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학습능력

Search Result 51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Design of Personalized Learning Profile based Leaner's Cognitive Ability (학습자의 인지능력 기반 개인화 학습 프로파일 설계)

  • Ji, Hye-Sung;Lim, Heui-Seok;Park, Ki-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983-98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인지능력을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자 프로파일에 대하여 제안한다. 기존의 인지능력 측정방법으로는 알기 어려운 학습자의 세부적인 학습 능력을 적용한 학습자 프로파일은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의 최종적인 목표인 개개인의 맞춤형 학습 제공을 목적으로 학습자의 인지능력 측정 및 패턴분류를 통해 세부적인 학습자의 인지능력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습자 프로파일을 설계하였다.

A Study o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Metacognitive ability with Scratch Programming (스크래치 EPL교육을 통한 상위인지능력 향상 방안 연구)

  • Jo, Moon-Hyun;Sohn, Won-S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31-35
    • /
    • 2010
  • 현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시하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상위인지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여러 교육용 프로그래밍 교육은 그 자체의 기능을 익히는데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정작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을 얻기에는 부족함이 많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개발된 교육용 프로그램 스크래치는 기존에 교육용 프로그램이 갖고 있던 여러 가지 단점을 보완하고 보다 쉬운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논리력이나 문제해결력 같은 고인지 사고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자신의 인지상태를 탐색하고 학습 혹은 문제 해결 과정에 필요한 인지적 자원을 분석하며 능동적으로 조정하는 인지적 상호작용의 총합인 상위인지능력의 향상에 중점을 둔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상위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of General English and Spanish Learners in the Flipped Learning Strategy (거꾸로 학습 전략에 있어서 교양영어와 교양스페인어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관한 연구)

  • Shin, Myeong-Hee;Kang, Pil Wo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4
    • /
    • pp.73-8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flipped learning strategy affects learners' self-regulating ability in both general English and Spanish, based on the study hypothesis that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of general English learners will make a meaningful difference in comparison to that of traditional learning. The study was also focused on how flipped learning was related to learners' self-regulating ability. From September 10, 2018 to December 10, 2018, a total of 81 students in general English and Spanish were surveyed in which three sub areas of self-regulating learning (cognitiv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control) were considered, and which were divided into six sub-domains, a total of 65 items were composed. Although not very significant results were shown in the case of motivational control, both English and Spanish class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ies.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LIS Education: Based on Cognitive and Motivational Components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문제기반학습법 적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인지적·동기적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

  • Lee, Jeong-M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7 no.4
    • /
    • pp.103-124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effects o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especially for the LI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differences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ere examined as a pre and a post survey using the same questionnair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and motivational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as examined, and the details of the SRL's sub-components were measured to see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Statistical significance using the paired sample t-test were also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cognitive motivational self-regulated learning and found out the possibilities for a follow-up study for motivational self-regulated learning.

Study of Feedback Types of Learner's Metacognition level in Web-Based Project Learning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에 따른 피드백 유형의 고찰)

  • Park, Seon-Hwa;Suh, Soon-Shik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377-384
    • /
    • 2005
  • 메타인지는 자신의 인지와 학습활동에 대한 지식과 통제활동의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메타인지 지식은 자기 자신의 인지과정에 대하여 스스로 알고 있는 지식을 의미하고, 메타인지적 기능인 자기 조정능력은 학습활동을 스스로 조정하고 통제하면서 학습을 수행하는 능력을 말한다.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피드백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높인다는 연구들은 교수 학습의 과정에서 피드백이 학습효과를 높이고 학업성취도를 증가시키는데 공헌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메타인지와 피드백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웹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의 베타인지 수준에 따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피드백 유형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 PDF

Factors Affecting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in Online Class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Hong, Se-Hwa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2 no.4
    • /
    • pp.38-46
    • /
    • 2022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gnitive presence of nursing students in online clas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 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in 202 nursing students from October 19 to 30,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As a result this study, academic achieve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arning motivation(r=.45, p<.001),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r=.50, p<.001) and cognitive presence(r=.64, p<.001). As a result regression analysis, subjective academic grad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gnitive presence explained 57.0% of the academic achievement in nursing students(F=91.00, p<.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o design the classes that increase the cognitive presence.

Program Development for Students' Figure Comprehension Improved and its Application (학생의 도형 인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Hong, Young-Woo;Kho, Dae-Ghon;Koo, Duk-Hoi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272-280
    • /
    • 2004
  • 전통적인 수학교육은 간단한 수학적 사실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측면에 있어서는 효과적일 수도 있지만,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학생 스스로 탐구, 발견하고 창조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는 적절하지 않다. 이러한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학생들 스스로가 관찰, 조작, 분석, 종합하는 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 조작물을 학습도구로 활용하는 경우,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길러 주고, 자신의 수준에 맞는 내용을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성취감을 가지게 하며, 학생 스스로 탐구 활동을 활발히 하는데 도움이 된다. 삶의 질이 급격히 향상되는 정보사회에서는 사이버 공간의 등장으로 공간감각 기능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한 바, 현행 수학교과서에서 제공되는 각종 공간 도형들은 3차원 공간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평면도형으로 처리함으로써 아동의 도형인지 능력 향상에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인지발달 단계를 고려, 도형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선 및 점대칭 관련 동기유발, 선수, 기본, 보충, 심화, 평가, 도움말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결과 학습자의 동기가 유발되고, 도형 인지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 PDF

The Effect of Computer Literacy on Learner's Cognitive Aspects Learning Ability (학습자의 정보 활용 능력이 인지적 측면의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 Ahn, Sung 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3 no.2
    • /
    • pp.169-177
    • /
    • 2019
  • In this paper, According to researches on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digital textbooks for the last three years, it was turned out in digital textbook research school that learners' computer literacy is the most effective factor and the basic ability required to use digital textbook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computer literacy on various factors were analyzed. For this purpose, after the level of learner's computer literacy was divid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and the effects of each level on cognitive aspects ability(problem 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the learner 's computer literacy has a close correlation with cognitive aspects ability(problem 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aspects ability. In particular, the group with lower level of computer literac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cognitive aspects ability, and the group with upper level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cognitive aspects ability in score improvement.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various types of computer literacy education are needed to use effective digital textbooks.

Individual Variables affecting Online Information Retrieval Behaviors (온라인 환경에서 정보탐색활동과 학습자 특성과 상관관계)

  • Oh, EunJoo;Kim, Jung-Sub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
    • v.19 no.3
    • /
    • pp.415-428
    • /
    • 2007
  • 본 연구는 인지양식이 온라인 학습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중의 하나라는 선행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인지양식이 온라인 정보탐색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떤 다른 개인적인 특성들이 온라인 정보탐색행위와 연관성이 있는지 고찰 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에 재학중인 학생 36명이었으며, 인지양식검사와 Ellis와 Haugan (1997)의 정보탐색행위 모델에 근거하여 연구자에 의해 제작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에게 연구 주제를 주고 온라인상에서 정보를 탐색하도록 시켰으며, 이들의 정보탐색행위 과정과 특성을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인지양식검사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를 양적 분석하고, 정보탐색행위 과정과 특성에 관한 질적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개인의 인지양식과 온라인시스템을 이용한 정보탐색능력과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었다. 반면에, 정보탐색행위는 컴퓨터 이용 능력, 온라인 도서관 시스템 사용경험/능력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검색한 정보에 대한 만족도는 정보탐색에 보내는 시간과 반비례 상관관계를 가지며,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총 8단계의 정보탐색과정 중 " Browsing" 단계에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끝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도서관 시스템 사용능력에 높은 효능감을 보였지만, 학교 온라인도서관 시스템이 사용하기 편리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있다고 대답했으며, 자신들의 연구를 위해서 인터넷 검색엔진보다는 도서관 데이터베이스를 더 자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Cognitive .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from Individual CAl for Science Learning (과학 학습을 위한 개별적인 CAI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과 개념 이해도의 관계)

  • Noh, Tae-Hee;Kim, Ky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5 no.7
    • /
    • pp.728-735
    • /
    • 2005
  • In this study,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the cognitive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from individual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were investigated. Tests regarding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learning strategy, self-regulated ability, visual learning preference,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on ability, and computer attitude were administered. After having been taught by means of a CAl program, a conception test on molecular motion was administered. It was found that student conceptual understand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field independence, learning strategy, self-regulated ability among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visual learning preference,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on ability among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n conceptual understanding found that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Self-regulated ability and a deep learning strategy were also found to have predictive power. Lastly, analysis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visual learning preference and self-efficacy on ability exposed them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student conceptual understanding.