및 각종 악취물질제거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돼지의 위와 장으로부터 분리한 유산균(Stretococcus thermophilus)과 병원성세균 및 곰팡이 생육을 억제하고 장내 유효한 각종의 생리활성 물질을 생산하는 납두균(Bacillus subtilis 및 Bacillus amyloliquifaciens)을 이용하였다. 이들이 함유된 환경친화성 청정사료 첨가용 및 축분뇨 처리용 생균제를 조제하였다. 본 사료첨가용 생균제에 포함된 길항 미생물 Bacillu amyloliqutfaciens는 세균성설사의 원인균인 대장균, 살모넬라, 리스테리아, 포도상구균 등을 억제할 수 있는 길항균으로서 S. typhimurium KCTC 1926에 대하여 생균체의 경우 $10^7$배 희석 조건에서 약 91% 이상의 억제력을 나타내었고, 열처리 배양액에서도 500배 희석 조건에서 63%의 우수한 길항능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산균(Stretococcus thermophilus)은 돼지의 위에서 분리한 균으로 위액의 강한 산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내산성의 유산균으로 장내 유효균의 증식 효과 및 병원성균인 대장균, 살모넬라, 포도상구균 등 유해균에 대하여 생육억제 효과가 있다. 본 연구에서도 S. typhimurium KCTC 1926에 대하여 생균체의 경우 $10^7$배 희석 조건에서 약 94% 이상의 억제력을 나타내었고 열처리 배양액에서도 70%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생균제를 돼지에게 먹인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설사발생 빈도가 85% 이상 감소하였으며 일당 증체효과도 12.3%로 나타나 설사예방효과와 중체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길항균들은 20배 희석된 축산분뇨에서 생육 가능함이 확인되어 향후 액비로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한 바 본 연구에서 조제한 길항성 생균제 Bio-formula가 가축사료 첨가제로 개발된다면 우수한 효능으로 가축사양 농가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