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출시간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Interactivity within large-scale brain network recruited for retrieval of temporally organized events (시간적 일화기억인출에 관여하는 뇌기능연결성 연구)

  • Nah, Yoonjin;Lee, Jonghyun;Han, Sanghoo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9 no.3
    • /
    • pp.161-192
    • /
    • 2018
  • Retrieving temporal information of encoded events is one of the core control processes in episodic memory. Despite much prior neuroimaging research on episodic retrieval, little is known about how large-scale connectivity patterns are involved in the retrieval of sequentially organized episodes. Task-related functional connectivity multivariate pattern analysis was used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sequential retrieval. In this study, participants performed temporal episodic memory tasks in which they were required to retrieve the encoded items in either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While separately parsed local networks did not yield substantial efficiency in classification performance, the large-scale patterns of interactivity across the cortical and sub-cortical brain regions implicated in both the cognitive control of memory and goal-directed cognitive processes encompassing lateral and medial prefrontal regions, inferior parietal lobules, middle temporal gyrus, and caudate yielded high discriminative power in classification of temporal retrieval processe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mnemonic control processes across cortical and subcortical regions are recruited to re-experience temporally-linked series of memoranda in episodic memory and are mirrored in the qualitatively distinct global network patterns of functional connectivity.

사용후핵연료봉 인출 핵심장치 디지털 목업 검증

  • Kim, Yeong-Hwan;Jo, Yong-Jun;Lee, Yeong-Sun;Lee, Do-Yeon;An, Do-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177-178
    • /
    • 2016
  • 전처리 공정장치 구축에 앞서 정확한 설계와 검증이 선행되어야 한다. 우선 디지털 목업 기술을 통해 설계검증을 철저히 함으로써 공정의 품질을 높이고 공정하자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전처리 공정 중 사용후핵연료봉 인출 핵심장치의 유지보수를 쉽게 하고, 원격제어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모듈화와 그에 대한 모듈화 방안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해 전처리 디지털 목업 시스템 검증 대상과 사용 후핵연료봉 인출 핵심장치 주요모듈을 선정하였으며, 주요 모듈의 모듈화 방안 과 모듈 탈착 시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용후핵연료봉 인출 핵심장치에서는 5개의 주요 모듈로 구성하였으며, 모듈 탈착 시간 검증에서 작업시간은 클램프모듈이 약 190초, 언볼팅, 푸셔 모듈이 140초, 인출 모듈이 160초, 연료봉 밀집 모듈이 80초 소요될 것 분석되었다. 향후 전처리장치별 모듈 분석과 LAYOUT 운영을 포함해서 MSM 시뮬레이터의 디바이스 및 시뮬레이터 시스템 구축을 수행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He^+$ Ion Beam Extraction in the Duoplasmatron Ion Source (Duoplasmatron 이온원에서의 $He^+$ 이온빔 인출에 관한 연구)

  • Myong-Seop KIM;Hae-iLL BA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3 no.4
    • /
    • pp.438-443
    • /
    • 1991
  •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uoplasmatron ion source are investigated in order to obtain the maximum achievable extraction current of the $He^+$ ion beam with the small divergence. Under the variations of the gas pressure, the arc current, the magnet current and the extraction voltage of the ion source, the change of the extracted $He^+$ ion beam current is observed. An oxide filament, the mixture of BaO and SrO coated on Ni meshes, is used as the hot cathode, and its average lifetime is about 100 hours. The extraction current is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arc current. As the magnet current of the ion source is increased, the extraction current increases, but the beam divergence becomes larger. The maximum extraction current is obtained at the source pressure of 0.084 Torr. The extraction current is proportional to the extraction voltage raised to the power of 3/2 as estimated from theory. At the extraction voltage of 5.72 kV, the maximum extraction current of 50 $\mu$A is obtained under the optimized extraction condition.

  • PDF

적재형태별 재취급을 고려한 기대취급횟수 비교

  • Park, Toe-Gyeong;Kim, Gap-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536-546
    • /
    • 2005
  • 유니트로드를 복수의 층으로 쌓아 저장하는 적재장에서 적재 능력을 높이면 1개가 차지하는 유니트로드의 소요공간은 줄어드나, 적재층이 높아지게 되면 특정 대상 유니트로드를 인출하는데 발생되는 재 취급으로 인하여 인출에 따른 작업 시간은 늘어나게 되어 취급비용은 증가 한다. 일반적으로 유나트로드 를 적재하는 적재장애는 재취급의 발생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다양한 적재형태의 적재장에서 최하층 열의 수, 컬럼, 적재층을 변화 시켜가면서, 임의의 유니트로드를 인출 할 떼 발생하는 기대 취급수를 측정하는 식을 유도한다. 유도된 식을 이용하여 다 양한 적재형태들에 대해서 기대 취급수를 서로 비교한다.

  • PDF

KSTAR 토카막 플라즈마 가열을 위한 중성 입자빔 입사장치용 이온원 개발 현황

  • Kim, Tae-Seong;Jeong, Seung-Ho;Jang, Du-Hui;Lee, Gwang-Won;In, Sang-Yeol;O, Byeong-Hun;Jang, Dae-Sik;Jin, Jeong-Tae;Song, U-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559-559
    • /
    • 2013
  • KSTAR (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장치는 차세대 에너지원 중의 하나인 핵융합로를 위한 과학기술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개발된 중형급 토카막 실험장치로서 토카막 운전 영역의 확장과 안정성 확보, 정상상태 운전 도달을 위한 방법 연구, 최적화된 플라즈마 상태와 연속 운전 실현 등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핵융합 반응에 의한 점화조건과 가까운 상태로 플라즈마를 가열해주어야 하며, 토카막 장치의 저항가열 이외에도 외부에서 추가 가열이 반드시 필요하다. 중성 입자빔 입사 장치는 현재 토카막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열장치 중 가장 신뢰성있는 추가 가열 장치라 할 수 있으며 한국 원자력연구원에서는 1997년부터 KSTAR 토카막 실험 장치에 사용될 중성 입자빔 입사 장치를 개발해왔었다. 중성빔 입사 장치는 크게 이온원, 진공함, 열량계, 진공 펌프, 중성화 장치, 이온덤프와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중 이온원은 중성빔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적인 장치라 할 수 있다. 최근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2 MW 중성 입자빔 입사장치용 이온원 개발을 완료하여 KSTAR 토카막 장치에 설치하였으며, 2013년 현재 KSTAR에는 총 두 개의 이온원이 장착되어 최대 약 3 MW 이상의 중수소 중성 입자빔을 입사하여 KSTAR 토카막 실험의 H-mode 달성과 운전 시나리오 연구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최초로 개발된 이온원은 미국 TFTR 장치에서 사용되었던 US LPIS (Long Pulse Ion Source)를 기본으로 하여 국내 개발을 수행하였다. 이 온원은 크게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와 발생된 이온을 인출 및 가속시키는 가속부로 구성되는데, 개발과정에서 가장 먼저 KSTAR의 장주기 운전에 적합하도록 플라즈마 방전부와 가속부의 냉각회로를 요구되는 열부하에 맞게 설계 수정하였다. 그 후 플라즈마 방전부는 방전 시간과 안정성, 플라즈마 밀도의 균일도, 정격 운전, 방전 효율 등을 고려하여 수정 보완하며 개발을 진행하여왔다. 가속부의 경우 국내 제작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빔 인출그리드를 TFTR의 US LPIS 모델의 슬릿형 그리드 타입에서 원형 인출구 타입으로 변경하였으며, 이후 가속 전극의 고전압 내전력 문제, 빔 인출 전류와 전력, 인출 빔의 광학적 질(quality), 빔 인출 시간 동안의 안정성 등을 위해 그리드의 크기와 간격, 모양 등을 변경하여 개발을 수 행하여 왔다. 이 논문은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개발이 진행되어 왔던 이온원들을 시간적으로 되짚어 보면서 현재까지의 성과와 문제점, 그리고 앞으로의 개발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PDF

The order Picking Time of the S/R Vehicle in a Batch Picking Warehouse System (배치 인출 창고시스템에서 저장/인출 차량의 주문 인출 소요시간)

  • Chang, Suk-Hw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34 no.4
    • /
    • pp.1-10
    • /
    • 2011
  • This paper addresses the analysis of the travel distance and order picking time of the vehicle in a aisle when items are picked by the batch in a warehouse system. Batching is to combine several orders in a single tour of the storage/retrieval machine. An advantage of batching is that the length of a tour for a batch of orders is shorter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 orders' tour lengths. The average travel distance and order picking time when a batch is picked in a aisle of the warehouse systems are analyzed for the batch size. And when the vehicle is idle, the dwell point of the vehicle to minimize to the response distance is analyzed. As the batch size is increased, average order picking time per item is decreased. The problem is analyzed and a numerical example is showed to explain the problem.

대면적 표면처리용 1.55 m급 선형이온소스 개발 및 공정 기술 연구

  • Gang, Yong-Jin;Lee, Seung-Hun;Kim, Jong-Guk;Kim, Do-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297-297
    • /
    • 2013
  • 최근 각종 폴리머 및 강판과 같은 유연소재의 수요 증가로 인해 유연소재 표면의 전처리, 증착 및 기능성 부여를 위한 이온빔 또는 플라즈마 표면처리 기술이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개발 되고 있으며, 유연소재 표면처리 공정의 고속화 및 대면적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유연소재의 고속 및 대면적 표면처리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Roll-to-Roll 공정에 적용 가능한 광폭 선형이온소스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55 m급 광폭 Anode Layer 선형이온소스를 개발하였으며, 이온빔 인출 균일도 및 에너지 분포 특성을 평가하였다. 특히, 본 선형이온 소스 개발 시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해 이온소소의 이온 인출 특성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최적 구조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선형이온소스는 최대 5 kV의 방전 전압 조건에서 평균 1.5 keV의 이온에너지를 가지는 Ar 이온빔이 1.55 m 폭에서 약 4.2%의 균일도를 보였다. 표면 처리 성능 평가시(Si wafer 기준) 소스와 기판과 거리 100 mm에서 에칭율은 15 nm/s였고, 이는 다른 표면처리 이온소스 대비 높은 효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4시간 이상 운전시에도 안정적인 인출 빔 전류 밀도를 확인하였으며, 소스 내부의 효율적인 냉각 구조로 인한 열손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Comparing Various Types of Stacking Methods Considering Relocations (적재형태별 재취급을 고려한 기대취급횟수 비교)

  • Park Twae-Kyung;Kim Kap-Hwan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2 no.2
    • /
    • pp.83-98
    • /
    • 2006
  • When unit loads are stacked in multiple tiers, as the number of tiers increases, the space consumption per unit load decreases;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relocations during retrieval operations increases. This study derives formulas fur estimating the expected number of relocations for retrieving a random unit load from various types of stacks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the number of rows, the number of columns, and the number of tiers. Based on the derived formulas, the handling cost and the space cost of the different types of stack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 PDF

Branch Prediction Latency Hiding Scheme using Branch Pre-Prediction and Modified BTB (분기 선예측과 개선된 BTB 구조를 사용한 분기 예측 지연시간 은폐 기법)

  • Kim, Ju-Hwan;Kwak, Jong-Wook;Jhon, Chu-Shi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10
    • /
    • pp.1-10
    • /
    • 2009
  • Precise branch predictor has a profound impact on system performance in modern processor architectures. Recent works show that prediction latency as well as prediction accuracy has a critical impact on overall system performance as well. However, prediction latency tends to be overlooked. In this paper, we propose Branch Pre-Prediction policy to tolerate branch prediction latency. The proposed solution allows that branch predictor can proceed its prediction without any information from the fetch engine, separating the prediction engine from fetch stage. In addition, we propose newly modified BTE structure to support our solution.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proposed solution can hide most prediction latency with still providing the same level of prediction accuracy. Furthermore, the proposed solution shows even better performance than the ideal case, that is the predictor which always takes a single cycle prediction latency. In our experiments, IPC improvement is up to 11.92% and 5.15% in average, compared to conventional predictor system.

Functional Mapping of the Neural Basis for the Encoding and Retrieval of Human Episodic Memory Using ${H_2}^{15}O$ PET ({H_2}^{15}O$ PET을 이용한 정상인의 삽화기억 부호화 및 인출 중추 뇌기능지도화)

  • Lee, Jae-Sung;Nam, Hyun-Woo;Lee, Dong-Soo;Lee, Sang-Kun;Jang, Myoung-Jin;Ahn, Ji-Young;Park, Kwang-Suk;Chung, June-Key;Lee, Myung-Chul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34 no.1
    • /
    • pp.10-21
    • /
    • 2000
  • Purpose: Episodic memory is described as an 'autobiographical' memory responsible for storing a record of the events in our lives. We performed functional brain activation study using ${H_2}^{15}O$ PET to reveal the neural basis of the encoding and the retrieval of episodic memory in human normal volunteers. Materials and Methods: Four repeated ${H_2}^{15}O$ PET scans with two reference and two activation tasks were performed on 6 normal volunteers to activate brain areas engaged in encoding and retrieval with verbal materials. Images from the same subject were spatially registered and normalized using linear and nonlinear transformation. Using the means and variances for every condition which were adjusted with analysis of covariance, t-statistic analysis were performed voxel-wise. Results: Encoding of episodic memory activated the opercular and triangular parts of left inferior frontal gyrus, right prefrontal cortex, medial frontal area, cingulate gyrus, posterior middle and inferior temporal gyri, and cerebellum, and both primary visual and visual association areas. Retrieval of episodic memory activated the triangular part of left inferior frontal gyrus and inferior temporal gyrus, right prefrontal cortex and medial temporal area, and both cerebellum and primary visual and visual association areas. The activations in the opercular part of left inferior frontal gyrus and the right prefrontal cortex meant the essential role of these areas in the encoding and retrieval of episodic memory. Conclusion: We could localize the neural basis of the encoding and retrieval of episodic memory using ${H_2}^{15}O$ PET, which was partly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of hemispheric encoding/retrieval asymmet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